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지방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지방종
상완부의 지방종
진료과피부과, 일반외과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지방종(脂肪腫, lipoma)은 지방 조직으로 구성된 양성종양이다. 지방종은 가장 흔한 연조직의 양성 종양으로[1], 보통 만졌을 때 부드러운 질감에 주위조직에 고정되어있지 않고, 통증이 없다. 대부분의 지방종은 수 센티미터의 사이즈로 작으나 때로는 6센티미터 이상 크게 자라는 경우도 있다. 보통 40~60대의 성인에서 흔히 발견되지만 20~30대의 성인이나 청소년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몇몇 보고에 따르면 지방종이 악성화(악성종양으로 변화)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나,[2] 아직까진 학계에서 인정되지는 않았다.[3]

종류

[편집]

지방종에는 다양한 아형이 있다:[4]:624–5

  • 샘지방종(선지방종, Adenolipomas)에크린 땀샘(eccrine sweat glands)과 관련된 지방종이다.[5]:627
  • 혈관지방평활근종(Angiolipoleiomyoma)은 후천적으로 발생하며, 단일상의, 증상이 없는 말단 결절이며, 조직학적으로 경계가 명확한 피하조직의 종양이다. 이 종양은 평활근이나 혈관, 그리고 결체조직, 그리고 지방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4]:627
  • 혈관지방종(Angiolipoma)은 통증을 동반한 피하조직의 결절이며, 전형적인 지방종의 모든 특징을 다 가지고 있다.[4]:624[6]
  • 연골지방종(Chondroid lipomas)은 심층부에 위치하며, 단단하고 노란색의 종양으로 특징적으로 여성의 하지에서 발견된다.[4]:625
  • 뇌량지방종 (Corpus callosum lipoma)은 매우 드문 선천성 뇌병변으로 증상이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다.[7] 이 종양은 뇌의 뇌량이라는 부위에 발생하며, 뇌량은 Colossal commisure라고도 부르는 부위로 인간의 대뇌피질의 하부에 양측 뇌를 연결해주는 넓고 평편한 신경 섬유의 다발이다.
  • 동면종(Hibernoma)은 갈색 지방종을 뜻하는 말이며, 갈색지방에서 발생하는 지방종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여기서 갈색지방은 단순히 지방의 색깔이 갈색이라서 붙여진 이름이 아니며, 조직학적으로 일반 지방과는 다른 기능을 가지고 소아에서 발견할 수 있는 지방조직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 진피내 방추세포 지방종(Intradermal spindle cell lipomas)은 대부분 여성에서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며, 두부, 경부(목), 체간(몸통), 그리고 상하지에 고르게 발생한다.[4]:625[8]
  • 신경섬유지방종(Neural fibrolipomas)은 신경줄기를 따라 섬유지방조직이 과증식된 것이며, 종종 신경을 압박하여 증상을 일으킨다.[4]:625
  • 다형성지방종(Pleomorphic lipoma), 방추세포 지방종과 마찬가지로 남성 노인의 등과 목 부위에 주로 나타난다. 이 지방종은 조직학적 소견상 핵이 겹쳐져 보이는 꽃모양의 거대세포가 특징이다.[4]:625
  • 방추세포 지방종(Spindle-cell lipoma)은 증상이 없고, 천천히 자라는 피하조직의 종양으로 노인의 어깨나 목의 뒤쪽이나 등에 주로 발생한다.[4]:625
  • 표재성 피하지방종(Superficial subcutaneous lipomas)은 지방종에서 가장 흔한 형태로, 피부의 직하방에 발생한다.[3] 이 지방종은 대부분 몸통이나 대퇴부(허벅다리) 그리고 전완부(팔꿈치 아래)에 발생하며 지방조직이 있는 신체 어느곳이든 생길 수 있다.

유병율

[편집]
몸통에서 제거한 지방종
유방에서 제거한 지방종

대략, 인구의 1%에서 지방종이 발견된다.[3] 지방종은 아무 연령대에서나 나타날 수 있지만 대부분 중년에서 발견되며 보통 40~60대에서 많이 발견된다.[9] 피부 지방종은 소아에서 드물지만 유전질환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바나얀-조안나 증후군 Bannayan-Zonana syndrome).[10][11]

지방종은 보통 1~3Cm로 작지만[12] 수년에서 수십년간 자라 10~20Cm의 직경에 4~5kg에 육박하는 거대 지방종으로 자라는 경우도 보고되고 있다.[13][14]

원인

[편집]

몇몇 지방종은 가족성 다발성 지방종증(familial multiple lipomatosis)과 같은 유전적 경향을 제외하고는 비유전적 경향으로 발생한다.[15][16] 쥐를 이용한 몇몇 유전학적 연구에서 HMG I-C유전자(과거에는 비만과 관계된 것으로 밝혀있는 유전자이다)와 지방종의 발생간의 상관관계를 밝혀내기도 했다. 이런 연구결과는 중간엽종양(Mesenchymal Tumors)와 HMG I-C유전자가 인간에서 역학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지지하고 있다.[17]

몇몇 증례에서는 가벼운 손상이 지방종의 성장을 유발한다는 "외상후 지방종(Post-traumatic lipomas)"에 대해 보고하고 있으나[18], 아직까지 외상과 지방종의 발생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19]

치료

[편집]

통상적으로 지방종은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나, 통증이나 운동장애를 유발할때는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너무 크게 자란 지방종으로 인해 미용적인 이유로 수술받게 되며, 조직학적으로 지방육종과 같은 악성종양과 감별해낼 수 없을 때도 수술받는다[3]. 문제는 이 지방종을 제거해 병리학적 검사를 하기 전에는 이 덩어리가 양성인지 악성인지 구분할 수 없다는데에 있다.

지방종은 보통 단순 절제만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9], 부분마취하에서 30분이내에 해결할 수 있다.[20] 지방종의 크기가 크거나 근육층까지 침범한 경우에는 전신 마취가 필요할 수도 있다. 다만 전체 수술건수에서 1~2%정도가 절제후 재발한다.[21] 지방흡인술(Liposuction)이 지방종이나 다른 결체조직 질환에서의 또다른 치료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지방흡인술을 이용할 경우 흉터(반흔)가 덜 남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지방흡인술만으로는 사이즈가 큰 지방을 완벽하게 제거하기는 어려우며 재발가능성이 높다.[22]

현재 흉터(반흔)를 남기지 않고 지방종을 제거하는 방법이 개발중이며, 스테로이드포스파티딜콜린을 주사해 지방분해를 유도하는 방법이 그 예이다.[9][23]

예후

[편집]

지방종이 환자의 생명에 치명적인 경우는 거의 없으며 피하조직의 지방종역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는다.하지만 내부장기에 생긴 지방종의 경우 위험할 수 있으며, 위장관계에 발생한 지방종은 출혈이나 궤양, 그리고 통증을 동반한 폐색을 일으킬 수 있다(흔히 조직학적으로는 양성이나 위치상 악성이라고 부른다)[24][25]

지방종의 악성변화(지방육종같은)는 극히 드물며 대부분의 지방육종은 양성병변(지방종)이 있던 자리에서 발생하지 않는다.[21] 하지만 뼈나 신장의 지방종에서 악성변화가 있었다는 보고가 있었다.[26][27] 하지만 이 보고들 역시 지방육종이 잘 분화되었거나(지방종과 유사해보여) 일부에서만 악성병변을 가지고 있어 초기 검사에서 놓쳤을 수 있다.[28]

심부의 지방종의 경우, 수술적 제거후에 표재성 지방종보다 재발할 확률이 높은데, 이것은 심부에 위치한 지방종의 외과적 절제가 그렇게 쉽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28][29]

수의학

[편집]

지방종은 대부분의 동물들에서 발견되나 나이든 개에서 흔하고, 특히 레브라도 리트리버종(Labrador Retrievers)나 도베르만 핀셔(Doberman Pinschers), 그리고 미니어쳐 슈나우저(Miniature Schnauzers)에서 흔하다.[30] 과체중의 암컷 개에서 특히 이런 종류의 종양이 자주 발생하며, 나이들고 과체중인 개의 경우 적어도 1개의 지방종이 발견된다.[31][32] 개에서는 보통 몸통이나 앞다리에서 지방종이 발견된다.[30] 지방종은 소(Cattle)이나 말에서도 드물게 발견되며, 고양이나 돼지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32][33]

유경성 지방종(버섯처럼 줄기가 있고 머리에 지방종이 달린 모양)은 말에서 장폐색이나 장염전을 일으켜 산통, 괴사, 그리고 사망까지 이르게 할 수 있다.[34]

지방종과 관련된 다른 질환들

[편집]

지방종증(Lipomatosis)은 전신에 다발성의 지방종이 생기는 유전질환으로 알려져있다.

통증지방종(Adiposis dolorosa, 더컴병(Dercum disease))은 드문 질환으로 다발성으로 발생한 지방종부위의 통증과 부종, 그리고 피로감을 느끼는 질환이다. 이 질환은 일반적으로 폐경기의 비만 여성에서 발견된다.[35]

양성 대칭성 지방종증(Benign symmetric lipomatosis, Madelung disease)은 지방종증의 또다른 형태로, 거의 대부분 중년의 알코올 중독자에서 발견된다. 하지만 알코올 중독이 아닌 여성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출처 필요]

각주

[편집]
  1. Bancroft LW, Kransdorf MJ, Peterson JJ, O'Connor MI (2006년 10월). “Benign fatty tumors: classification, clinical course, imaging appearance, and treatment”. 《Skeletal Radiol.》 35 (10): 719–33. doi:10.1007/s00256-006-0189-y. PMID 16927086. 
  2. 'Obesity Gene' Causes Cancer of Fat Tissue, Schepens Scientists Find Archived 2005년 4월 26일 - 웨이백 머신 Schepens Eye Research Institute (Harvard Medical School affiliate). April 26, 2000
  3. Lipomas - eMedicine
  4. James, William D.; Berger, Timothy G.; Elston, Dirk M. (2005).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Clinical Dermatology》 10판. London: Elsevier. ISBN 0-7216-2921-0. 
  5. James, William D.; Berger, Timothy G.; Elston, Dirk M. (2011).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Clinical Dermatology》 11판. London: Elsevier. ISBN 9781437703146. 
  6. Rapini, Ronald P.; Bolognia, Jean L.; Jorizzo, Joseph L. (2007). 《Dermatology: 2-Volume Set》. St. Louis: Mosby. 1838쪽. ISBN 1-4160-2999-0. 
  7. Wallace D (1976년 12월). “Lipoma of the corpus callosum”.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39 (12): 1179–85. doi:10.1136/jnnp.39.12.1179. PMC 492562. PMID 1011028. 
  8. Rapini, Ronald P.; Bolognia, Jean L.; Jorizzo, Joseph L. (2007). 《Dermatology: 2-Volume Set》. St. Louis: Mosby. 1838–9쪽. ISBN 1-4160-2999-0. 
  9. Salam GA (2002년 3월). “Lipoma excision”. 《Am Fam Physician》 65 (5): 901–4. PMID 11898962. 2008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20일에 확인함. 
  10. Buisson P, Leclair MD, Jacquemont S; 외. (2006년 9월). “Cutaneous lipoma in children: 5 cases with Bannayan-Riley-Ruvalcaba syndrome”. 《J. Pediatr. Surg.》 41 (9): 1601–3. doi:10.1016/j.jpedsurg.2006.05.013. PMID 16952599. 
  11. Gujrati M, Thomas C, Zelby A, Jensen E, Lee JM (1998년 8월). “Bannayan-Zonana syndrome: a rare autosomal dominant syndrome with multiple lipomas and hemangiomas: a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Surg Neurol》 50 (2): 164–8. doi:10.1016/S0090-3019(98)00039-1. PMID 9701122. 
  12. Lipoma—topic overview at webmd.com
  13. Hakim E, Kolander Y, Meller Y, Moses M, Sagi A (1994년 8월). “Gigantic lipomas”. 《Plast. Reconstr. Surg.》 94 (2): 369–71. doi:10.1097/00006534-199408000-00025. PMID 8041830. 
  14. Terzioglu A, Tuncali D, Yuksel A, Bingul F, Aslan G (2004년 3월). “Giant lipomas: a series of 12 consecutive cases and a giant liposarcoma of the thigh”. 《Dermatol Surg》 30 (3): 463–7. doi:10.1111/j.1524-4725.2004.30022.x. PMID 15008886. 
  15. Leffell DJ, Braverman IM (1986년 8월). “Familial multiple lipomatosis. Report of a case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Am. Acad. Dermatol.》 15 (2 Pt 1): 275–9. doi:10.1016/S0190-9622(86)70166-7. PMID 3745530. 
  16. Toy BR (2003년 10월). “Familial multiple lipomatosis”. 《Dermatol. Online J.》 9 (4): 9. PMID 14594582. 
  17. Arlotta P, Tai AK, Manfioletti G, Clifford C, Jay G, Ono SJ. (2000년 5월). “Transgenic mice expressing a truncated form of the high mobility group I-C protein develop adiposity and an abnormally high prevalence of lipomas”. 《J Biol Chem.》 275 (19): 14394–400. doi:10.1074/jbc.M000564200. PMID 10747931. 
  18. Signorini M, Campiglio GL (1998년 3월). “Posttraumatic lipomas: where do they really come from?”. 《Plast. Reconstr. Surg.》 101 (3): 699–705. doi:10.1097/00006534-199803000-00017. PMID 9500386. 
  19. Aust MC, Spies M, Kall S, Jokuszies A, Gohritz A, Vogt P (2007). “Posttraumatic lipoma: fact or fiction?”. 《Skinmed》 6 (6): 266–70. doi:10.1111/j.1540-9740.2007.06361.x. PMID 17975353. 2009년 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20일에 확인함. 
  20. “Lipoma removal surgery”. 2010년 7월 26일에 확인함. 
  21. Dalal KM, Antonescu CR, Singer S (2008년 3월). “Diagnosis and management of lipomatous tumors”. 《J Surg Oncol》 97 (4): 298–313. doi:10.1002/jso.20975. PMID 18286473. 
  22. Al-basti HA, El-Khatib HA (2002). “The use of suction-assisted surgical extraction of moderate and large lipomas: long-term follow-up”. 《Aesthetic Plast Surg》 26 (2): 114–7. doi:10.1007/s00266-002-1492-1. PMID 12016495. 
  23. Bechara FG, Sand M, Sand D; 외. (2006). “Lipolysis of lipomas in patients with familial multiple lipomatosis: an ultrasonography-controlled trial”. 《J Cutan Med Surg》 10 (4): 155–9. PMID 17234112. 
  24. Thompson WM (2005년 4월 1일). “Imaging and findings of lipoma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AJR Am J Roentgenol》 184 (4): 1163–71. PMID 15788588. 
  25. Taylor AJ, Stewart ET, Dodds WJ (1990년 12월 1일). “Gastrointestinal lipomas: a radiologic and pathologic review”. 《AJR Am J Roentgenol》 155 (6): 1205–10. PMID 2122666. 
  26. Milgram JW (1990). “Malignant transformation in bone lipomas”. 《Skeletal Radiol.》 19 (5): 347–52. doi:10.1007/BF00193088. PMID 2165632. 
  27. Lowe BA, Brewer J, Houghton DC, Jacobson E, Pitre T (1992년 5월). “Malignant transformation of angiomyolipoma”. 《J. Urol.》 147 (5): 1356–8. PMID 1569683. 
  28. Goldblum, John R.; Weiss, Sharon W.; Enzinger, Franz M. (2008). 《Enzinger and Weiss's soft tissue tumors》 5판. Mosby Elsevier. ISBN 0-323-04628-2. 
  29. Fletcher, C.D.M., Unni, K.K., Mertens, F. (2002). 《Pathology and Genetics of Tumours of Soft Tissue and Bone》.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of Tumours 4. Lyon: IARC Press. ISBN 92-832-2413-2. 
  30. Adipose Tissue Tumors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The Merck Veterinary Manual, (9th ed.)
  31. Lipomas Archived 2008년 7월 20일 - 웨이백 머신 Veterinary & Aquatic Services Department, Purina
  32. Lipoma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33. Lipomas (Fatty Tumors) Archived 2008년 5월 18일 - 웨이백 머신 Veterinary Q & A
  34. 《The Merck Veterinary Manual》. Merial. 9th Edition. ISBN 0911910506. 
  35. Lipomas - eMedicine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