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서신
신약성경 |
---|
공동번역 개정판의 명칭을 사용했다. |
복음서 |
행전 |
사도행전 |
서신서 |
묵시록 |
요한의 묵시록 |
신약 성경의 사본 |
목회서신(牧會書信, pastoral epistles) 혹은 사목서신(司牧書信)은 신약성경의 정경 중 디모테오에게 보낸 첫째 편지, 디모테오에게 보낸 둘째 편지, 디도에게 보낸 편지의 세 서신서를 묶어 부르는 말이다. 가끔 여기에 필레몬에게 보낸 편지가 포함되기도 한다. 이 편지들은 공통적으로 교회를 감독하는 일에 대해 전달하고 있다. 목회 지침을 제시했다는 측면에 주목해 파울 안톤Paul Anton이 1926년에 처음 "목회pastoral" 서신이라는 이름을 붙였다.[1]
저작성
[편집]사도 바울로의 저작이라는 것이 전통적인 견해지만,[2] 18세기부터 바울로 이후에 쓰여졌을 가능성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3]
전통적 견해
[편집]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와[4] 폴리카르포스[5] 등 속사도들이 이 서신을 인용한 점, 무라토리단편에서 본 서신을 사도 바울로의 저작으로 인정한 점, 오리게네스가 바울로의 서신이 총 14편 남아있다고 언급한 점,[6] 오리게네스가 디도에게 보낸 편지에 주해를 작성한 사실이 인정되는 점[7] 등이 사도 바울로의 저작성을 뒷받침해준다.
비록 이 서신들이 다른 바울로 서신들과 문장에 차이가 있지만, 이것은 수취인이 회중이 아닌 목회자 개인이었기 때문에 발생하는 차이라는 설명도 존재한다.[8]
비평학적 견해
[편집]본 서신의 문장이나 내용들이 다른 바울로 서신들과 크게 다르다는 이유로 현재는 본 서신들이 바울로 사후에 쓰여졌다고 보는 견해가 주되다.[9] 이런 주장은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가 1807년에 주장한 이후로 성서비평학계를 중심으로 전세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진다.[10] 슐라이마이허는 본 서신들이 바울로의 시대보다 더 발전된 형태의 영지주의에 대응하기 위해 서술된 것일지도 모른다는 주장을 펼친다.[11]
장로(πρεσβύτερος) 혹은 원로라는 단어의 사용이 시대에 맞지 않는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실제로 사도행전에서 보조자를 임명하고 보조자 중심으로 교회를 구성한 것과 대조된다.[12]
보다 남녀평등적 태도를 취했던 다른 서신들에 비해 남녀의 역할이 구별되어 서술된다는 점 역시 차이점으로 지적된다.[13]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14장에도 이와 유사한 구절이 등장하는데, 이 부분이 오히려 디모테오에게 보낸 둘째 편지에서 차용한 것으로 보는 시각이 존재한다. 이 차용을 통해 고린도전서가 초대 교회에서 더 잘 받아들여졌을 것이라는 주장이다.[14]
기록 연대
[편집]폴리카르포스가 필립비인들에게 보낸 그의 서신에서 디모테오에게 보낸 편지를 인용한다.[15] 폴리카르포스의 사망 연대가 서기 155년에서 167년 사이로 추정되므로, 최소한 그 이전에 이 편지들이 작성되었음이 널리 인정된다. 이레니우스 역시 180년에 서술한 영지주의에 대한 논박에서 이 서신들을 인용한다.[16]
따라서 이 서신들은 최소한 서기 1세기에서 2세기 사이에 쓰인 것으로 추정된다. 서기 2세기에 쓰였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은 이 편지가 마르키온주의와 영지주의의 출현에 대응하기 위해 창작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7][18][19][20] 이러한 주장에 의하면 만일 마르키온이 파문당한 직후부터 본격적인 포교를 시작했다고 가정할 때 본 서신의 성립 시기는 서기 144년 이후로 비정된다.[21] 마르키온 정경에 이 서신들이 포함되어있지 않았다는 점도 근거 중 하나로 삼는다.[22]
이 서신이 바울로에 의해 쓰여지지 않았다고 믿는 학자들은 대부분 바울로 사후인 서기 80~100년에 이 서신들이 집필되었다고 생각한다. 이는 디모데후서 1장 5절에서 바울로가 디모테오의 어머니와 할머니의 기독교 신앙을 언급한 것이 기독교 3세대들을 대상으로 한 편지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한 결과이다.[23]
각주
[편집]- ↑ Donald Guthrie, (2009), "The Pastoral Epistles," Inter-Varsity Press, ISBN 978-0-8308-4244-5, p. 19; Guthrie is referring to David Nicolaus Berdot, Exercitatio theologica-exegetica in epistulam S. Pauli ad Titum (Halle, 1703), and Paul Anton, Exegetische Abhandlung der Pastoral-briefe Pauli an Timotheum und Titum, im Jahr 1725. und 1726. öffentlich vorgetragen (ed. Johann August Majer; 2 vols.; Halle: Wäysenhaus, 1753–55).
- ↑ Harris, Stephen L., Understanding the Bible. Palo Alto: Mayfield. 1985. “The Pastoral Epistles“ p. 340–345
- ↑ Harris, Stephen L., Understanding the Bible. Palo Alto: Mayfield. 1985. “The Pastoral Epistles“ p. 340–345
- ↑ Paul Foster, "Ignatius of Antioch," in Gregory and Tuckett (eds), (2005), The Reception of the NT in the Apostolic Fathers, OUP, p.185
- ↑ Michael W. Holmes, in Gregory and Tuckett (eds), (2005), The Reception of the NT in the Apostolic Fathers, OUP, p.226
- ↑ “Origen on the Canon of Scripture”. 2021년 2월 28일에 확인함.
- ↑ R.E. Heine, (2000), "In Search of Origen's Commentary on Philemon", Harvard Theological Review 93 (2000), pp. 117–133
- ↑ “Review of Bart Ehrman's book "Forged: Writing in the Name of God"... - Risen Jesus, Inc.”. 《Risen Jesus, Inc.》.
- ↑ See I.H. Marshall,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Pastoral Epistles (International Critical Commentary; Edinburgh 1999), pp. 58 and 79. Notable exceptions to this majority position are Joachim Jeremias, Die Briefe an Timotheus und Titus (Das NT Deutsch; Göttingen, 1934, 8th edition 1963) and Ceslas Spicq, Les Epîtres Pastorales (Études bibliques; Paris, 1948, 4th edition 1969). See too Dennis MacDonald, The Legend and the Apostle (Philadelphia 1983), especially chapters 3 and 4.
- ↑ Ehrman, Bart (2011). 《Forged》. HarperOne. 93–105쪽. ISBN 978-006-201262-3.
- ↑ Ehrman, Bart (2011). 《Forged》. HarperOne. 93–105쪽. ISBN 978-006-201262-3.
- ↑ Ehrman, Bart (2011). 《Forged》. HarperOne. 93–105쪽. ISBN 978-006-201262-3.
- ↑ Ehrman, Bart (2011). 《Forged》. HarperOne. 93–105쪽. ISBN 978-006-201262-3.
- ↑ New Jerome Biblical Commentary, ed. Raymond E. Brown, S.S., Joseph A. Fitzmyer, S.J, and Roland E. Murphy, O.Carm.,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90, pp. 811–812
- ↑ I.H. Marshall and P.H. Towner, (1999), The Pastoral Epistles (International Critical Commentary; Edinburgh: T&T Clark), p. 3, ISBN 0-567-08661-5
- ↑ Irenaeus, Against Heresies 3.3.3
- ↑ Rist, Martin (1942). “Pseudepigraphic Refutations of Marcionism”. 《The Journal of Religio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2 (1 (Jan., 1942)): 39–62.
- ↑ Knox, John (1942). 《Marcion and the New Testament: An Essay in the Early History of the Canon》. Chicago: Chicago University Press. 74–75쪽. ISBN 978-0404161835.
- ↑ Hoffman, R. Joseph (1984). 《Marcion: On the Restitution of Christianity》. Chico, CA: Scholars Press. 281ff쪽. ISBN 0-89130-638-2.
- ↑ BeDuhn, Jason. “The New Marcion” (PDF). 《Forum》 3 (Fall 2015): 165 n. 3. 2019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28일에 확인함.
- ↑ Harnack, Adolf (1921). 《Marcion: The Gospel of the Alien God》. 번역 Steely, John E.; Bierma, Lyle D. Grand Rapids: Baker. ISBN 978-1-55635-703-9.
- ↑ See, e.g., J. J. Clabeaux, A Lost Edition of the Letters of Paul: A Reassessment of the Text of the Pauline Corpus Attested by Marcion (Catholic Biblical Quarterly Monograph Series 21; Washington, D.C.: Catholic Biblical Association, 1989
- ↑ Brown, Raymond Edward (2010).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New Haven, Conn.: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140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