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축구

올림픽에서 개최되는 축구

올림픽 축구올림픽에서 개최되는 축구 대회로 올림픽 경기 종목 중 하나이다. 1896년 하계 올림픽1932년 하계 올림픽을 제외하고 남자 축구 종목이 포함되었다. 여자 축구는 1996년 하계 올림픽부터 공식적으로 추가되었다.

올림픽 축구
올림픽 축구
올림픽 축구
Football
경기 단체국제 축구 연맹 (FIFA)
세부 종목2개 종목[1]
남자 종목1개 종목[1]
여자 종목1개 종목[1]
 하계 올림픽
1896 · 1900 · 1904 · 1908 · 1912 · 1920 · 1924 · 1928 · 1932 · 1936 · 1948 · 1952 ·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 2024
메달리스트 · 경기장

그러나 남자 축구 종목은 1992년 하계 올림픽부터는 성인 대회에서 U-23 대회로 강등 당했다.

역사

편집

초창기

편집

축구는 원래 근대 올림픽의 정식 종목은 아니었다. 하지만 국제 축구는 1896년에 그 태동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몇몇 출처에서는 아테네 대회에서의 축구 토너먼트는 비공식적인 것이라고 주장한다. 1회 대회에서는 아테네 XI 팀이 그당시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던 스미르나 (현재의 터키 이즈미르) 대표팀에게 패배했었다. 스미르나팀은 대회에서 덴마크팀에게 15-0으로 패배했었다.[2] 그러나 사실, 어떤 대회가 열렸는지에 대해서는 불명확하다; 올림픽 역사를 연구해 온 빌 말론(Bill Mallon)은 이렇게 썼다. "아마도, 경기는 그리스 클럽과 덴마크 클럽 간에 열렸을 것이다. 1896년의 자료에는 이와 같은 사실을 확인시켜 줄 수 있는 자료가 없다. 생각컨대 이는 여러 자료에서의 혼동으로 인한 오류같다. 이와 같은 경기는 일어나지 않았다."라고 했다.[3]

대회는 1900년, 1904년 그리고 중간에 실시된 비공식대회인 1906년에 실시 되었으나, 여기저기서 끌어모은 다양한 팀들로 대회가 치러졌다. 이 세 번의 올림픽에서의 축구 대회는 IOC에서는 공식적인 대회로 인정하고 있지만 FIFA에서는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1906년의 올림픽 축구에는 영국, 독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프랑스가 참가하였으나, 비공식 대회라 기권을 하였고, 덴마크, 스미르나 (스미르나팀은 영국인 여덟 명, 프랑스인 두 명, 아르메니아인 한 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아테네, 테살로니키가 남아서 경기를 치렀다. 결승전에서 덴마크가 스미르나를 9-0으로 이기고 우승했다.

영국의 성공

편집

1908년 영국 런던에서 열린 올림픽대회에는 축구가 올림픽이 열리기 전에 사전 대회로 잉글랜드 축구 협회에 의해 개최되었다. 여기에는 여섯 팀이 참가하였고, 191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11팀으로 증가하였는데 1912년의 대회는 스웨덴 축구 협회에 의해 개최되었다. 이러한 초기의 경기들은 매우 큰 점수차가 보여주듯이 상당히 불균형적이었다. 1908년 대회의 덴마크 선수인 소푸스 닐센(Sophus Nielsen)과 1912년 대회의 독일 선수인 고트프리드 푸흐스(Gottfried Fuchs)는 각각 한 경기에서 10골을 기록하였는데, 이 기록은 90년 넘게 깨지지 않고 있는 기록이다. 모든 선수들은 올림픽 정신에 맞게 아마추어 선수만 출전했으며,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몇몇 국가들은 완전한 국가대표팀을 보내지 않았다는 것이다. 영국은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아마추어 축구대표팀을 구성하여 보냈는데, 이 팀의 몇몇 선수들은 잉글랜드의 프로 클럽에서 활동하던 선수들도 있었는데, 더비 카운티이반 샤프첼시비비안 우드워드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 아마추어팀은 처음 두번의 공식 대회에서 용케 우승을 차지하였는데, 두번 모두 덴마크를 이기고 우승하였다.

1920년대와 우루과이의 상승

편집

비록 1920년대가 올림픽 축구의 역사에서 좋지 않은 기간이었지만, 대회는 1920년대를 거치면서 점점 중요성이 커져갔다. 1920년 대회의 결승전인 체코슬로바키아벨기에전에서, 체코슬로바키아는 심판을 맡게 된 존 루이스라는 영국인 심판의 편파판정에 항의하며 경기를 포기해 버리자 메론앤트워프의 경기장엔 벨기에 군인들로 가득차는 등, 전쟁 분위기가 조성되기도 하였다. 1924년에는 우루과이가 첫 출전하였고, 1928년 대회에는 아르헨티나가 남미 국가로서 첫 출전을 하게 되었다. 우루과이는 첫 대회인 1924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는 저력을 보여주었고, 두 번째 출전한 1928년의 다음 대회 때에도 2연패를 하며 세계무대에 이름을 떨치게 되었다. 1928년 대회에는 아르헨티나 역시 첫 출전만에 우루과이와 재경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1회 월드컵 개최 및 그 이후의 올림픽

편집

1929년프랑스 축구 협회앙리 들로네(Henri Delaunay)의 제안으로 프로축구 세계 선수권대회(1930년우루과이에서 FIFA 월드컵으로 시작됨)가 시작되었다. 월드컵은 프로선수를 포함하여 모든 축구선수가 출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마추어선수의 참가만 허용한 올림픽 축구와 큰 차별성을 지니고 있었다. 1932 LA 대회에서는 축구 종목이 제외되었다. (공식적인 이유는 미국에서 축구가 비인기 종목이라는 설명이었다.) 그러나 다음 대회인 1936 베를린 대회에 축구가 다시 포함되었다. 독일 조직위원회에서는 축구가 올림픽에 있어서 수입에 직결되는 중요한 종목이었기 때문에 다시 포함시킬 의향이 있었다. 어떤 종목보다도 축구는, 독일제국노르웨이와의 2라운드 경기 (이 경기에는 아돌프 히틀러가 직접 관전하러 왔었다.)에서 패할 때까지가 증명해 주듯이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프로축구가 전 세계로 확산되었는데 결국 프로선수의 출전을 금지한 올림픽과 프로선수의 출전을 허용한 월드컵 간의 간격이 점차 벌어지게 되었다. 프로선수 출전 금지 규정으로 인해 올림픽 축구에서 이득을 본 국가들은 좋은 선수들을 "아마추어"로 묶어 두고 지원을 했었던 동유럽의 공산국가들이었다. 1948 런던 대회부터 1980 모스크바 대회까지의 27개의 메달 가운데 23개의 메달을 동유럽 국가들이 차지하였다. 그 예외인 4개는 스웨덴 (1948년의 금메달과 1952년의 동메달), 덴마크 (1960년의 은메달), 일본 (1968년의 동메달) 이 차지했다.

변화와 발전

편집

올림픽에서 프로선수의 출전을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겨났던 월드컵이 너무나 큰 성공을 거두자 1984 LA 대회부터 IOC는 떨어지는 인기에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프로 선수의 출전을 허가하기로 결정하였다. FIFA에서는 여전히 올림픽이 경쟁자가 되길 원치 않았기 때문에,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는 프로 선수의 출전을 허락하고 유럽 축구 연맹남아메리카 축구 연맹 소속의 국가들은 이전의 월드컵에 출전했던 선수는 출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절충안을 내놓았다. 따라서 1984년 대회의 우승국이자 월드컵 준결승에 이때까지 두번 진출했던 프랑스를 포함하여 많은 팀들의 선수 구성이 매우 젊어졌다.

청소년팀 출전에 대한 생각은 FIFA와 IOC 모두에게서 호응을 얻게 되어, 1992 바르셀로나 대회부터 23세 이하 선수들로만 출전하는 것으로 변경되었으며 1996 애틀랜타 대회부터 여기에 23세 초과의 선수 세 명을 명단에 포함시킬 수 있는 이른바 와일드 카드 제도가 시행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에 올림픽 축구는 사실상 FIFA U-20 월드컵FIFA U-17 월드컵과 같이 "U-23 월드컵"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또한 2년 뒤에 열리는 FIFA 월드컵의 전초전 성격도 갖고 있다. 새로운 규칙은 전 세계 모든팀에 동등하게 적용되었고, 아시아와 아프리카 팀들은 이 특별한 규칙의 혜택을 입었는데, 1996 애틀란타 대회 우승국인 나이지리아2000 시드니 대회 우승국인 카메룬이 대표적이다.

이 특이한 규칙 때문에, 몇몇 전통적인 축구 강국들은 올림픽에서는 좋은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네덜란드는 처음 세번의 대회에서 동메달을 땄지만, 1952년 이후부터는 본선진출에 실패하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56년 만에 진출하게 되었다. 우루과이1924년1928년 두번의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지만, 이것이 이들의 유일한 본선진출기록이 되었다. 아르헨티나2004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따기 전까지는 은메달 두개만이 그들의 기록이었다. 브라질2016년 자국에서 열린 대회에서 금메달을 따기 전까지, 1984년, 1988년, 2012년 대회의 은메달이 최고 기록이었으며, 프로 선수들의 참가가 허용된 후인 1992년과 2004년 대회에는 예선도 통과하지 못했다..

2016년 이전가지 독일의 가장 좋은 성적은 1988년 서독의 동메달이 최고였다. 통일 이후로 2016년까지는 올림픽 본선 진출에 실패했으며, 2016년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땄다. 스페인은 1992년에 단 한 번만 금메달을 땄다. 또한 은메달 2개(1920년과 2000년)도 있지만,본선 진출에 실패한 것도 여러 차례이다.

영국의 제외

편집

영국의 성적은 1912 스톡홀름 대회 우승 이후부터 기울기 시작하였는데, 영국의 마지막 본선 진출은 1960 로마 대회가 마지막이었다. 잉글랜드 아마추어 대표팀이 사실상 영국의 올림픽 팀으로 출전하였는데, 그 이후에도 예선에 참가하였으나 진출은 번번이 실패하였다. 1974년 이후, 잉글랜드 축구 협회는 아마추어와 프로의 구별을 폐지하였기 때문에 잉글랜드 아마추어 대표팀이 사실상 결성될 수 없었고, 영국은 1984년까지 예선에 참가하지 않았다. 오늘날에는 프로 선수의 참가가 가능해지면서 이 문제는 없어졌다. 그러나 오늘날의 참가에 방해가 되는 이유는 정치적인 것인데, 바로 영국의 네개 지역인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 때문이다. 이들 네 지역은 FIFA로부터 공인된 개별적인 축구 협회가 존재하고 있는데, 이들 축구협회는 국제 축구 연맹의 경영위원회의 부의장 자격을 보장받고 있고, 국제축구평의회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올림픽에서는 영국이라는 단일팀으로 출전하고 있다. 올림픽에 진출할 단일팀을 만드는 것은 영국의 특별한 위치에 있는 네 팀의 지위를 완전히 파괴하는 결단이다. 현재 네 지역은 올림픽 유럽지역예선을 겸한 유럽청소년축구대회에 개별 출전하고 있는데, 올림픽 본선 진출권을 얻더라도 본선 참가를 포기하고 있으므로, 다음 순위 팀이 본선에 대신 출전한다. 현재 런던2012년 하계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되어 있다. 따라서 단일 남성 및 여성 팀을 구성하는 것이 상당한 압박으로 다가오고 있다. 그리고 스코틀랜드 축구 협회는 이러한 생각과는 멀리 동떨어져 있다. 네 국가 간에 토너먼트를 펼쳐 우승 팀이 올림픽에 진출하자는 제안도 나왔으나, 영국은 2012년 런던 올림픽에 단일팀을 출전시켰다. 그러나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 선수들을 제외한 잉글랜드, 웨일스 선수들로만 이루어진 단일팀이었다. 영국 대표팀은 조별리그를 1위로 통과하여 8강에 진출했지만, 8강전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에게 승부차기 끝에 패배하여, 4강 진출에는 실패하였다.

여성 종목

편집

올림픽 축구 여성 종목은 FIFA 여자 월드컵과 마찬가지로 국가대표팀이 참가한다. 남자 대표팀과 달리 연령 제한이 없으며, 참가 팀수도 FIFA 여자 월드컵보다 적기 때문에 월드컵보다 가치가 높은 대회로 여겨지기도 한다.

수상자

편집

아르헨티나하비에르 마스체라노우루과이페드로 세아는 축구 종목에서 2관왕을 달성했다.

메달 집계

편집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편집

※ 1900년, 1904년 비공식대회 포함
※ 1972년 대회는 동메달 두팀 공동 수여

  하계 올림픽 축구 메달 집계
순위 국가               합계
1   미국 (USA) 4 2 2 8
2   헝가리 (HUN) 3 1 1 5
3   영국 (GBR) 3 0 0 3
4   브라질 (BRA) 2 5 2 9
5   아르헨티나 (ARG) 2 2 0 4
6   소련 (URS) 2 0 3 5
7   캐나다 (CAN) 2 0 2 4
8   우루과이 (URU) 2 0 0 2
9   유고슬라비아 (YUG) 1 3 1 5
10   스페인 (ESP) 1 3 0 4
11   스웨덴 (SWE) 1 2 2 3
12   폴란드 (POL) 1 2 0 3
13   독일 (GER) 1 1 3 5
14   동독 (GDR)[4] 1 1 1 3
  나이지리아 (NGR) 1 1 1 3
16   체코슬로바키아 (TCH) 1 1 0 2
  프랑스 (FRA) 1 1 0 2
18   노르웨이 (NOR) 1 0 2 3
  이탈리아 (ITA) 1 0 2 3
20   벨기에 (BEL) 1 0 1 2
  멕시코 (MEX) 1 0 1 2
22   카메룬 (CMR) 1 0 0 1
23   덴마크 (DEN) 0 3 1 4
24   불가리아 (BUL) 0 1 1 2
  일본 (JPN) 0 1 1 2
26   오스트리아 (AUT) 0 1 0 1
  중화인민공화국 (CHN) 0 1 0 1
  파라과이 (PAR) 0 1 0 1
  스위스 (SUI) 0 1 0 1
30   네덜란드 (NED) 0 0 3 3
31   가나 (GHA) 0 0 1 1
  칠레 (CHI) 0 0 1 1
  대한민국 (KOR) 0 0 1 1
  독일 연합 (EUA) 0 0 1 1
  서독 (FRG) 0 0 1 1
합계 34 34 35 103

남자 메달 순위

편집

※ 1900년, 1904년 비공식대회 포함
※ 1972년 대회는 동메달 두팀 공동 수여

순위 국가
1   헝가리 3 1 1 5
2   영국 3 0 0 3
3   브라질 2 3 2 7
4   스페인 2 3 0 5
5   아르헨티나 2 2 0 4
6   소련 2 0 3 5
7   우루과이 2 0 0 2
8   유고슬라비아 1 3 1 5
9   프랑스 1 2 0 3
  폴란드 1 2 0 3
11   동독[4] 1 1 1 3
  나이지리아 1 1 1 2
13   체코슬로바키아 1 1 0 2
14   스웨덴 1 0 2 3
  이탈리아 1 0 2 3
  멕시코 1 0 2 3
17   벨기에 1 0 1 2
18   캐나다 1 0 0 1
  카메룬 1 0 0 1
21   덴마크 0 3 1 4
22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
  서독
0 1 2 2
23   미국 0 1 1 2
  불가리아 0 1 1 2
25   스위스 0 1 0 1
  오스트리아 0 1 0 1
  파라과이 0 1 0 1
28   네덜란드 0 0 3 3
29   노르웨이 0 0 1 1
  일본 0 0 1 1
  이집트 0 0 1 1
  가나 0 0 1 1
  칠레 0 0 1 1
  대한민국 0 0 1 1
합계 27 27 28 82

여자 메달 순위

편집
순위 국가
1   미국 5 1 1 7
2   독일 1 0 4 5
3   캐나다 1 0 2 3
4   노르웨이 1 0 1 2
5   스웨덴 0 2 0 2
6   브라질 0 3 0 3
7   중화인민공화국 0 1 0 1
  일본 0 1 0 1
합계 8 8 8 24

세부 종목

편집

하계 올림픽 세부 종목

편집
종목 00 04 08 12 20 24 28 36 48 52 56 60 64 68 72 76 80 84 88 92 96 00 04 08 12 16 20 24
남자 28
여자 8
합계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2 2 2 2 2 2 2 2

참가국

편집

남자부

편집
유럽+이스라엘+카자흐스탄
대회 00 04 08 12 20 24 28 36 48 52 56 60 64 68 72 76 80 84 88 92 96 00 04 08 12 16 20 24 횟수
  오스트리아 6 2 11 5 4
  벨라루스 10 1
  벨기에 3 1 15 5 4 5
  불가리아 10 17 3 5 2 5
  체코 14 1
  체코슬로바키아 9 9 2 9 1 WD Split into Slovakia and Czech Republic 5
  덴마크 2 2 10 3 5 2 6 13 8 9
  동독[4] WD 3 3 1 2 WD Merged into West Germany (FRG) 4
  에스토니아 17 1
  핀란드 4 9 14 9 4
  프랑스 2 5 4 5 9 5 17 9 7 5 1 5 13 2 14
  독일[5] 7 5 5 4 9 5 5 3 2 9 10
  영국 1 1 1 11 5 4 17 5 8 5 10
  그리스 13 17 15 3
  헝가리 5 13 9 1 WD 3 1 1 2 16 9
  아일랜드 7 17 2
  이스라엘 Competed with Asia (qualified 2 times) 15 1
  이탈리아 8 5 6 3 1 5 9 4 DSQ 4 4 5 12 5 3 5 15
  라트비아 16 1
  리투아니아 17 1
  룩셈부르크 12 11 9 9 9 9 6
  네덜란드 3 3 3 4 9 9 17 7 8
  노르웨이 9 7 3 14 10 5
  폴란드 17 4 9 10 1 2 2 7
  포르투갈 5 4 14 6 4
  루마니아 14 17 5 11 4
  러시아 10 As the Soviet Union 1
  세르비아 Part of Yugoslavia / Serbia and Montenegro 12 1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Part of Yugoslavia 16 Split into 2 nations 1
  슬로바키아 13 1
  소련 As the Russian Empire 9 1 3 3 3 WD 1 Split into 15 nations, with Russia as successor 6
  스페인 2 17 5 6 12 10 1 6 2 14 2 1 12
  스웨덴 4 11 6 3 9 1 3 6 6 15 10
  스위스 2 9 13 3
  튀르키예 17 9 9 5 5 WD 14 6
  우크라이나 9 1
  유고슬라비아 9 17 9 2 2 2 1 6 4 3 10 Split into 5, later 6 nations 11
남미
대회 00 04 08 12 20 24 28 36 48 52 56 60 64 68 72 76 80 84 88 92 96 00 04 08 12 16 20 24 횟수
  아르헨티나 2 7 10 WD 8 2 1 1 11 10 7 10
  브라질 5 6 9 13 13 4 2 2 3 7 3 2 1 1 14
  칠레 17 17 7 3 4
  콜롬비아 10 11 11 14 6 5
  파라과이 7 2 6 3
  페루 5 11 2
  우루과이 1 1 WD 9 3
  베네수엘라 12 1
북중미
대회 00 04 08 12 20 24 28 36 48 52 56 60 64 68 72 76 80 84 88 92 96 00 04 08 12 16 20 24 횟수
  캐나다 1 13 6 3
  코스타리카 16 13 8 3
  쿠바 11 7 2
  도미니카 공화국 12 1
  엘살바도르 15 1
  과테말라 8 10 16 3
  온두라스 10 16 7 4 14 5
  멕시코 9 11 11 4 7 9 DSQ 10 7 10 1 9 3 12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14 Split into 2 nations 1
  미국 2[6] 3 12 9 9 11 17 5 14 WD 9 12 9 10 4 9 8 15
아프리카
대회 00 04 08 12 20 24 28 36 48 52 56 60 64 68 72 76 80 84 88 92 96 00 04 08 12 16 20 24 횟수
  알제리 8 14 2
  카메룬 11 1 8 3
  이집트 8 8 4 9 11 9 WD 12 4 WD 8 12 8 8 4 13
  가봉 12 1
  가나 7 12 16 WD WD 3 8 9 6
  기니 11 16 1
  코트디부아르 6 7 2
  말리 5 14 2
  모로코 13 WD 8 12 15 16 10 11 3 8
  나이지리아 14 WD 13 15 1 8 2 3 7
  세네갈 6 1
  남아프리카 공화국 11 13 16 3
  수단 15 1
  튀니지 15 13 14 12 4
  잠비아 WD 15 5 2
아시아+호주
대회 00 04 08 12 20 24 28 36 48 52 56 60 64 68 72 76 80 84 88 92 96 00 04 08 12 16 20 24 횟수
  아프가니스탄 17 1
  오스트레일리아 Competed with Oceania (qualified 6 times) 11 12 2
  중화인민공화국 9 11 WD 14 13 4
  중화 타이베이 16 1
  인도 11 17 4 13 4
  인도네시아 5 1
  이란 12 12 7 WD 3
  이라크 5 14 9 4 12 10 6
  이스라엘 5 6 Competed with Europe (qualified 1 time) 2
  일본 5 9 8 3 9 6 13 15 4 10 4 5 11
  쿠웨이트 6 16 12 3
  말레이시아 10 WD 1
  미얀마 9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WD 8 1
  카타르 15 8 2
  사우디아라비아 16 15 15 3
  대한민국 5 14 11 11 11 9 6 10 3 5 5 11
  시리아 14 1
  태국 9 16 2
  아랍에미리트 15 1
  우즈베키스탄 13 1
대양주
대회 00 04 08 12 20 24 28 36 48 52 56 60 64 68 72 76 80 84 88 92 96 00 04 08 12 16 20 24 횟수
  오스트레일리아 5 7 4 13 15 7 AFC (qualified 2 times) 6
  피지 16 1
  뉴질랜드 14 16 6 11 4
본선 국가 수 3 2 5 11 14 22 17 16 18 25 11 16 14 16 16 13 16 16 16 16 16 16 16 16 16 16 16 16

여자부

편집
유럽+이스라엘+카자흐스탄
대회 96 00 04 08 12 16 20 24 횟수
  덴마크 8 1
  프랑스 4 6 6 3
  독일 5 3 3 3 1 3 6
  영국 5 7 2
  그리스 10 1
  네덜란드 5 1
  노르웨이 3 1 7 3
  스페인 4 1
  스웨덴 6 6 4 6 7 2 2 7
남미
대회 96 00 04 08 12 16 20 24 횟수
  아르헨티나 11 1
  브라질 4 4 2 2 6 4 6 2 8
  칠레 11 1
  콜롬비아 11 11 8 3
북중미
대회 96 00 04 08 12 16 20 24 횟수
  캐나다 8 3 3 1 7 5
  멕시코 8 1
  미국 1 2 1 1 1 5 3 1 8
아프리카
대회 96 00 04 08 12 16 20 24 횟수
  카메룬 12 1
  나이지리아 8 6 11 11 4
  남아프리카 공화국 10 10 2
  잠비아 9 12 2
  짐바브웨 12 1
아시아+호주
대회 96 00 04 08 12 16 20 24 횟수
  오스트레일리아 OFC (q. 2 t.) 7 4 9 3
  중화인민공화국 2 5 9 5 8 10 6
  일본 7 7 4 2 8 5 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9 9 2
대양주
대회 96 00 04 08 12 16 20 24 횟수
  오스트레일리아 7 5 AFC (qualified 3 times) 2
  뉴질랜드 10 8 9 12 10 5
본선 국가수 8 8 10 12 12 12 12 12

남자부 결과

편집
회차 연도 개최국 및 도시 결승 3,4위전
우승 결과 준우승 3위 결과 4위
1896   아테네 축구 종목 없었음
1회 1900
자세히
  파리  
영국
[7]  
프랑스
 
벨기에
[7]
2회 1904
자세히
  세인트루이스  
캐나다
[8]  
미국
 
미국
[8]
3회 1908
자세히
  런던  
영국
2 - 0  
덴마크
 
네덜란드
2 - 0  
스웨덴
4회 1912
자세히
  스톡홀름  
영국
4 - 2  
덴마크
 
네덜란드
9 - 0  
핀란드
1916   베를린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5회 1920
자세히
  앤트워프  
벨기에
[9]  
스페인
 
네덜란드
[9]  
이탈리아
6회 1924
자세히
  파리  
우루과이
3 - 0  
스위스
 
스웨덴
1 - 1
연장전
3 - 1
재경기
 
네덜란드
7회 1928
자세히
  암스테르담  
우루과이
1 - 1
연장전
2 - 1
재경기
 
아르헨티나
 
이탈리아
11 - 3  
이집트
1932   로스앤젤레스 축구 종목 없었음
8회 1936
자세히
  베를린  
이탈리아
2 - 1
연장전
 
오스트리아
 
노르웨이
3 - 2  
폴란드
1940   헬싱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9회 1944   런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9회 1948
자세히
  런던  
스웨덴
3 - 1  
유고슬라비아
 
덴마크
5 - 3  
영국
10회 1952
자세히
  헬싱키  
헝가리
2 - 0  
유고슬라비아
 
스웨덴
2 - 0  
서독
11회 1956
자세히
  멜버른  
소련
1 - 0  
유고슬라비아
 
불가리아
3 - 0  
인도
12회 1960
자세히
  로마  
유고슬라비아
3 - 1  
덴마크
 
헝가리
2 - 1  
이탈리아
13회 1964
자세히
  도쿄  
헝가리
2 - 1  
체코슬로바키아
 
독일[4]
3 - 1  
아랍 연합 공화국
14회 1968
자세히
  멕시코시티  
헝가리
4 - 1  
불가리아
 
일본
2 - 0  
멕시코
15회 1972
자세히
  뮌헨  
폴란드
2 - 1  
헝가리
 
소련
2 - 2[10]
연장전
 
동독
16회 1976
자세히
  몬트리올  
동독
3 - 1  
폴란드
 
소련
2 - 0  
브라질
17회 1980
자세히
  모스크바  
체코슬로바키아
1 - 0  
동독
 
소련
2 - 0  
유고슬라비아
18회 1984
자세히
  로스앤젤레스  
프랑스
2 - 0  
브라질
 
유고슬라비아
2 - 1  
이탈리아
19회 1988
자세히
  서울  
소련
2 - 1
연장전
 
브라질
 
서독
3 - 0  
이탈리아
20회 1992
자세히
  바르셀로나  
스페인
3 - 2  
폴란드
 
가나
1 - 0  
오스트레일리아
21회 1996
자세히
  애틀란타  
나이지리아
3 - 2  
아르헨티나
 
브라질
5 - 0  
포르투갈
22회 2000
자세히
  시드니  
카메룬
2 - 2
연장전
(5 - 3)
승부차기
 
스페인
 
칠레
2 - 0  
미국
23회 2004
자세히
  아테네  
아르헨티나
1 - 0  
파라과이
 
이탈리아
1 - 0  
이라크
24회 2008
자세히
  베이징  
아르헨티나
1 - 0  
나이지리아
 
브라질
3 - 0  
벨기에
25회 2012
자세히
  런던  
멕시코
2 - 1  
브라질
 
대한민국
2 - 0  
일본
26회 2016
자세히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1 - 1
연장전
(5 - 4)
승부차기
 
독일
 
나이지리아
3 - 2  
온두라스
27회 2020
자세히
  도쿄  
브라질
2 - 1
연장전
 
스페인
 
멕시코
3 - 1  
일본
28회 2024
자세히
  파리  
스페인
5 - 3
연장전
 
프랑스
 
모로코
6 - 0  
이집트
29회 2028
자세히
  로스앤젤레스
30회 2032
자세히
  브리즈번

여자부 결과

편집
회차 연도 개최국 결승 3,4위전
우승 결과 준우승 3위 결과 4위
1회 1996
자세히
  애틀란타  
미국
2 - 1  
중국
 
노르웨이
2 - 0  
브라질
2회 2000
자세히
  시드니  
노르웨이
3 - 2
연장전
 
미국
 
독일
2 - 0  
브라질
3회 2004
자세히
  아테네  
미국
2 - 1
연장전
 
브라질
 
독일
1 - 0  
스웨덴
4회 2008
자세히
  베이징  
미국
1 - 0
연장전
 
브라질
 
독일
2 - 1  
일본
5회 2012
자세히
  런던  
미국
2 - 1  
일본
 
캐나다
1 - 0  
프랑스
6회 2016
자세히
  리우데자네이루  
독일
2 - 1  
스웨덴
 
캐나다
2 - 1  
브라질
7회 2020
자세히
  도쿄  
캐나다
1 (연장) 1
3 (승부차기) 2
 
스웨덴
 
미국
4 - 3  
오스트레일리아(호주)
8회 2024
자세히
  파리  
미국
1 - 0  
브라질
 
독일
1 - 0  
스페인
9회 2028
자세히
  로스앤젤레스
10회 2032
자세히
  브리즈번

같이 보기

편집

남자 대회

여자 대회

각주

편집
  1. “축구”. 국제 올림픽 위원회. 
  2. Goldblatt, David. 《The Ball Is Round : A Global History of Football》. Penguin Books. p.243쪽. ISBN 978-0-14-101582-8. 
  3. Mallon, Bill; & Widlund, Ture (1998). 《The 1896 Olympic Games. Results for All Competitors in All Events, with Commentary》. Jefferson: McFarland. 118쪽쪽. ISBN 0-7864-0379-9. 
  4. The East German team represented the United Team of Germany in 1964, winning the bronze medal.
  5. When Germany was divided, this flag represented the United Team of Germany in 1956, and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i.e., West Germany) in 1952, 1972, 1984 and 1988.
  6. The United States had two teams at the 1904 Games, taking the silver and bronze medals.
  7. 1900년 대회는 원래 세 팀간의 시범 경기로 열렸지만, 후에 IOC가 경기 결과에 따라 메달이 주어졌다.
  8. 1904년 대회는 원래 세 팀간의 시범 경기(이 중 두 팀은 미국팀이다)로 열렸지만, 후에 IOC에서 라운드로빈 결과에 따라 메달이 수여되었다.
  9. 1920년 대회 때, 체코슬로바키아가 벨기에와의 결승전에서 40분 경기를 진행했을 때 2-0으로 지고 있을 때 경기를 포기하였다. 그리하여 체코슬로바키아는 탈락하였고, 3,4위전을 해야 했던 스페인과 네덜란드 간에 미니토너먼트를 실시하여 나머지 메달의 주인공을 가리게 되었다.
  10. 1972년 대회 때, 소비에트연합과 동독과의 3,4위전 경기는 연장전까지 하여 2-2 동점으로 끝났다. 그리하여 두 팀 모두 동메달을 받았다.

참고 자료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