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알라영양
니알라영양 | |
---|---|
수컷 니알라영양 | |
암컷 니알라영양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상문: | 후구동물상문 |
문: | 척삭동물문 |
아문: | 척추동물아문 |
하문: | 유악하문 |
상강: | 사지상강 |
강: | 포유강 |
목: | 우제목/경우제목 |
과: | 소과 |
아과: | 소아과 |
족: | 트라겔라푸스족 |
속: | 트라겔라푸스속 |
종: | 니알라영양 (T. angasii) |
학명 | |
Tragelaphus angasii | |
(Angas, 1849) | |
학명이명 | |
Nyala angasii[1] | |
니알라영양의 분포 | |
니알라영양의 분포 지역 | |
보전상태 | |
|
니알라영양 또는 니알라(nyala, 학명: Tragelaphus angasii)는 소과 트라겔라푸스속에 속하는 영양의 일종이다. 나선형 뿔을 가진 남아프리카 원산의 초식성 동물이다. 몸길이는 13-195cm, 몸무게는 55-140kg 정도이다. 1849년 앵거스(George French Angas)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암컷과 새끼들은 녹갈색 또는 적갈색을 띠지만, 수컷은 자라면서 남빛을 띤 다갈색 또는 암청색으로 변한다. 암컷과 어린 수컷은 열줄 또는 그 이상의 줄무늬을 갖고 있다. 그리고 수컷만이 60-63cm 길이의 끝이 노란 뿔이 나 있다.
국내 보유 현황
[편집]국내에선 서울대공원에 유일하게 보유했다. 보유 당시에도 못 본 사람들이 많았다는데, 서울대공원의 제2아프리카관에서 니알라와 시타퉁가는 관람로서 떨어진 방사장에 있었다. 그래서 이들은 겨울에 내실에서만 볼 수 있었다. 마지막 개체는 서울대공원 내에서 2009년 5월에 태어났는데, 어느샌가 부모가 죽고 페사할 때까지 혼자 살아왔다. 물론 이 때문에 더 도입해야 했지만, 당시 구제역 검역 때문에 새로운 개체를 들여올 수 없었기에 대공원 측은 니알라를 포함해서 과거 보유하던 적은 수의 우제류들을 정리종으로 분류해야 했다. 그 후 2015년 8월에 제1아프리카관의 타조들이 제2아프리카관에 오며, 시타퉁가와 니알라는 제1아프리카관으로 옮겨졌다. 시타퉁가는 타조 방사장으로 갔고, 니알라는 기린들과 합사되었다. 이후 10월에 다리에 이상이 생겨 치료받다 그달 31일에 폐사했다.[3]
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2013년 비비(Bibi)와 배르만(Bärman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4][5][6]
소과 |
| ||||||||||||||||||||||||||||||||||||||||||||||||||||||||||||||||||||||||
각주
[편집]- ↑ Huffman, B. “Nyala”. Ultimate Ungulate.
- ↑ “Tragelaphus angasi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3월 29일에 확인함. Database entry includes a brief justification of why this species is of least concern.
- ↑ [/https://blog.naver.com/stacknjj/220827205473]
- ↑ Fayasal Bibi: A multi-calibrated mitochondrial phylogeny of extant Bovidae (Artiodactyla, Ruminantia) and the importance of the fossil record to systematics. BMC Evolutionary Biology 13, 2013, S. 166
- ↑ Eva Verena Bärmann, Gertrud Elisabeth Rössner und Gert Wörheide: A revised phylogeny of Antilopini (Bovidae, Artiodactyla) using combined mitochondrial and nuclear gen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67 (2), 2013, S. 484–493
- ↑ Eva V. Bärmann and Tim Schikora: The polyphyly of Neotragus – Results from genetic and morphometric analyses. Mammalian Biology 79, 2014, S. 283–286
외부 링크
[편집]이 글은 포유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