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하군 (중국)
청하군(淸河郡), 감릉군(甘陵郡)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이다. 군국제 시행 시의 왕국령으로서는 청하국(淸河國), 감릉국(甘陵國)이라 한다.
전한
[편집]진희의 난(기원전 197년) 당시 상산군과 함께 청하란 지명이 언급되므로, 이때에는 이미 있었으며 고제가 조나라의 지군인 거록군을 분할해 조나라의 지군으로서 설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한 무제가 13주를 두면서 기주에 속했다.[1] 경제 3년(기원전 153년) 조나라가 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하자 회수돼 한나라에 속했다. 전한 경제가 경제 중3년(기원전 147년)에 아들 청하애왕 유승을 봉하면서 청하국이 되었고, 애왕이 재위 12년 만에 아들 없이 죽으면서 청하군이 되었다.[2][3][4] 무제 시대인 원정 3년(기원전 114년)에 대나라를 폐하면서 대왕 유의(청하강왕)를 이봉하여 다시 청하국을 세웠다. 선제 시대인 지절 4년(기원전 66년)에 청하왕 유년이 여동생과 사통해 유년의 왕위를 빼앗고 청하국을 폐해 다시 청하군으로 돌렸다.[2][5] 초원 2년(기원전 47년)에 선제가 아들 중산애왕 유경을 봉하면서 다시 청하국이 되었고, 3년(기원전 46년)에 유경이 중산왕으로 옮겨 봉해지면서 다시 청하군이 되었다.[6]
청하강왕 유의의 아들들이 추은령에 따라 포령(蒲領), 남곡(南曲), 수시(修市), 동창(東昌), 신향(新鄕), 수고(脩故), 동양(東陽)의 후작으로 봉해지면서 청하국의 판도는 줄어들었는데, 이 중 동양, 신향, 수고는 다시 청하군의 관할에 속했으나[1] 수고현은 이후의 인구조사에서 사라졌고[1] 수시는 발해군의 소속으로 넘어갔다.[7] 평제 시기에 시행된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 20만 1774호, 인구 87만 5422명이 있었다. 14현을 두었다.[1]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청양현 | 淸陽縣 | 싱타이시 칭허현 남동 | 청하국의 서울이며, 청하군의 치소다. 청양후 왕흡의 후국이 있었다. |
동무성현 | 東武城縣 | 헝수이시 구청현 남 | |
역막현 | 繹幕縣 | 더저우시 핑위안현 북서 | |
영현 | 靈縣 | 랴오청시 가오탕현 남 | 하수의 지류 명독하(鳴犢河)가 나와 동북에서 조(蓨)에 이르러 둔씨하(屯氏河)로 들어간다. |
적현 | 厝縣 | 랴오청시 린칭시 북동 | |
유현 | 鄃縣 | 더저우시 핑위안현 남서 | |
패구현 | 貝丘縣 | 랴오청시 남 | 도위가 다스린다. |
신성현 | 信成縣 | 싱타이시 칭허현 북서 | 장갑하(張甲河)가 둔씨별하(屯氏別河)에서 나와 동북에서 조(蓨)에 이르러 장수(漳水)로 들어간다. |
사제현 | 莎[8]題縣 | 헝수이시 짜오창현 남서 | |
동양현 | 東陽縣 | 더저우시 우청현 북동 | 청하강왕의 아들 유홍의 후국이다. |
신향현 | 信鄕縣 | 더저우시 샤진현 서 | 청하강왕의 아들 유표의 후국이다. |
요현 | 繚縣 | 싱타이시 난궁시 남동 | |
조강현 | 棗彊縣 | 헝수이시 짜오창현 남동 | |
복양현 | 復陽縣 | 헝수이시 구청현 서 |
신
[편집]군의 이름을 평하(平河)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전한 | 신 |
---|---|
영(靈) | 파(播) |
적(厝) | 적치(厝治) |
유(鄃) | 선륙(善陸) |
동양(東陽) | 서릉(胥陵) |
복양(復陽) | 악세(樂歲) |
후한
[편집]7현, 12만 3964호, 76만 418명을 다스렸다.[9] 건초 7년(82년) 6월 갑인일에 태자 유경이 폐위되고 청하왕으로 봉해지면서 왕국이 되었다.[10] 건화 원년(147년), 청하왕 유산이 반역에 연루되어 왕위에서 쫓겨나면서 청하국은 폐지되었다. 건화 2년, 이름을 감릉(甘陵)으로 고치고 안평왕의 아들 유리(劉理)를 왕으로 봉했다.[11] 건안 11년(205년), 감릉국을 폐해 감릉군으로 했다.[12][9]
후한 말기 원소가 기주를 장악하면서 원소의 세력권에 편입되었는데, 원소사후 조조가 원담을 토벌할 때 주요 점령지중 하나가 되었다.
현명 | 한자 | 비고 |
---|---|---|
감릉현 | 甘陵縣 | 안제시기 적현(厝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조조가 원담을 공격할 때 업을 포위했을 때 원담이 본현과 안평국, 발해군, 하간군을 점령하고 중산군의 원상을 공격했다. |
패구현 | 貝丘縣 | |
동무성현 | 東武城縣 | 조조의 모사중 한명인 최염의 출생지이다. |
유현 | 鄃縣 | |
영현 | 靈縣 | 97년(후한 화제 영원 9년) 복구되었다. |
역막현 | 繹幕縣 | |
광천현 | 廣川縣 | 원래 신도군의 속현이었다. 극진성(棘津城)이 있다. |
신향현 | 信鄕縣 | 후한 순제때 안평현(安平縣)으로 개명되었고 탁군을 거쳐 안평국으로 이관되었다. |
위진
[편집]226년(조위 문제 황초 7년) 8월 12일 조비의 아들 조경이 청하왕으로 임명되면서 청하국으로 승격되었다. 6현 22,000호를 거느렸다.[13]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청하현 | 淸河縣 | 랴오청 시 린칭 시 북동 | 서진대에 감릉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동무성현 | 東武城縣 | 헝수이 시 구청 현 남 서반둔 일대 | |
역막후국 | 繹幕候國 | 더저우시 핑위안현 북서 | |
패구현 | 貝丘縣 | 랴오청 시 린칭 시 남 | |
영현 | 靈縣 | 랴오청시 가오탕현 남 | |
유현 | 鄃縣 | 더저우시 핑위안현 남서 |
북위
[편집]401년(북위 도무제 천흥 4년) 상주가 신설됨에 따라 위군, 광평군, 양평군, 급군, 돈구군과 함께 상주로 내속되었다. 4현 26,033호 123,670명을 거느렸다.[14]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청하현 | 淸河縣 | 랴오청 시 샤진 현 | 하성(河城)이 현경내에 있었다. |
패구현 | 貝丘縣 | 랴오청 시 린칭 시 동남 대신장(大辛庄)일대 | |
후성현 | 候城縣 | 더저우 시 우청 현 양장(楊庄)일대? | 489년(북위 효문제 태화 13년) 후성(候城)에서 신설되었다. |
무성현 | 武城縣 | 변화없음 | 동무성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북주, 수
[편집]북주에서 패주(貝州)가 신설되었을 때 청하군이 본주의 속군이 되었다. 14현 36,544호를 거느렸다.[15]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청하현 | 淸河縣 | 싱타이 시 웨이 현 후관진(侯贯镇) | 개황초기 청하군이 폐지되면서 무성현(武城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고 새로운 무성현을 따로 신설했다. 596년(수 문제 개황 16년) 하진현(夏津縣)이 신설되었다가 대업초기 폐지되었고 청하군이 설치되었다. |
청양현 | 淸陽縣 | 랴오청 시 린칭 시 송림진(松林鎭)일대 | 북제때 후성현이 청하현에 통폐합되었고 청하현이 패구현에 통폐합되었다. 586년(수 문제 개황 6년) 청양현으로 개명되었다. |
무성현 | 武城縣 | 더저우 시 우청 현 노권둔진(鲁权屯镇)일대 | 개황초기 상성현(上城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역정현 | 曆亭縣 | 더저우 시 우청 현 동 | 596년 무성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
장남현 | 漳南縣 | 헝수이 시 구청 현 고성진(故城鎭) | 586년 동양현(東陽縣)으로 신설되었으나 598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북위때 만들어진 삭로성(索盧城)이 현경내에 있었는데, 북제때 조강현(棗强縣)으로 소속이 바뀌었다가 지금에 이르렀다. |
유현 | 鄃縣 | 헝수이 시 샤진 현 | 596년 복구되었다. |
임청현 | 臨淸縣 | 싱타이 시 린시현 | 북제때 폐지되었다가 586년 복구되었다. 또한 596년 사구현(沙丘縣)이 신설되었으나 대업초 폐지되었다. |
청천현 | 淸泉縣 | 싱타이 시 린시 현 동남 연점진일대 | 북제때 천동현(千童縣)이 편입되었다. |
청평현 | 淸平縣 | 랴오청 시 린칭 시 동남 강장진서쪽일대 | 586년 패구현으로 신설되었으나 596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고당현 | 高唐縣 | 더저우 시 가오탕 현 | 북위때 남청하군에 속했으나 북제때 본운이 폐지되면서 청하군의 속현이 되었다. |
경성현 | 經城縣 | 싱타이 시 웨이 현 경진(经镇) | 북제때 폐지되었다가 586년 복구되었다. 596년 부성현(府城縣)이 신설되었다가 대업초기 폐지되었다. |
종성현 | 宗城縣 | 싱타이 시 웨이 현 동 | 619년 광종현(廣宗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박평현 | 博平縣 | 랴오청 시 츠핑 현 왕채과촌(王菜瓜村) | 586년 영현(靈縣)이 분리복치되었다가 대업초 폐지되었다. |
치평현 | 茌平縣 | 랴오청 시 츠핑 현 동 | 북제때 폐지되었다가 개황초에 복구되었다. |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반고: 《한서》 권28상 지리지제8상
- ↑ 가 나 위와 같음, 권14 제후왕표제2
- ↑ 위와 같음, 권5 경제기제5
- ↑ 위와 같음, 권53 경십삼왕전제23
- ↑ 위와 같음, 권47 문삼왕전제17
- ↑ 위와 같음, 권80 선원육왕전제50
- ↑ 위와 같음, 권15하 왕자후표하제3
- ↑ 한서의 원문 글자는 𢘿(艸+心).
- ↑ 가 나 사마표: 《속한서》 지리지 제20
- ↑ 범엽: 《후한서》 권3 숙종효장제기제3
- ↑ 위와 같음, 권7 효환제기제7
- ↑ 위와 같음, 권9 효헌제기제9
- ↑ 《진서》14권 지 제4 지리지 上 기주 청하국 [1]
- ↑ 《위서》106권 上 제 5 지형지 2上 사주 청하군 [2]
- ↑ 《수서》29권 지 제30 지리지 中 기주 청하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