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연 (1595년)
박연 (朴延, 朴燕 1595년 ~ ?) 또는 얀 얀스 벨테브레이(네덜란드어: Jan Jansz Weltevree)는 조선 후기의 무신이다. 네덜란드인으로 인조 통치시 유럽인 최초로 귀화하였다. 1627년 제주도에 표착하였고 병자호란에도 참전하였다.[1][2] 한반도에 처음으로 유럽을 소개했다고 전해진다.
생애
[편집]알크마르의 마을인 드레이프에서 태어났다. 1626년(인조 4) 홀란디아(네덜란드어: Holandia) 호의 승무원으로 취업하여 네덜란드령 동인도로 향하였고, 1627년(인조 5년)에 사략선 아우에르케르크(네덜란드어: Ouwerkerck) 호의 Hoofdman(Captain or 과장을 의미)으로 부임하여, 중국 상선을 나포하고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본부가 있는 바타비아로 항해하던 도중 풍랑을 만나 부하 두명과 함께 제주도에 표착했다.
부하 디럭 헤이스버르츠(네덜란드어: Direk Gijsbertz) 및 얀 피터르 페르바스트(네덜란드어: Jan Pieter Verbaest)와 함께 땔감과 음료수를 구하러 제주도에 상륙했다가 관헌에게 붙잡혀 한양에 호송되고 훈련도감에서 근무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이들이 남만 출신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나중에서야 그들이 네덜란드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3] 훈련대장 구인후의 지휘를 받아 항복해 온 일본인과 포로가 된 청나라 군인을 통솔 감시했고, 명나라에서 수입한 홍이포의 제작법·조종법을 지도했다.[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세 사람은 모두 출전하여 박연을 제외한 두 사람은 전사하였다.
1648년(인조 26년) 8월 25일 인조실록의 기록을 보면, “정시를 설행하여 문과에 이정기 등 9인을, 무과에 박연 등 94인을 뽑았다”라고 되어 있다.[5] 《증보문헌비고》의 ‘본조등과총목’에도 박연이 장원으로 급제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박연은 벨테브레이로 여겨진다.[5]
조선 여성과 결혼하여 1남 1녀를 낳았다. 《하멜 표류기》에 따르면, 1653년(효종 4년) 헨드릭 하멜 일행이 제주도에 이르렀을 때 파견되어 하멜 등을 서울에 호송하고 하멜이 도감군오(都監軍伍)에 소송되자 이를 감독하는 한편 한국의 풍속을 가르쳐 주고 통역했다고 한다.[6]
그는 겨울에 솜옷을 입지 않을 정도로 건강했으며, 동양 각국의 풍물 및 선악(善惡), 화복(禍福)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즐겼다고 한다. 그의 출신을 고려할 때 개신교의 교리를 조선인들에게 설파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기도 하다.[7]
공식적으로 귀화인이 된 박씨다. 벨테브레이는 네덜란드에 후손들이 있었다. 벨테브레이의 아버지도 네덜란드 사람이다. 박연과 결혼한 여성의 집안에 대해서는 알려진바가 없다. 단지 박연과 결혼할 위치의 집안에 대해서는 박연이 조선에 와서 살아온 행적을 보면 추측을 할 수 있을뿐이다. 박연의 집안과 박연의 부인의 가문에 대한 어떤 역사적 기록이 상세하게 구체적으로 남겨져있지 않다. 그리고 박연과 결혼한 여자집안에 대한 추론도 결국 정확하지 못하다. 박연이 원산 박씨의 시조라고 하지만 그 계통이 후대로 연결되지 못하였는지 원산 박씨에 대한 기록이 매우 적다.
관련 작품
[편집]드라마
[편집]뮤지컬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양정윤. (양정윤의 내밀한 미술사) <7> 벨테브레이와 하멜이 남긴 글들. 세계일보. 기사입력 2014년 8월 14일. 기사수정 2014년 12월 1일.
- ↑ (역사의 향기/한국인像) <37> 박연(벨테브레이). 서울경제. 2017년 5월 14일.
- ↑ 이남희 (2008). 《클릭 조선왕조실록(조선왕조실록으로 오늘을 읽는다)》. 다할미디어. 226쪽. ISBN 9788989988588.
실록에서는 그들의 나라에 대해서 정보가 없었던 만큼 ‘남만국’(南蠻國)으로 적고 있다. ... 나중에서야 그들이 네덜란드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박연의 경우, 네덜란드 이름은 벨테브레이(Weltevree)이다. 한자 표기는 ‘朴燕’ 또는 ‘朴延’으로 쓴다.
- ↑ 이이화 (2001). 《한국사 이야기13: 당쟁과 정변의 소용돌이》. 한길사. 82쪽. ISBN 8935651524.
총포 제작의 책임은 박연 등 주로 네덜란드 사람들이 맡았다. 1628년(인조6) 박연이 탄 배가 일본으로 선수를 잡아 항해하다가 제주도에 표류하였다. 그들은 이곳이 어디인지 모르고 땔감과 식수를 구하려고 상륙했다가 관원에게 붙잡혀 서울로 압송되었다. 조선인으로 귀화한 박연은 동료 두 사람과 함께 훈련도감에 배치되었다. 그들은 군사들에게 전술과 총 만드는 법을 가르쳤다.
- ↑ 가 나 하멜을 만나 하루 종일 눈물만 흘리다 ScienceTimes, 이성규 기자, 2008년 7월 24일자.
- ↑ 국사 편찬 위원회; 국정 도서 편찬 위원회 (2004년 3월 1일). 《고등학교 국사》. 서울: (주)두산. 318쪽.
- ↑ 박연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