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양광총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광총독(兩廣總督)은 중국 명나라청나라 조정의 지방 장관의 관직이다. 광주(廣州)를 중심으로 그 동서인 양광(광동, 광서) 지방을 관리하는 총독으로 지역의 군정 · 민정 모두를 총괄했다.

19세기의 광주는 청나라의 대표적인 외국 무역항이었다. 따라서 양광총독은 통상과 외교 등 대외 사안을 다루는 경우가 빈번했다. 삼각무역에 의한 유출을 막기 어려운 자리였다. 1840년, 제1차 아편 전쟁, 1856년, 제2차 아편 전쟁에서 광주는 외국과의 충돌하는 주요 전장이었다. 1844년에는 그간 임시 관직이었던 흠차대신(欽差大臣, 외국과의 협상을 하는 전권대사)을 상설하고 양광총독에게 겸임시켰다.

연혁

[편집]

명대

[편집]
  • 경태(景泰) 3년(1452), 우겸(于謙)이 양광총독 설립을 주청하였고, 왕고(王翱)를 총독양광군무좌도어사(總督兩廣軍務左都御史)로 임명, 최초 양광총독이 되었으나, 정해진 부임지는 없었다.[1]
  • 성화(成化) 원년(1465), 한옹(韓雍)이 좌도어사겸제독양광군무(左都御史兼提督兩廣軍務)로 임명되어, 오주(梧州)에 주둔하였다.[2]
  • 성화(成化) 5년(1469), 오주에 양광총독부(兩廣總督府)가 설립되어, 한옹이 총독이 되었다. 이후 양광총독은 고정된 제도로 자리잡는다.
  • 가정(嘉靖) 15년(1536), 양광총독 전여경(錢如京)이 조경(肇慶)에서 행대(行臺, 임시 관아)를 설치하였다.[3]
  • 가정(嘉靖) 43년(1564), 양광총독 오계방(吳桂芳)이 총독부를 조경으로 이전할 것을 주청하였다.

청대

[편집]

청대 양광총독의 전신은 1644년(순치 원년)에 설치된 광동총독(廣東總督)이다. 총독부는 광주(廣州)에 설치되었고, 광동과 광서를 관할했다.

  • 1655년 (순치 12년), 총독부를 광서성(廣西省) 오주(梧州)로 옮긴다.
  • 1663년 (강희 2년), 광동총독(廣東總督)과 광서총독(廣西總督)을 분할했기 때문에 총독부는 광주로 이전되었다.
  • 1664년 (강희 3년), 광서총독의 폐지에 따라 광서는 다시 광동총독의 관할 하에 있게 되었다. 광동총독부를 광동 조경(肇慶)으로 이전한다.
  • 1723년 (옹정 원년) 다시 광동총독과 광서총독을 분할했고, 이듬해(옹정 2년) 다시 통합되었다.
  • 1729년 (옹정 7년), 묘족(苗族)의 반란이 일어나자 서남 방면의 군사 지휘권을 통일하기 위해 광서성운귀총독(雲貴總督)의 관할에 편입된다.
  • 1734년 (옹정 12년), 광서성이 광동총독의 관할로 편입된다. 칭호가 양광총독(兩廣總督)으로 바뀐다.
  • 1746년 (건륭 11년), 양광총독부를 광주로 이전한다.
  • 1757년 (건륭 22년), 유럽 상인과의 교역을 광주에 한정하는 광동 무역 체제 (광동 체제)가 시작된다.
  • 1842년 (도광 22년), 남경조약(南京條約) 체결. 양광총독과 영국 홍콩총독과의 대등한 협상이 인정된다.
  • 1905년 (광서 31년), 양광총독이 광동순무(廣東巡撫)를 겸임하게 된다.

총독부

[편집]

1746년 이후 양광총독부는 광주에 있었다. 제1차 아편 전쟁 중인 1857년에 영불 연합군에 의해 광주가 점령되었을 때에는 총독부 건물은 파괴되었다. 1888년, 그곳을 철거하고 석실성심교당(石室聖心教堂)이라는 성당이 세워졌다.

역대 총독

[편집]

참고자료

[편집]
  • 청사고》, 116권 91지, 관직3 : 외관 (職官三:外官)
  1. 『明史』 卷177
  2. 『明史』 卷73
  3. 『明史』 卷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