울산과학기술원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蔚山科學技術院 | |
한국어 표어 | 창의, 융합, 글로벌화, 선택과 집중 |
---|---|
건학이념 | 인류의 삶에 공헌하는 세계적 과학기술 선도대학 |
종류 | 특별법 법인 |
설립 | 2007년 9월 13일 |
총장 | 이용훈 |
학부생 수 | 2,342명 (2023.6.) |
대학원생 수 | 2,291명 (2023.6.) |
교직원 수 | 교수 495명 / 직원 413명 (2023.6.)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유니스트길 50 북위 35° 34′ 24.4″ 동경 129° 11′ 22.7″ / 북위 35.573444° 동경 129.189639° |
언어 | 한국어 |
웹사이트 | 울산과학기술원 |
울산과학기술원의 위치 |
울산과학기술원(蔚山科學技術院,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UNIST)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에 자리한 울산광역시의 국립대학교이자, 첨단과학기술 혁신과 지역과학기술인재 양성과 산학협력을 목적으로 하는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1]의 특정연구기관[2]으로 되어있는 특수대학이다.
UNIST가 세워진 목적은 산업수도 울산의 R&D 혁신을 주도할 인재를 양성하고, 산학협력 연구를 선도할 수 있는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수요에 부응하기 위함이었다. 개교 당시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국립대학법인으로 울산과학기술대학교라는 이름을 썼다.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는 과학기술특성화대학(UNIST, KAIST, GIST, DGIST)을 세계적 연구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4개 과학기술대학특성화 및 육성방안을 발표했다.[3] 2012년 2월 정부는 5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UNIST, KAIST, GIST, DGIST, POSTECH)을 세계적인 연구중심 대학으로 육성하고 상호 교류·협력을 활성화하는 데 필요한 행·재정적 지원을 위해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2013년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UNIST의 소관부처는 KAIST, GIST, DGIST와 같은 미래창조과학부로 변경됐다.
2015년 3월 3일에는 ‘과학기술원 전환 관련 법률’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됐다. 과학기술의 역량 강화와 고급과학기술 인재 양성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산업계와의 협동연구 및 외국과의 교육‧연구교류를 촉진함으로써 국가과학기술발전에 이바지한다는 법안의 취지가 공감대를 얻은 것이다. 울산과학기술원법은 2015년 3월 27일 공포됐다. 같은 해 9월 28일 울산과기원법 시행에 따라 울산과학기술대학교는 울산과학기술원으로 전환됐다.[4][5]
과학기술원 전환에 따라, UNIST는 고등교육법[6]을 적용받던 대학체제에서 특정연구기관 육성법[7]과 특정연구기관 육성법 시행령[8]에 의한 국가 출연연구기관으로 전환됐다. 이 영향으로 학생 선발이나 학사운영 전반에 있어 자율성을 갖게 됐고, 기술사업화를 위한 자회사를 설립하는 등 기관 특성에 맞는 경영 계획수립, 운영이 가능해졌다.
설립 근거 및 목적
[편집]설립 근거
[편집]- 대한민국의 첨단과학기술 혁신
- 지역산업의 기술ㆍ지식 발전을 주도할 고급과학기술인재 양성
- 산업계와의 협동연구
- 외국과의 교육ㆍ연구교류 촉진
역사
[편집]설립 배경
[편집]울산은 인구가 110만 명에 육박하고, 대한민국 연간 수출액의 약 20%를 담당하고 있으며, 1인당 평균 소득이 4만 달러에 달해 대한민국의 어느 대도시보다도 소득이 높으나 고등 교육을 담당하는 대학은 4년제 대학교가 울산대학교 단 하나, 2년제 대학 둘 뿐이었다. 따라서 고등 교육을 받기 위해서는 인근의 부산이나 대구, 수도권으로 이동해야 했으며 그로 인해 울산 지역 고교 졸업생 중 20%가 서울 지역의 대학으로, 25.6%가 부산 지역으로 대학을 지원하고 17.9%만이 울산 지역의 대학에 지원하였다.[9] 그리하여 울산 시민들은 1994년부터 서명 운동을 시작하였고, 2001년 11월에는 '울산국립대설립범시민추진단'을 설립하는 등 지역의 국립대 설립을 추진했다. 2002년 6월 울산시장 선거와 2002년 12월 대통령 선거에서 울산 국립대학설립은 양당 후보 모두의 공통 공약으로 채택됐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 대선공약 이행 차원에서 2005년 9월, 특수법인 형태의 울산국립대의 설립을 확정했다. 2007년 4월, 국립대학법인울산과학기술대학교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이 국회에 통과되면서 설립, 운영 방안이 결정됐다.
연혁
[편집]- 2007년 4월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 (법률 제8331호,2007년 4월 6일, 2007년 7월 7일시행)[10]
- 2009년 3월 제1회 신입생 입학식
- 2011년 4월 교과부 4개 과기특성화대학 육성계획 의결(국과심)
- 2011년 5월 기초과학연구원(IBS) D‧U‧P(DGIST, UNIST, POSTECH) 연합캠퍼스 선정
- 2011년 7월 교육과학기술부 특별지원 과학기술특성화 대학 선정
- 2013년 3월 UNIST 소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로 변경
- 2013년 9월 교육부 BK21플러스 사업 선정
- 2013년 11월 IBS 캠퍼스연구단(연구단장 Rodney Ruoff) 출범
- 2014년 1월 IBS 캠퍼스연구단(연구단장 Steve Granick) 출범
- 2014년 12월 IBS 캠퍼스연구단(연구단장 명경재) 출범
- 2015년 3월 울산과학기술원법 공포(3.27.)
- 2015년 9월 울산과학기술원 전환(9.28.)
- 2015년 10월 울산과학기술원 개원식 “2015/10/12 프라임뉴스”. 《울산방송》. 2015년 10월 12일. 2018년 12월 11일에 확인함.</ref>[11]
역대 총장
[편집]- 2007년 9월 초대 총장 조무제 취임
- 2011년 9월 조무제 2대 총장 취임
- 2015년 9월 정무영 3대 총장 취임
- 2019년 11월 이용훈 4대 총장 취임
교육 과정
[편집]학부 과정
[편집]1학년은 기초과정인 새내기학부에 소속되며 1학년 말에 전공을 선택한다.
- 공과대학
- 기계공학과
-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 신소재공학과
- 에너지화학공학과
- 원자력공학과
- 정보바이오융합대학
- 디자인학과
- 바이오메디컬공학과
- 생명과학과
- 산업공학과
- 전기전자공학과
- 컴퓨터공학과
- 자연과학대학
- 물리학과
- 수리과학과
- 화학과
- 경영과학부
대학원
[편집]이하 2021년 기준으로 설명한다. 4년제 석·박사 통합과정 및 2년제 석사과정 모두 계열 구분이 없다. 이전에 있었던 경영학부는 경영과학부로 변경되었다.
- 공과대학
- 기계공학과 : 기계공학
-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 도시건설공학, 재난관리공학, 환경과학공학, 과학예술융합
- 신소재공학과 : 신소재공학
- 에너지화학공학과 : 에너지공학(배터리과학및기술), 에너지공학, 화학공학
- 원자력공학과 : 원자력공학
- 정보바이오융합대학
- 디자인학과 : 디자인학
- 바이오메디컬공학과 : 바이오메디컬공학
- 생명과학과 : 생명과학
- 산업공학과 : 산업공학
- 인공지능대학원 : 인공지능학
- 반도체 소재 · 부품 대학원: 반도체학
- 전기전자공학과 : 전기전자공학
- 컴퓨터공학과 : 컴퓨터공학
- 자연과학대학
- 물리학과 : 물리학, 응용물리학
- 수리과학과 : 수리과학
- 화학과 : 화학
- 경영과학부 : 경영과학
UNIST에는 세 개의 전문대학원 및 특수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다.
-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기술경영학석사, 공학박사 과정이 있다. 산업혁신 트랙, 기술사업화 트랙, 전략적 기술경영 트랙으로 세분화되어 배울 수 있다.
- 디자인-공학융합전문대학원: 창의디자인공학과로 전문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이 있다.
- 융합경영대학원: 에너지상품거래 및 금융공학, 비즈니스 분석, 창업융합과 이학석사(PSM) 과정으로 구성되어있다
조직
[편집]- 이사회
- 감사
- 총장
연구센터
[편집]- 전기전자컴퓨터공학 연구부
- GEV 사업단
- 유기발광소자 연구센터
- 산업-IT 융합 연구센터
- 고성능 빅데이터 연구센터
- 스마트센서 연구센터
- 울산과학기술원 데이터 과학 연구소
- 분산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연구센터
- 자연과학 연구부
- 핵융합 플라즈마 안정성/구속성 연구센터
- 에너지 및 화학공학 연구부
- META-신소재 기반 융복합형 에너지 변환 및 저장 기술 개발 사업단 Archived 2016년 7월 1일 - 웨이백 머신
- 저차원 탄소혁신소재 연구센터
- KIER-UNIST 차세대전지원천기술 연구센터
- 차세대 촉매 연구센터
- 그린에너지소재기술개발센터
- 탄소 자원화 연구센터
- 페로브트로닉스 연구센터
- 신소재공학 연구부
- KIST-UNIST 울산 융합 신소재 연구센터
- 다차원 프로그래머블 소재 연구센터
- 생명과학 연구부
- 세포간 신호교신을 위한 암제어 연구센터
- 한스쉘러 줄기세포 연구센터
- 노화 다이나믹스 연구소
- 나노기반 의생명 영상 연구개발 사업단
- 초기능성소재 연구센터
- 게놈산업기술센터
- M³ 바이오 이미징 허브 연구센터
- 디자인 및 인간공학 연구부
- 인간과 기술가치의 미래 제조산업을 위한 융합형 인간 및 시스템 공학자 양성사업단 Archived 2016년 7월 1일 - 웨이백 머신
- 3D 프린팅 첨단 생산 기술 연구센터 Archived 2016년 7월 1일 - 웨이백 머신
- 기계 및 원자력공학부 연구부
- 차세대 원자로 시스템 연구소
- 미래원자력 환경 안전 연구소
- 극한환경무인기 연구센터
- 원전해체융합기술 연구센터
- UNIST 첨단 복합재료 기술센터
- 경영학 연구부
- 유니스트 빅데이터 연구센터
- 국제 에너지 트레이딩 연구센터
- 기술창업 교육센터
- 미래산업전략연구소
- 도시환경공학부
- 기초과정부
- 창의인문 교육 및 연구센터
- IBS(기초과학연구원) UNIST 캠퍼스
- 다차원탄소재료연구단
- 첨단연성물질연구단
- 유전체항상성연구단 Archived 2015년 10월 17일 - 웨이백 머신
갤러리
[편집]-
학술정보관
-
경영관
같이 보기
[편집]- 대구경북과학기술원 (DGIST)
- 광주과학기술원 (GIST)
- 한국과학기술원 (KAIST)
- 포항공과대학교 (POSTECH)
-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KENTECH)
각주
[편집]- ↑ 가 나 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년 12월 19일). “울산과학기술원법”. 《국가법령정보센터》. 법제처. 2018년 12월 11일에 확인함.
제1조(목적) 이 법은 국가의 첨단과학기술 혁신과 지역산업의 기술ㆍ지식 발전을 주도할 고급과학기술인재를 양성하고 산업계와의 협동연구 및 외국과의 교육ㆍ연구교류를 촉진함으로써 국가과학기술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울산과학기술원을 설립함을 목적으로 한다.
- ↑ 가 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년 7월 26일). “특정연구기관 육성법 시행령”. 《국가법령정보센터》. 법제처. 2018년 12월 11일에 확인함.
제3조(연구기관의 지정) ... 3의2. 「울산과학기술원법」에 따른 울산과학기술원 ...
- ↑ 교육부 홍보담당관 홍유진 (2011년 7월 15일). “교과부, 과기대와 공동으로 「과기대 특성화 및 육성방안」 마련”. 교육부. 2018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5년 3월 27일). “울산과학기술원법(법률 제13230호)”. 《국가법령정보센터》. 법제처. 2018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 대외협력팀 박태진 (2015년 9월 28일). “울산과학기술원 출범… 국가 성장엔진으로 새출발!”. 《UNIST News Center》. 울산과학기술원. 2018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69127&efYd=20150313#0000
- ↑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60622&efYd=20141015#0000
- ↑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75176&efYd=20150928#0000
- ↑ 서울에 왜 가요? "국립대 4개에 좋은 사립대 많잖아요…"(부산일보 2005년 6월 10일자)
- ↑ 제1조(목적) 이 법은 국립대학법인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를 설립하여 국가의 산업경쟁력 강화와 울산지역의 기술·지식혁신을 주도하는 창의적이고 실천적인 전문 기술·경영·교육인력을 양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 ↑ “[사회] 울산과기대, 울산과학기술원(UNIST)으로 공식 출범”. 《중앙일보》. 2015년 10월 12일. 2018년 12월 1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