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리아인
아시리아인 | |||
| |||
총인구 | |||
330만 ~ 500만+ 명[1][2][3][4][5][6][7] | |||
인구분포 | |||
현대 아시리아: | 수는 다를 수 있음 | ||
---|---|---|---|
이라크 | 140,000[8] (2024년 추산) | ||
시리아 | 200,000 ~ 877,000 (시리아 내전 이전)[9][10][11][12] | ||
튀르키예 | 25,000[13] | ||
이란 | 7,000 ~ 17,000[14] | ||
아시리아 디아스포라: | 수는 다를 수 있음 | ||
미국 | 600,000[15][16][17] | ||
스웨덴 | 150,000[18] | ||
독일 | 70,000 ~ 100,000[19][20] | ||
요르단 | 30,000 ~ 150,000[21][22] | ||
호주 | 61,000 (2020년)[23] | ||
레바논 | 50,000[24] | ||
네덜란드 | 25,000 ~ 35,000[25] | ||
캐나다 | 19,685[26] | ||
프랑스 | 16,000[27] | ||
그리스 | 6,000[28] | ||
오스트리아 | 2,500 ~ 5,000[29][30] | ||
러시아 | 4,421[31] | ||
영국 | 3,000 ~ 4,000[32] | ||
조지아 | 3,299[33][34] | ||
팔레스타인 | 1,500 ~ 5,000[35][36] | ||
우크라이나 | 3,143[37] | ||
이탈리아 | 3,000[38] | ||
아르메니아 | 2,755[39] | ||
뉴질랜드 | 1,497[40] | ||
이스라엘 | 1,000[41] | ||
덴마크 | 700[42] | ||
카자흐스탄 | 350[43] | ||
언어 | |||
신아람어 (아시리아 신아람어, 투로요어), 고전 시리아어 (전례적), 아카드어 (고대), 수메르어 (고대) | |||
종교 | |||
주로 Syriac Christianity 소수: 개신교, 이슬람교 그리고 유대교 | |||
민족계통 | |||
셈족 |
아시리아인(아람어: ܐܬܘܪܝܐ)은 아시리아에 거주하는 나라 없는 민족이다. 이들은 4가지로 분류된다.
역사
[편집]아시리아인은 주로 이라크 북부와 시리아 북동부, 이란 북서부, 튀르키예 동남부에 걸쳐 지역에 살며, 자신들은 이 지역을 베트 나흐라인(아람어: ܒܝܬ ܢܗܪ̈ܝܢ Bêṯ Nahrayn)이라고 하는데 "2개의 강(티그리스강 및 유프라테스강)에 끼워진 지역"의 뜻이다. 이는 그리스어의 메소포타미아(그리스어: Μεσοποταμία)의 어원이라고 여겨진다. 동시에 이 지역은 쿠르드족이 사는 쿠르디스탄과 겹치고 있다.
현대 아시리아인은 고대 아시리아에 기원을 두고 있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아시리아인의 역사는 기원전 25세기경부터 시작되었다고 추정된다. 아시리아인은 북부 메소포타미아에 정착하면서 니네베를 중심으로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일부인 아시리아 제국을 건설하였다. 기원전 612년에 신아시리아 제국이 멸망하면서 이후 아시리아인은 신바빌로니아와 아케메네스조 페르시아 등의 지배를 받았다. 기원전 1세기경에 로마-페르시아 전쟁의 결과 기원후 116년~363년까지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이 시기에 기독교가 전래되었다.
아시리아인은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파문을 당한 네스토리우스파(경교)의 교리와 단성설 교리를 받아드렸다. 이후 아시리아인은 아시리아 동방교회와 시리아 정교회를 중심으로 하여 아람어를 보존하였다.
7세기부터는 사산 왕조를 정복한 이슬람의 아랍인의 지배를 받기 시작했다. 하지만, 아랍인들에게 정복된 이후에도 아르메니아인과 함께 기독교를 믿는 민족으로 남게 되었다. 따라서 아시리아인은 이슬람의 지배 하에서 비무슬림의 딤미가 되었기 때문에, 비무슬림에게 부과되는 지즈야를 내야했다. 이후 아시리아인은 13세기에 일어난 몽골 제국의 침입을 받았고, 14세기에는 티무르 제국에서 자행된 약탈과 학살을 당했다.
17세기부터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20세기경에 아시리아인은 오스만 제국에 의해서 자행된 아시리아 집단살해에 따라 그 인구 수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많은 이들이 고향을 떠나게 되었다. 1932년에는 새롭게 독립한 이라크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2003년에 발발한 이라크 전쟁 이후로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의 공격을 받게 되었으며, 이러한 이슬람 원리주의의 단체로는 알카에다·ISIL/ISIS·알누스라 전선 등이 있다. 현재 이라크에서 아시리아인이 사는 지역은 쿠르드족 정권 하에 있으며 쿠르드 지역 정부 수립을 위해 원조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동시에 아시리아인의 자치권 청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인물
[편집]아시리아인 출신의 아가 페트로스(아람어: ܐܓܐ ܦܜܪܘܣ)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프랑스군 장성이었으며 흩어진 민족 중에서는 최초로 프랑스군 장성이 된 사람이었다.
우크라이나 출신 유도선수 야키우 함모도 아시리아계 우크라이나인이다.
언어
[편집]많은 아시리아인은 고대 오리엔트 지방의 국제적인 공용어이자 예수 시대에 갈릴리 지방과 팔레스타인 지역의 유대인들이 주로 사용했던 아람어(정확하게는 시리아어)를 사용한다. 이후 아람어는 현대 아람어(일명 아시리아어)로 변화되었다. 또한 디아스포라로 종교 언어로서의 아람어와 함께 거주 지역의 공용어(예: 아랍어, 페르시아어, 튀르키예어, 영어 등)을 사용한다.
종교
[편집]현재 아시리아인은 주로 기독교를 믿으나, 아시리아 동방교회, 칼데아 가톨릭교회, 시리아 정교회의 3가지로 나뉜다. 또한 20세기에는 아시리아 성공회 같은 개신교 종파도 추가되었다.
팔레스타인의 동쪽에서의 기독교의 역사는 사도 토마스(아람어: ܬܐܘܡܐ ܫܠܝܚܐ Ṯaumā s̲h̲liḥā) 등에 의해서 서기 33년에 만들어진 교단(토마스파)에 시작되었다.
미국의 의료선교사 아사헬 그랜트(Asahel Grant, August 17, 1807 – April 24, 1844)는 그의 책, <The Nestorians, or the lost tribes>에서 이들 아시리아인들이 이스라엘 북왕국의 포로들이 앗시리아 제국에 동화되어 오늘날까지 그 삶의 터전에서 이어오고 있는 것이며 특히 그들이 요셉의 둘째 아들인 에프라임의 후손, 즉 에프라임(Ephraim) 지파의 후손들이 그 주축을 이룬다고 주장하였다.
아시리아 동방교회
[편집]사산 제국을 통해 당나라의 중국에 건너 경교가 된 고대부터 계속 네스토리우스파에서 현존하는 일파이다. 또한, 서양 문헌에서는 고대 네스토리우스파 자체를 아시리아 동방 교회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 후 1552년에 신도의 일부가 아시리아 동방교회의 총 대주교 세습 제도에 반발하였고 이들은 이탈하여 동방 가톨릭교회의 일종인 칼데아 가톨릭교회를 세웠다.
칼데아 가톨릭교회
[편집]동방 가톨릭교회 교파 중에서 하나이며, 아시리아 동방교회의 일부가 16세기경에 교단을 이탈하여, 로마 가톨릭 교회와의 합당하여 탄생하였다. 바그다드에 총대주교좌(바빌론 총대주교좌)을 두고, 주로 북부 이라크와 미국의 디트로이트 등에 신자가 있다. 교단의 이름의 유래는 아시리아 제국 멸망 후에 일어난 신바빌로니아를 세운 칼데아인에서 유래한다.
시리아 정교회
[편집]시리아 정교회는 동방 기독교 교파 중에서 하나이다. 교리상 단성론으로 인식되지만 교단은 그 호칭을 싫어하기 때문에, 비(非)칼케돈파가 적절한 호칭이 된다.
같이 보기
[편집]외부 링크
[편집]- ↑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Refworld –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 Turkey: Syriacs”. 《Refworld》. 2019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6일에 확인함.
- ↑ Baumer 2006.
- ↑ Murre van den Berg 2011, 2304쪽.
- ↑ Simmons, Mary Kate (1998). 《Unrepresented Nations and Peoples Organization: yearbook》. Martinus Nijhoff Publishers. ISBN 978-90-411-0223-2.
- ↑ SIL Ethnologue estimate for the "ethnic population" associated with Neo-Aramaic 보관됨 2 1월 2012 - 웨이백 머신
- ↑ “Assyrians return to Turkey from Europe to save their culture”. 2020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5일에 확인함.
- ↑ “Assyrians: "3,000 Years of History, Yet the Internet is Our Only Home"”. 《www.culturalsurvival.org》. 2010년 3월 25일. 2017년 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5월 11일에 확인함.
- ↑ “The Shlama Population Project”. Shlama. 2019년 6월 13일에 확인함.
- ↑ “Syria's Assyrians threatened by extremists – Al-Monitor: the Pulse of the Middle East”. 《Al-Monitor》. 2014년 4월 28일. 2020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8일에 확인함.
- ↑ "Prior to the start of the war in Syria, it is estimated that the country was home to approximately 200,000 ethnic Assyrians" Syria: Assyrian Policy Institute 보관됨 31 10월 2020 - 웨이백 머신
- ↑ "The Assyrian population in Iraq, estimated at approximately 200,000, constitutes the largest remaining concentration of the ethnic group in the Middle East." Assyrian Policy Institute's Erasing the Legacy of the Khabour: Destruction of Assyrian Cultural Heritage in the Khabour Region of Syria 보관됨 28 10월 2020 - 웨이백 머신
- ↑ Turkey-Syria deal allows Syriacs to cross border for religious holidays "An estimated 25,000 Syriacs live in Turkey, while Syria boasts some 877,000."
- ↑ “2018 U.S. Department of State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Turkey”. 2020년 4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5월 11일에 확인함.
- ↑ “2018 U.S. Department of State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Iran”. 2019년 12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5월 11일에 확인함.
- ↑ “Assyrian Genocide Resolution Read in Arizona Assembly”. 《www.aina.org》. 2020년 3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27일에 확인함.
- ↑ “Arizona HCR2006 – TrackBill”. 《trackbill.com》 (영어). 2020년 7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27일에 확인함.
- ↑ “HCR2006 – 542R – I Ver”. 《www.azleg.gov》. 2020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27일에 확인함.
- ↑ Nyheter, SVT (2018년 5월 9일). “Statministerns folkmordsbesked kan avgöra kommunvalet: "Underskatta inte frågan"”. 《SVT Nyheter》 (스웨덴어). 2018년 5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11일에 확인함.
- ↑ "Diskussion zum Thema 'Aaramäische Christen' im Kapitelshaus" Borkener Zeitung (독일어) (archived link, 8 October 2011)
- ↑ 70,000 Syriac Christians according to REMID 보관됨 25 6월 2008 - 웨이백 머신 (of which 55,000 Syriac Orthodox).
- ↑ “Assyrian and Chaldean Christians Flee Iraq to Neighboring Jordan”. 《ChristianHeadlines.com》. 2023년 5월 11일에 확인함.
- ↑ “Brief History of Assyrians”. 《www.aina.org》. 2013년 10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5월 11일에 확인함.
- ↑ “2071.0 –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Reflecting Australia – Stories from the Census, 2016”. 2017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Lebanon | Assyrian Policy Institute”. 《Assyrian Policy》. 2021년 10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5월 11일에 확인함.
- ↑ Miri, Adhid (2021년 1월 27일). “Chaldeans in Europe Part V”. 《Chaldean News》. 2022년 1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 “Canada Census Profile 2021”. 《Census Profile, 2021 Census》. Statistics Canada Statistique Canada. 2021년 5월 7일. 2023년 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월 3일에 확인함.
- ↑ Wieviorka & Bataille 2007, 166쪽
- ↑ Tzilivakis, Kathy (2003년 5월 10일). “Iraq's Forgotten Christians Face Exclusion in Greece”. 《Athens News》. 2019년 3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7일에 확인함.
- ↑ “Assyrische Bevölkerung weltweit”. 《bethnahrin》. 2021년 10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24일에 확인함.
- ↑ Özkan, Duygu (2012년 3월 31일). “Die christlichen Assyrer zu Wien”. 《DiePresse》. 2019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24일에 확인함.
- ↑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4년 8월 31일에 확인함.
- ↑ "This figure is an estimate from the Assyrian Cultural and Advice Centre" [1] 보관됨 1 11월 2020 - 웨이백 머신 at Iraqi Assyrians in London: Beyond the 'Immigrant/Refugee' Divide; Journal of the Anthropological Society of Oxford, 1995 보관됨 28 10월 2020 - 웨이백 머신
- ↑ "According to the 1989 population census, there were 5,200 Assyrians in Georgia (0.1 percent); according to the 2002 census, their number dropped to 3,299, while their percentage remained the same" [2] 보관됨 2021-10-25 - 웨이백 머신 [The Assyrians of Georgia: Ethnic Specifics Should Be Preserved in the Journal of Central Asia and the Caucasus]
- ↑ “Georgia – ecoi.net – European Country of Origin Information Network”. 2014년 1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8일에 확인함.
- ↑ “Syriacs still going strong – Syriacs in Palestine”. 2017년 3월 28일. 2022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1월 7일에 확인함.
- ↑ Shams, Alex (2015년 11월 2일). “Learning the language of Jesus Christ”. 《Roads & Kingdoms》. 2019년 7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23일에 확인함.
- ↑ 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 National composition of population, 2001 census 보관됨 24 10월 2019 - 웨이백 머신 (Ukrainian)
- ↑ “Brief History of Assyrians”. 《www.aina.org》. 2023년 10월 11일에 확인함.
- ↑ “The Main Results of RA Census 2022, trilingual / Armenian Statistical Service of Republic of Armenia”. 《www.armstat.am》. 2024년 9월 23일에 확인함.
- ↑ “2013 Census ethnic group profiles: Assyrian”. Statistics New Zealand. 2018년 1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13일에 확인함.
- ↑ “The ethnic origin of Christians in Israel”. 《parshan.co.il》 (히브리어). 2019년 1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7일에 확인함.
- ↑ Fenger-Grøndahl, Af Malene (2017년 5월 1일). “Assyrer: At vi har vores eget sted, styrker min følelse af at høre til i Danmark”. 《Kristeligt Dagblad》 (덴마크어). 2021년 10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31일에 확인함.
- ↑ “Assyrian Community in Kazakhstan Survived Dark Times, Now Focuses on Education”. 《The Astana Times》. 2014년 12월 19일. 2021년 3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