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제주시 濟州市 | |
---|---|
행정시 | |
제주시의 위치 |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행정 구역 | 4읍, 3면, 19동 |
법정동 | 40동 |
청사 소재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광양9길 10 (이도동) |
단체장 | 김완근(무소속) |
국회의원 | 갑: 문대림(더불어민주당) 을: 김한규(더불어민주당) |
지리 | |
면적 | 977.8km2 |
인문 | |
인구 | 489,567명 |
지역 부호 | |
지역번호 | 064 |
웹사이트 | https://www.jejusi.go.kr/index.ac |
제주시(濟州市)는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의 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행정시이다. 과거 북제주군에 속했던 제주읍이 제주항을 중심으로 도시화되어 1955년 자치시인 제주시로 승격하여 분리됐다가,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 출범과 함께 동서로 접하던 자치군이었던 북제주군과 통합하여 행정시가 되었다.
역사
[편집]고대에는 탐라란 이름으로 불린 독립된 지역이었지만 백제와 신라에 조공을 하는 등 간접적인 지배를 받기도 하였다.
938년에 고말로(高末老)가 고려에 입조와 복속하였다. 1105년 고려는 탐라라는 국호를 폐지하고 탐라군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구 지배층의 지방 지배는 인정되었다. 13세기 원 간섭기에 제주도는 몽골의 직할령이 되었다가 1294년에서는 다시 고려에 귀속되었다.
1402년(조선 태종 2)부터 실질적인 조선의 행정권에 포함되었으며, 1416년(태종 16) 한라산을 경계로 산북을 제주목(濟州牧)으로 고치고 목사를 파견해 통치하였다. 1895년 지방제도 개정으로 23부의 하나인 제주부가 설치되었다가 1896년에 13도제 실시로 전라남도에 소속되었다. 근대에 들어와 1901년 이재수의 난이 일어나기도 했다.
-
1999년까지 사용된 제주시의 기
-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사용된 제주시의 기
지리
[편집]제주시는 화산체로 화산활동이 크게 5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소규모 용암 분출과 화산쇄설물의 분출은 총 79회 정도가 이루어졌다.
기후
[편집]제주시의 연평균 기온은 16.2°C로 비슷한 위도를 갖는 세계의 다른 도시들에 비해 비교적 낮은 기온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제주가 대륙 동안(東岸)의 해양도시로서 겨울에는 대륙의 영향을 깊게 받아 저온이 되고 여름은 정반대로 해양의 영향을 받아 고온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제주시는 우리나라에서는 비가 가장 많이 내리는 지역에 속한다. 이는 6월말부터 7월 중순까지 강우전선으로 인한 강우와 9월초부터 중순까지 흐리며, 때때로 내리는 가을비 그리고 7 ~ 8월에 한두 번씩 휩쓸고 지나가는 태풍으로 인한 폭우 등이 포함된 것이다. 그리고 제주는 겨울에 북서계절풍이 탁월하여 지형적 강설이 빈번하다.[1] 또한 2020년 1월 7일에는 23.6도로 대한민국 1월 관측사상 최고기온이 관측된 곳이기도 하다.[2]
제주시 (제주지방기상청, 일도일동)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역대 최고 기온 °C (°F) | 23.6 (74.5) |
24.5 (76.1) |
28.1 (82.6) |
30.9 (87.6) |
33.1 (91.6) |
34.5 (94.1) |
37.5 (99.5) |
37.5 (99.5) |
34.4 (93.9) |
32.1 (89.8) |
26.7 (80.1) |
23.3 (73.9) |
37.5 (99.5)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8.6 (47.5) |
9.9 (49.8) |
13.3 (55.9) |
18.0 (64.4) |
22.1 (71.8) |
24.9 (76.8) |
29.3 (84.7) |
30.1 (86.2) |
26.1 (79.0) |
21.6 (70.9) |
16.4 (61.5) |
11.0 (51.8) |
19.3 (66.7) |
일일 평균 기온 °C (°F) | 6.1 (43.0) |
6.8 (44.2) |
9.8 (49.6) |
14.2 (57.6) |
18.3 (64.9) |
21.7 (71.1) |
26.2 (79.2) |
27.2 (81.0) |
23.3 (73.9) |
18.6 (65.5) |
13.3 (55.9) |
8.3 (46.9) |
16.2 (61.2)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3.7 (38.7) |
4.0 (39.2) |
6.6 (43.9) |
10.8 (51.4) |
15.0 (59.0) |
19.1 (66.4) |
23.7 (74.7) |
24.8 (76.6) |
20.9 (69.6) |
15.7 (60.3) |
10.4 (50.7) |
5.6 (42.1) |
13.4 (56.1) |
역대 최저 기온 °C (°F) | −5.8 (21.6) |
−6.0 (21.2) |
−4.1 (24.6) |
−0.2 (31.6) |
4.0 (39.2) |
9.2 (48.6) |
15.0 (59.0) |
15.8 (60.4) |
9.8 (49.6) |
5.5 (41.9) |
0.5 (32.9) |
−3.6 (25.5) |
−6.0 (21.2)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67.5 (2.66) |
57.2 (2.25) |
90.6 (3.57) |
89.7 (3.53) |
95.6 (3.76) |
171.2 (6.74) |
210.2 (8.28) |
272.3 (10.72) |
227.8 (8.97) |
95.1 (3.74) |
69.5 (2.74) |
55.6 (2.19) |
1,502.3 (59.15)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12.2 | 10.2 | 10.3 | 9.4 | 9.8 | 11.7 | 11.8 | 13.2 | 11.2 | 6.7 | 9.8 | 11.5 | 127.8 |
평균 강설일수 | 7.2 | 4.2 | 1.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4 | 5.3 | 18.1 |
평균 상대 습도 (%) | 64.0 | 63.3 | 63.2 | 64.8 | 68.4 | 77.9 | 78.3 | 76.2 | 73.7 | 66.4 | 65.0 | 64.1 | 68.8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70.2 | 110.0 | 166.0 | 196.5 | 212.2 | 159.7 | 189.8 | 195.1 | 158.9 | 173.3 | 123.7 | 79.1 | 1,834.5 |
출처: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23년~현재)[3][4] |
고산 (고산기상레이더관측소,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역대 최고 기온 °C (°F) | 18.8 (65.8) |
20.1 (68.2) |
21.4 (70.5) |
27.3 (81.1) |
27.5 (81.5) |
29.6 (85.3) |
34.3 (93.7) |
35.5 (95.9) |
32.5 (90.5) |
30.3 (86.5) |
26.8 (80.2) |
22.0 (71.6) |
35.5 (95.9)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8.4 (47.1) |
9.4 (48.9) |
12.5 (54.5) |
16.7 (62.1) |
20.4 (68.7) |
23.7 (74.7) |
27.4 (81.3) |
29.3 (84.7) |
26.1 (79.0) |
21.4 (70.5) |
16.4 (61.5) |
11.0 (51.8) |
18.6 (65.5) |
일일 평균 기온 °C (°F) | 6.1 (43.0) |
6.6 (43.9) |
9.4 (48.9) |
13.4 (56.1) |
17.1 (62.8) |
20.7 (69.3) |
24.9 (76.8) |
26.4 (79.5) |
23.0 (73.4) |
18.5 (65.3) |
13.5 (56.3) |
8.5 (47.3) |
15.7 (60.3)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3.8 (38.8) |
4.1 (39.4) |
6.5 (43.7) |
10.5 (50.9) |
14.3 (57.7) |
18.4 (65.1) |
22.9 (73.2) |
24.1 (75.4) |
20.6 (69.1) |
15.9 (60.6) |
10.9 (51.6) |
5.9 (42.6) |
13.2 (55.8) |
역대 최저 기온 °C (°F) | −6.2 (20.8) |
−3.0 (26.6) |
−2.3 (27.9) |
3.3 (37.9) |
9.2 (48.6) |
12.7 (54.9) |
16.8 (62.2) |
17.1 (62.8) |
14.8 (58.6) |
7.3 (45.1) |
0.8 (33.4) |
−2.0 (28.4) |
−6.2 (20.8)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40.6 (1.60) |
47.8 (1.88) |
76.2 (3.00) |
94.7 (3.73) |
117.7 (4.63) |
158.1 (6.22) |
167.7 (6.60) |
201.9 (7.95) |
120.4 (4.74) |
56.9 (2.24) |
60.2 (2.37) |
40.7 (1.60) |
1,182.9 (46.57)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10.6 | 9.0 | 10.2 | 9.0 | 9.6 | 11.3 | 11.3 | 13.1 | 9.6 | 6.3 | 8.6 | 10.4 | 119.0 |
평균 상대 습도 (%) | 66.9 | 68.0 | 69.9 | 74.2 | 80.2 | 86.2 | 89.2 | 83.9 | 77.8 | 69.7 | 67.9 | 66.5 | 75.0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95.4 | 131.0 | 175.4 | 196.3 | 205.3 | 156.0 | 172.6 | 219.7 | 187.4 | 206.6 | 150.7 | 106.3 | 2,002.7 |
출처: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88년~현재)[5][6] |
행정
[편집]북제주의 산지천 하구에 있는 제주도 유일의 개항장이며, 도 행정·경제·문화의 중심지다. 이는 고대로부터 이용해 온 산지항을 축항하여 개조한 것이다. 육지와는 정기선이 운항되고 서쪽 교외에는 비행장이 있어 각지에 통한다. 해저의 암초와 풍랑을 막아 주는 섬이 없어 1926 ~ 1942년에 동·서 양측에 방파제를 구축하였다. 이 항구는 무역항일 뿐 아니라 어항으로도 중요하다.
1947년 산지항을 제주항으로 개칭하는 동시에 개항장으로 1955년 9월 1일 북제주군 제주읍을 제주시로 승격하였다.[7] 2005년에는 제주도 행정구역개편에 관하는 주민투표가 실시되어 제주시와 북제주군의 통합을 지지하는 안이 채택되었으며, 2006년 7월 1일 제주특별자치도의 출범과 함께 북제주군과 통합하여 행정시로 전환되었다.[8]
용암대지의 말단부에는 용천(湧泉)이 있어 인가가 가장 밀집하여 대도시를 이루고 있다. 시가는 해안을 따라 대상으로 발달되었으며, 매년 인구가 증가하여 서부지역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시내에는 도청과 시청을 비롯한 행정, 문화, 언론, 금융 기관 등을 비롯하여 제주대학교, 3개의 전문대학,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등이 있다.
행정 구역
[편집]제주시의 행정 구역은 4읍, 3면, 19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2년 6월 기준으로 제주시의 인구는 493,538명이다.[9]
읍면동 | 한자 | 면적 | 인구 | 세대 |
---|---|---|---|---|
한림읍 | 翰林邑 | 91.09 | 21,156 | 10,689 |
애월읍 | 涯月邑 | 202.16 | 37,601 | 17,341 |
구좌읍 | 舊左邑 | 185.93 | 15,434 | 8,000 |
조천읍 | 朝天邑 | 150.64 | 25,720 | 11,834 |
한경면 | 翰京面 | 79.03 | 9,419 | 5,065 |
추자면 | 楸子面 | 7.05 | 1,566 | 942 |
우도면 | 牛島面 | 6.18 | 1,685 | 909 |
일도1동 | 一徒洞 | 0.33 | 2,361 | 1,402 |
일도2동 | 2.18 | 32,133 | 13,376 | |
이도1동 | 二徒洞 | 0.69 | 7,627 | 3,885 |
이도2동 | 5.4 | 49,202 | 21,263 | |
삼도1동 | 三徒洞 | 1.27 | 13,321 | 6,078 |
삼도2동 | 0.83 | 7,947 | 4,143 | |
용담1동 | 龍潭洞 | 0.61 | 6,851 | 3,444 |
용담2동 | 4.93 | 14,349 | 6,443 | |
건입동 | 健入洞 | 2.53 | 8,936 | 4,203 |
화북동 | 禾北洞 | 8.29 | 23,853 | 9,684 |
삼양동 | 三陽洞 | 9.53 | 26,182 | 10,024 |
봉개동 | 奉蓋洞 | 47.34 | 5,283 | 2,408 |
아라동 | 我羅洞 | 70.64 | 38,905 | 16,499 |
오라동 | 吾羅洞 | 28.74 | 16,063 | 6,348 |
연동 | 連洞 | 12.32 | 42,283 | 21,861 |
노형동 | 老衡洞 | 45.24 | 55,502 | 23,656 |
외도동 | 外都洞 | 8.4 | 22,384 | 8,878 |
이호동 | 梨湖洞 | 2.56 | 4,490 | 1,959 |
도두동 | 道頭洞 | 4.03 | 3,285 | 1,556 |
제주시 | 濟州市 | 977.94 | 493,538 | 221,890 |
인구
[편집]연도 | 인구 | ±% p.a. |
---|---|---|
1980 | 290,116 | — |
1990 | 341,482 | +1.64% |
2000 | 367,364 | +0.73% |
2010 | 401,192 | +0.88% |
2015 | 451,758 | +2.40% |
2020 | 492,306 | +1.73% |
출처: Citypopulation[10] |
시청
[편집]관광
[편집]교통
[편집]항공
[편집]버스
[편집]급행버스, 간선버스, 지선버스 등 3가지가 존재하며, 삼영교통, 금남여객, 극동여객, 제주여객, 삼화여객, 동진여객, 제주시 공영버스 등이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시외버스
[편집]주로 제주시내와 서귀포시내에서 읍면지역으로 빠르게 이어주고 있다. 다만 제주도에는 모든 노선이 시외버스에서 시내버스로 전환되면서 제주도에는 시외버스가 사실상 운행 종료와 함께 폐지된 상태다.
도로
[편집]제주시내에는 국도는 물론 고속도로는 없다. 과거에는 국도 제11호선, 제12호선, 제16호선, 제95호선, 제99호선 등이 전부 113X번대의 지방도로 전환되었으며, 국지도는 국가지원지방도 제97호선과 국가지원지방도 제99호선 단 두개뿐이다. 그래서 97번과 99번를 제외하면 전부 지방도 뿐이다. 그 외에도 지방도가 아니라 일부의 지역 간선도로가 있으며, 추자도의 경우 지방도 제1114호선이 놓여 있다.
철도
[편집]철도는 과거에 부설된 경우는 있지만 제주도는 본시부터 순환 철도를 건설할 계획도 있었으나 제주시에는 철도가 당연히 없다. 이웃나라인 일본의 오키나와현에 부설된 도시 철도인 오키나와 도시 모노레일 선이 있는 것과 달리 제주도에는 관통되어 있는 철도 교통은 당연히 없다. 하지만 장래에는 호남고속철도가 제주도까지 연결될 계획에 있다. 그래서 호남고속철도의 목포, 해남 땅끝마을, 보길도 등지를 거쳐 해저 터널로 계획할 예정에 있기 때문에 호남고속철도가 제주도에 진입하게 되면 제주도에는 철도 교통이 새로운 관문으로 예상된다.
교육
[편집]학교
[편집]이 외에도 특수학교는 제주영송학교, 제주영지학교, 제주제일고등학교 부설 방송통신고등학교 등이 있다.
도서관
[편집]자매 도시
[편집]지역 & 국가 | 도시 | |
---|---|---|
대한민국 | 강원특별자치도 | 춘천시 (2014년) |
경기도 | 수원시 (1997년) | |
서울특별시 | 서대문구 (2003년) | |
인천광역시 | 강화군 (1989년) | |
전라남도 | 진도군(1989년) | |
전북특별자치도 | 전주시 (2016년) | |
충청북도 | 청주시 (2015년) | |
미국 | 네바다주 | 라스베이거스 (1996년) |
일본 | 도쿄도 | 아라카와구 (2006년) |
오이타현 | 벳푸 시 (2013년) | |
와카야마현 | 와카야마시 (1987년) | |
효고현 | 산다시 (1997년) | |
중국 | 광시 좡족 자치구 | 구이린 (1999년) |
장쑤성 | 양저우 (2000년) | |
장쑤성 | 쿤산 (2002년) | |
지린성 | 훈춘 시 (2007년) | |
캐나다 | 앨버타주 | 캘거리 (1997년) |
프랑스 | 루앙 (2004년) | |
오를리 (2009년)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오라동 마을 소개 Archived 2017년 10월 7일 - 웨이백 머신, 2011년 7월 확인
- ↑ https://www.youtube.com/watch?v=YiMv7uPbQVE
- ↑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제주(184)”. 기상청. 2021년 3월 25일에 확인함.
- ↑ “순위값 - 구역별조회 제주(184)”. 기상청.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고산(185)”. 기상청. 2021년 3월 25일에 확인함.
- ↑ “순위값 - 구역별조회 고산(185)”. 기상청.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법률 제368호 제주시설치에관한법률 (1955년 8월 13일)
- ↑ 법률 제7849호 제주특별자치도 설치와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2006년 2월 21일)
- ↑ 행정안전부 인구통계 참조.
- ↑ “South Korea: Provinces and cities” (영어).
외부 링크
[편집]- 제주시청 홈페이지
- 디지털제주시문화대전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전라남도 진도군 | 전라남도 해남군 전라남도 완도군 |
전라남도 장흥군 | ||
남해 | 남해 |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