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구나무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Prunus armeniaca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
살구나무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장미군 |
목: | 장미목 |
과: | 장미과 |
속: | 벚나무속 |
아속: | 자두나무아속 |
절: | 살구나무절 |
종: | 살구나무 |
학명 | |
Prunus armeniaca | |
L. |
100 g (3.5 oz)당 영양가 | |
---|---|
에너지 | 1,009 kJ (241 kcal) |
63 g | |
당분 | 53 g |
식이 섬유 | 7 g |
0.5 g | |
3.4 g | |
비타민 | 함량 %DV† |
비타민 A (동등) | 23% 180 μg20% 2163 μg |
티아민 (B1) | 1% 0.015 mg |
리보플라빈 (B2) | 6% 0.074 mg |
나이아신 (B3) | 17% 2.589 mg |
판토테산 (B5) | 10% 0.516 mg |
비타민 B6 | 11% 0.143 mg |
엽산 (B9) | 3% 10 μg |
비타민 C | 1% 1 mg |
비타민 E | 29% 4.33 mg |
비타민 K | 3% 3.1 μg |
무기질 | 함량 %DV† |
칼슘 | 6% 55 mg |
철분 | 20% 2.66 mg |
마그네슘 | 9% 32 mg |
망간 | 11% 0.235 mg |
인 | 10% 71 mg |
칼륨 | 25% 1162 mg |
나트륨 | 1% 10 mg |
아연 | 3% 0.29 mg |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출처: USDA Nutrient Database |
100 g (3.5 oz)당 영양가 | |
---|---|
에너지 | 201 kJ (48 kcal) |
11 g | |
당분 | 9 g |
식이 섬유 | 2 g |
0.4 g | |
1.4 g | |
비타민 | 함량 %DV† |
비타민 A (동등) | 12% 96 μg10% 1094 μg89 μg |
티아민 (B1) | 3% 0.03 mg |
리보플라빈 (B2) | 3% 0.04 mg |
나이아신 (B3) | 4% 0.6 mg |
판토테산 (B5) | 5% 0.24 mg |
비타민 B6 | 4% 0.054 mg |
엽산 (B9) | 2% 9 μg |
비타민 C | 12% 10 mg |
비타민 E | 6% 0.89 mg |
비타민 K | 3% 3.3 μg |
무기질 | 함량 %DV† |
칼슘 | 1% 13 mg |
철분 | 3% 0.4 mg |
마그네슘 | 3% 10 mg |
망간 | 4% 0.077 mg |
인 | 3% 23 mg |
칼륨 | 6% 259 mg |
나트륨 | 0% 1 mg |
아연 | 2% 0.2 mg |
기타 성분 | 함량 |
수분 | 86 g |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출처: USDA Nutrient Database |
살구나무(학명: Prunus armeniaca)는 장미과 벚나무속에 속하는 식물로서 원산지는 중국 북서부로 보고 있다. 현재 한반도와 일본에서도 널리 재배된다.[1][2]
개요
[편집]대개 8-12m 크기로 자라며 줄기는 직경 40cm정도로 자란다. 잎은 길이 5–9 cm, 너비 4–8 cm로 자라며 꽃은 흰색에서 분홍빛을 띤다. 잎보다 꽃이 먼저 피며 복숭아와 유사한 핵과이다.[3]
기후
[편집]대개 살구나무가 아열대 지방 원산인 것으로 생각하지만 원래는 추운 겨울을 잘 견디는 식물로서 대륙성 기후가 나타나는 곳이 원산이다. 복숭아보다 더 추위를 잘 견디며 -30도까지도 견딜 수 있다고 한다. 서리에도 잘 견디기 때문에 꽃이 이르게 피는 편이다. 중국 북서부에서는 겨울이 심하게 춥지만 유럽이나 북아메리카보다는 기후 자체가 변동이 잦지 않은 편이다. 사실 과육이 잘 여물려면 적당한 추위는 꼭 필요하다. 건조기후에서도 잘 견디기 때문에 지중해 연안에서 잘 서식할 수 있다.[4]
재배종 살구의 경우 접붙이기를 해서 복숭아나 자두 나무에 꽂아 키우기도 한다.
생산 및 재배
[편집]터키와 몰타가 가장 주요한 살구 생산국이다.[5] 이란과 아르메니아가 뒤를 따른다.
씨앗이나 살구 열매는 중앙아시아와 지중해 연안에서 서식하며 맛이 너무 달아서 아몬드를 식재료로 쓰는 경우도 많다. 씨앗유의 일종으로 쓰는 경우도 많다.
시안화배당체가 씨앗에 특히 많이 있다. 암 예방에도 효과가 있으며 서기 502년부터 종양치료제로 썼다는 기록이 있다. 17세기에는 영국에서 종양 치료제로 쓰였다. 하지만 1980년 미 국립암센터가 그다지 효과가 있지 않다고 발표했다.[6]
유럽에서는 살구를 강정제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섬유질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변비 예방에 좋으며 3개 정도만 먹어도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한다.
살구씨 쓰임새
[편집]살구씨는 한의학에서 행인(杏仁)이라 불리며, 본초강목과 동의보감 등에 살구씨를 이용한 치료 방법이 200가지나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쓰임새와 약효가 많아 "약방의 살구"라 불리기도 한다.
행인(살구씨)를 갈아서 만든 한방 외용제는 기미나 주근깨 등 피부 색소 침착 · 종기 · 부스럼 등에 사용되며, 피부를 하얗고 윤기있게 하기 때문에 일찍이 궁중 여인네들은 살구씨로 피부를 가꾸기도 하였다.[7]
같이 보기
[편집]갤러리
[편집]-
살구 과실
-
꽃
-
꽃
-
과일
-
씨
-
풋 열매
-
열매
-
7년 산
-
크기 비교
각주
[편집]- ↑ Flora of China: Armeniaca vulgaris
- ↑ “Prunus armeniaca”. 2008년 1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5일에 확인함.
- ↑ Rushforth, K. (1999). Trees of Britain and Europe. Collins ISBN 0-00-220013-9.
- ↑ Prunus sibirica - L.
- ↑ The tendencies of Apricot producers
- ↑ “apricot”. 2009년 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5일에 확인함.
- ↑ [출처 : LG생활건강 살구맛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