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백조자리 OB2-12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조자리 OB2 #12
가상의 행성에서 바라본 백조자리 OB2 #12.
가상의 행성에서 바라본 백조자리 OB2 #12.
명칭
다른 이름 백조자리 OB2 #12, Schulte 12, 2MASS J20324096+4114291, NSV 13138, HIP 101364, Gaia DR2 2067782734461462912.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백조자리
적경(α) 20h 32m 40.9589s[1]
적위(δ) 41° 14′ 29.286″[1]
겉보기등급(m) 통과대역 B: 14.41[2]
통과대역 V: 11.40[2]
통과대역 J: 4.667±0.324[3]
통과대역 H: 3.512±0.260[3]
통과대역 K: 2.704±0.364[3]
절대등급(M) −9.82[4]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11.00[5] km/s
적경 고유운동 -1.871[6] 밀리초각/년
적위 고유운동 -3.210[6] 밀리초각/년
연주시차 1.1751 ± 0.1285[6] 밀리초각
거리 5,705 광년(1,750 파섹)[4]
성질
광도 1,660,000[4] L
나이 300만 년[7]
분광형 B3-4 Ia+[8]
변광성 분류 cLBV
추가 사항
질량 110[7] M
반지름 246[7] R
표면온도 13,700[7] K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백조자리 OB2 #12는 지구로부터 백조자리 방향으로 약 5,740 광년 떨어져 있는 청색초거성이다.

상세

[편집]

백조자리 OB2 #12는 젊고 질량 큰 별들이 뭉쳐 있는 백조자리 OB2 성협의 구성원으로 지구로부터 약 5,740 광년 떨어져 있다. 이 별은 지구에서 바라볼 때 성간 먼지가시광선 대부분을 흡수하는 곳에 자리잡고 있다. #12는 원래 뜨겁고 푸른 색으로 빛나는 별이지만 이 먼지 때문에 심하게 적색화(化)된다. 따라서 #12는 적외선 영역에서 자세히 연구되어 왔다. 만약 이 별과 지구 사이에 시야를 가리는 물질이 없다면 #12는 데네브 정도 밝기(겉보기 등급 1.5)로 보일 것이고 옛날부터 인류에게 애칭을 받아 불려 왔을 것이다. 그러나 먼지 때문에 겉보기등급은 11.4에 불과하여 쌍안경이나 작은 망원경을 이용해야 볼 수 있다.[8]

이 별은 극도로 밝아 절대복사등급(모든 전자기 복사)이 -10.9에 이르며 우리은하에서 아주 밝은 항성의 반열에 들어간다. 이 복사등급으로 계산한 #12의 광도는 대략 태양의 200만 배에 이른다. 다만 이 값은 처음 발견했을 때의 추정치에 비하여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것이다. 현재 #12는 쌍성으로 보이며 동반성의 밝기는 주성의 10분의 1 정도이다. 쌍성의 궤도로부터 계산한 계의 총질량은 태양의 120배, 두 별의 공전 주기는 30년이다.[8]

백조자리 OB2 #12 주변에는 보다 어두운 별 여럿이 있어 #12와 함께 소규모 성단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중 두 별은 스페클 간섭계를 이용해야 식별할 수 있다. 하나는 B형 주계열성이며 공전 주기는 100~200년이다. 겉보기 등급은 주성보다 2.3 등급 어둡고 주성으로부터 0.063" 떨어져 있다. 다른 하나는 주성보다 4.8 등급 어두우며 주성으로부터 1 각초 정도 떨어져 있다. 스펙트럼 분석 결과 분광 동반성은 찾지 못했다.[9] 그러나 엑스선 방출을 분석한 결과 가까운 궤도상에 뜨겁고 밝은 동반천체가 있을 수 있는데, 이는 두 항성의 항성풍이 서로 충돌하면 엑스선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4]

백조자리 OB2 #12는 밝은 청색변광성(LBV) 후보이다. 이 별의 HR 도표상 위치, 광도, 스펙트럼 모두 LBV의 특징을 보여준다. #12는 0.3 등급 정도 겉보기 밝기가 변화하나 이는 LBV에서 나타나는 색상 변화와는 관련이 없어 보인다.[10] #12의 분광형은 발견 이래 약간 변하였으나 일반적인 LBV가 보여주는 변화 수준에는 이르지 못한다.[7]

가이아 계획의 2차 데이터 공개에서 나온 연주 시차로 백조자리 OB2 #12까지의 거리를 계산한 결과 대략 850 파섹(2771 광년)이 나왔다. 이 값은 백조자리 OB2 성협의 다른 별들까지의 거리와 일치하지 않는다. 그러나 가이아의 자료는 잡음을 막대하게 포함하고 있어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11] 시차를 재는 초창기 수단들은 부정확하여 자료의 신뢰도가 떨어졌다.[1]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2. Reed, B. Cameron (2003). “Catalog of Galactic OB Stars”. 《The Astronomical Journal》 125 (5): 2531–2533. Bibcode:2003AJ....125.2531R. doi:10.1086/374771. 
  3. Cutri, R. M.; Skrutskie, M. F.; Van Dyk, S.; Beichman, C. A.; Carpenter, J. M.; Chester, T.; Cambresy, L.; Evans, T.; Fowler, J.; Gizis, J.; Howard, E.; Huchra, J.; Jarrett, T.; Kopan, E. L.; Kirkpatrick, J. D.; Light, R. M.; Marsh, K. A.; McCallon, H.; Schneider, S.; Stiening, R.; Sykes, M.; Weinberg, M.; Wheaton, W. A.; Wheelock, S.; Zacarias, N. (2003). “VizieR Online Data Catalog: 2MASS All-Sky Catalog of Point Sources (Cutri+ 2003)”. 《VizieR On-line Data Catalog: II/246. Originally published in: 2003yCat.2246....0C》 2246: 0. Bibcode:2003yCat.2246....0C. 
  4. Oskinova, L. M.; Huenemoerder, D. P.; Hamann, W. -R.; Shenar, T.; Sander, A. A. C.; Ignace, R.; Todt, H.; Hainich, R. (2017). “On the Binary Nature of Massive Blue Hypergiants: High-resolution X-Ray Spectroscopy Suggests That Cyg OB2 12 is a Colliding Wind Binary”. 《The Astrophysical Journal》 845 (1): 39. arXiv:1707.04473. Bibcode:2017ApJ...845...39O. doi:10.3847/1538-4357/aa7e79. 
  5. Klochkova, V. G.; Chentsov, E. L. (2004). “The Optical Spectrum of an LBV Candidate in the Cyg OB2 Association”. 《Astronomy Reports》 48 (12): 1005–1018. arXiv:astro-ph/0605483. Bibcode:2004ARep...48.1005K. doi:10.1134/1.1836024. 
  6. Brown, A. G. A.; 외. (2018). “Gaia Data Release 2. Summary of the contents and survey properties”. 《Astronomy & Astrophysics》 616. arXiv:1804.09365. Bibcode:2018A&A...616A...1G. doi:10.1051/0004-6361/201833051. 
  7. Clark, J. S.; Najarro, F.; Negueruela, I.; Ritchie, B. W.; Urbaneja, M. A.; Howarth, I. D. (2012). “On the nature of the galactic early-B hypergiants”. 《Astronomy & Astrophysics》 541: A145. arXiv:1202.3991. Bibcode:2012A&A...541A.145C. doi:10.1051/0004-6361/201117472. 
  8. Caballero-Nieves, S. M.; Nelan, E. P.; Gies, D. R.; Wallace, D. J.; Degioia-Eastwood, K.; Herrero, A.; Jao, W.-C.; Mason, B. D.; Massey, P.; Moffat, A. F. J.; Walborn, N. R. (2014). “A High Angular Resolution Survey of Massive Stars in Cygnus OB2: Results from the Hubble Space Telescope Fine Guidance Sensors”. 《The Astronomical Journal》 147 (2): 40. arXiv:1311.5087. Bibcode:2014AJ....147...40C. doi:10.1088/0004-6256/147/2/40. 
  9. Maryeva, O. V.; Chentsov, E. L.; Goranskij, V. P.; Dyachenko, V. V.; Karpov, S. V.; Malogolovets, E. V.; Rastegaev, D. A. (2016). “On the nature of high reddening of Cygnus OB2 #12 hypergiant”.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1602. arXiv:1602.05042. Bibcode:2016MNRAS.458..491M. doi:10.1093/mnras/stw385. 
  10. Chentsov, E. L.; Klochkova, V. G.; Panchuk, V. E.; Yushkin, M. V.; Nasonov, D. S. (2013). “Spectroscopy of 13 high-mass stars in the Cyg OB2 association”. 《Astronomy Reports》 57 (7): 527–547. arXiv:1306.1087. Bibcode:2013ARep...57..527C. doi:10.1134/S1063772913070019. 
  11. Berlanas, S. R.; Wright, N. J.; Herrero, A.; Drew, J. E.; Lennon, D. J. (2019). “Disentangling the spatial substructure of Cygnus OB2 from Gaia DR2”.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84 (2): 1838. arXiv:1901.02959. Bibcode:2019MNRAS.484.1838B. doi:10.1093/mnras/stz117.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