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발암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암과 관련된 세균들

발암균(發癌菌, Cancer bacteria)은 암을 일으키는 종류의 세균을 의미한다.[1] 암 관련 세균은 오래 전부터 기회감염성(암이 이미 나타난 후 건강한 조직을 감염시키는 것)으로 여겨져오긴 했으나, 최근에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위암의 관계 등 직접 암을 일으킬 수 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1] 종양바이러스는 암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라는 점에서 발암균과 유사점이 있다.

첫 발견

[편집]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사람의 십이지장에서 번식하는데, 이후 위암이나[2][3] MALT 림프종을 일으킨다.[4] 동물 모델을 사용한 실험에서 코흐의 가설 세 번째와 네 번째를 만족함으로써 헬리코박터균이 위암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5] 파일로리는 만성 염증 등의 기작을 통해 암을 유발하는데, 이러한 과정에 관여하는 인자로는 CagA가 있다.[6]

추정

[편집]

여러 종류의 세균들이 발암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이나, 그 구체적인 기작은 아직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현재 감염성 암원으로 추정되는 세균들은 다음과 같다.

학명 한국어 이름 관련 암
Salmonella Typhi 장티푸스균 쓸개암[7][8]
Streptococcus bovis 대장암[9][10]
Chlamydia pneumoniae 폐렴클라미디아 폐암[9][11]
Mycoplasma 미코플라스마 다양한 종류의 암[12][13]
Helicobacter pylori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위암, MALT 림프종, 일부 식도암[9]

장티푸스균쓸개암과 관련이 있는데, 특이하게도 흑색종이나 대장암, 방광암 치료제를 표적 부위에 전달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9] 대장암 역시 여러 장내세균들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14] 구강암에도 미생물과 그 대사 부산물, 또는 만성 염증으로 인한 영향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다.[15] 서로 다른 세균이 서로 다른 종류의 암에 관여하기도 한다.[9]

역사

[편집]

1890년 스코틀랜드의 병리학자 윌리엄 러셀(William Russell)은 암의 세균적 원인에 대한 정황증거를 보고했다.[16] 1926년 캐나다의 의사 토마스 글로버(Thomas Glover)는 동물과 인간의 종양조직으로부터 특정 세균을 여러 차례 분리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17]

글로버는 미국 보건복지부의 전신인 공중 보건국(Public Health Service)에서 연구를 계속 하여 1929년에 연구를 마치고, 1930년에 연구결과를 발표한다.[18] 그는 자신이 발견한 세균으로 제조한 백신이나 혈청이 암 환자들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18] 그러나 공중 보건국의 과학자들은 글로버의 주장에 이의를 제기했고, 확실히 하기 위해 글로버에게 연구를 여러 차례 반복할 것을 요청했다.[19] 그러나 글로버는 이를 거부했고, 독자적인 연구를 계속 진행하였다. 결국 합의점을 찾으려 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연구에는 오늘날에는 별다른 공적이 주어지지 않는다.[20]

1950년, 뉴어크에 본부를 둔 의사 버지니아 리빙스턴이 일부 미코박테륨신생물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는 논문을 발표했다.[21] 그러나 1990년에 미국 암연구소는 리빙스턴의 이론에 대한 리뷰논문에서 그녀의 발암균 분류 방법에는 "중대한 오류"가 되어 있으므로, 사실상 오분류라는 결과를 내었다.[20]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Alfarouk, Khalid O.; Bashir, Adil H. H.; Aljarbou, Ahmed N.; Ramadan, AbdelRahman M.; Muddathir, Abdel Khalig; AlHoufie, Sari T. S.; Hifny, Abdelhamid; Elhassan, Gamal O.; Ibrahim, Muntaser E.; Alqahtani, Saad S.; AlSharari, Shakir D.; Supuran, Claudiu T.; Rauch, Cyril; Cardone, Rosa Angela; Reshkin, Stephan J.; Fais, Stefano; Harguindey, Salvador (2019년 2월 22일). “The Possible Role of Helicobacter pylori in Gastric Cancer and Its Management”. 《Frontiers in Oncology》 9. doi:10.3389/fonc.2019.00075. PMC 6395443. PMID 30854333. 
  2. Egi Y, Ito M, Tanaka S, 외. (May 2007). “Role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chronic inflammation in gastric cancer in the cardia”. 《Jpn. J. Clin. Oncol.》 37 (5): 365–9. doi:10.1093/jjco/hym029. PMID 17578895. 
  3. Peter S, Beglinger C (2007). “Helicobacter pylori and gastric cancer: the causal relationship”. 《Digestion》 75 (1): 25–35. doi:10.1159/000101564. PMID 17429205. 
  4. Morgner A, Bayerdörffer E, Neubauer A, Stolte M (March 2000). “Gastric MALT lymphoma and its relationship to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management and pathogenesis of the disease”. 《Microsc. Res. Tech.》 48 (6): 349–56. doi:10.1002/(SICI)1097-0029(20000315)48:6<349::AID-JEMT5>3.0.CO;2-7. PMID 10738316. 
  5. Watanabe T, Tada M, Nagai H, Sasaki S, Nakao M (September 1998).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duces gastric cancer in mongolian gerbils”. 《Gastroenterology》 115 (3): 642–8. doi:10.1016/S0016-5085(98)70143-X. PMID 9721161. 
  6. Hatakeyama, M.; Higashi, H. (2005). “Helicobacter pylori CagA: a new paradigm for bacterial carcinogenesis”. 《Cancer Science》 96 (12): 835–843. doi:10.1111/j.1349-7006.2005.00130.x. PMID 16367902. 
  7. Boccellato, Francesco; Meyer, Thomas F. (2015년 10월 6일). “Bacteria Moving into Focus of Human Cancer”. 《Cell Host & Microbe》 17 (6): 728–730. doi:10.1016/j.chom.2015.05.016. ISSN 1931-3128. PMID 26067598. 
  8. Scanu, Tiziana; Spaapen, Robbert M.; Bakker, Jeroen M.; Pratap, Chandra Bhan; Wu, Lin-en; Hofland, Ingrid; Broeks, Annegien; Shukla, Vijay Kumar; Kumar, Mohan (2015년 6월 10일). “Salmonella Manipulation of Host Signaling Pathways Provokes Cellular Transformation Associated with Gallbladder Carcinoma”. 《Cell Host & Microbe》 17 (6): 763–774. doi:10.1016/j.chom.2015.05.002. ISSN 1934-6069. PMID 26028364. 
  9. Mager DL (2006). “Bacteria and cancer: cause, coincidence or cure? A review”. 《J Transl Med》 4 (1): 14. doi:10.1186/1479-5876-4-14. PMC 1479838. PMID 16566840. 
  10. Gold JS, Bayar S, Salem RR (July 2004). “Association of Streptococcus bovis bacteremia with colonic neoplasia and extracolonic malignancy”. 《Arch Surg》 139 (7): 760–5. doi:10.1001/archsurg.139.7.760. PMID 15249410. 2011년 8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1. Kocazeybek B (August 2003). “Chronic Chlamydophila pneumoniae infection in lung cancer, a risk factor: a case-control study”. 《J. Med. Microbiol.》 52 (Pt 8): 721–6. doi:10.1099/jmm.0.04845-0. PMID 12867569. 2013년 4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2. Ning, J.; Shou, C. (2004). “Mycoplasma infection and cancer”. 《AI Zheng = Aizheng = Chinese Journal of Cancer》 23 (5): 602–604. PMID 15142464. 
  13. Namiki K, Goodison S, Porvasnik S, 외. (2009). Bruggemann H, 편집. “Persistent exposure to Mycoplasma induces malignant transformation of human prostate cells”. 《PLoS ONE》 4 (9): e6872. doi:10.1371/journal.pone.0006872. PMC 2730529. PMID 19721714. 
  14. McGarr, S.; Ridlon, J.; Hylemon, P. (2005). “Diet, anaerobic bacterial metabolism, and colon cancer: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Clinical Gastroenterology》 39 (2): 98–109. PMID 15681903. 
  15. Hooper, S.; Wilson, M.; Crean, S.; Myers, J. N. (2009). Myers, Jeffrey N., 편집. “Exploring the link between microorganisms and oral cancer: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Head & Neck》 31 (9): 1228–1239. doi:10.1002/hed.21140. PMID 19475550. 
  16. Russell W (1890). “An address on a characteristic organism of cancer”. 《Br Med J》 2 (1563): 1356–60. doi:10.1136/bmj.2.1563.1356. PMC 2208600. PMID 20753194. 
  17. Glover, TJ (1926). “Progress in Cancer Research”. 《Canada Lancet and Practitioner》 67: 5. 
  18. Glover TJ (1930). “The bacteriology of cancer”. 《Canada Lancet and Practitioner》 74: 92–111. 
  19. Glover, T.J. and Engle, J.L. (1938) Studies in Malignancy. New York: Murdock Foundation.
  20. “Unproven methods of cancer management: Livingston-Wheeler therapy”.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40 (2): 103–108. 1990. doi:10.3322/canjclin.40.2.103. PMID 2106368. 
  21. Wuerthele-Caspe V, Alexander-Jackson E, Anderson JA, Hillier J, Allen RM, Smith LW (December 1950). “Cultural properties and pathogenicity of certain microorganisms obtained from various proliferative and neoplastic diseases”. 《Am. J. Med. Sci.》 220 (6): 638–46. doi:10.1097/00000441-195022060-00006. PMID 14789767.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