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found this document useful (0 votes)
12 views26 pages

Textbook 3 1

Korea High School Physics 1 Textbook Part 6

Uploaded by

Joonmoon Lee
Copyright
© © All Rights Reserved
We take content rights seriously. If you suspect this is your content, claim it here.
Available Formats
Download as PDF, TXT or read online on Scribd
0% found this document useful (0 votes)
12 views26 pages

Textbook 3 1

Korea High School Physics 1 Textbook Part 6

Uploaded by

Joonmoon Lee
Copyright
© © All Rights Reserved
We take content rights seriously. If you suspect this is your content, claim it here.
Available Formats
Download as PDF, TXT or read online on Scribd
You are on page 1/ 26

파동과 정보 통신

바닷가에 밀려오는 파도나 소리 또는 빛과 같은 파동은 물질의 직접적인 이동 없이 에너지와 정보를


전달한다. 우리는 자연을 탐구하는 데 필요한 많은 정보를 이러한 파동을 통하여 얻고 있으며, 파동
현상에 관한 여러 가지 탐구는 현대 물리학의 탄생에 기초가 되었다. 이 단원에서는 현대 사회의 정보
통신 과정이 대체로 파동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고 기록한다는 것을 알아보자.

프로젝트 활동 안내 이 단원을 시작하면서 교과서 속 탐구 활동을 확장시킬 수 있는 ‘편리한 제품 고안하기’ 프로젝트 활동을 진행해
보자. 194쪽

140 Ⅲ. 파동과 정보 통신

금성교과서(물리I).indb 140 2018-08-10 오후 6:10:36


중학교 과학 통합 과학 이 단원에서 배울 것
•빛과 파동 •물질의 규칙성과 결합 파동의 전파
•전기와 자기
정보 통신의 활용

1. 파동의 전파 141

금성교과서(물리I).indb 141 2018-08-10 오후 6:10:36


1 파동의 전파
1단계 생각 펼치기

무지개의 비밀

2단계 해결하기 3단계 생각 모으기 4단계 생각 넓히기


파동의 요소, 전반사, 1. 개념 정리 빛의 간섭으로 중력파를 검출
파동의 간섭 2. 아하! 그렇구나 하다.

알고 있나요?

우리는 어떤 과정을 통해 물체를 볼 수 있는가?

우리 눈은 어떻게 색을 인식하게 되는가?

소리는 진폭, 진동수, 파형에 따라 우리 귀에 어떻게 들리는가?

무지개의 비밀
생각 펼치기

다음은 주희와 민성이가 무지개에 대하여 나눈 대화이다. 두 사람의 대화를 읽고 생각해 보자.

소나기가 내리더니 금방 개었네? 아, 저기 봐. 무지개가 떴어!


민성
우와! 정말 멋있다. 이번 무지개는 정말 선명하네.
그런데 무지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
주희

햇빛이 물방울에 의해 꺾여서 만들어진다고 들었어.

그래? 햇빛이 꺾이는데 다양한 색깔을 띠는


까닭은 뭐지? 무지개 모양은 왜 둥근 모양이야?

왜냐하면 무지개는 햇빛과 물방울의 상호 작용의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어.

그래? 그럼 햇빛과 물방울만 있으면 언제든지


무지개가 있어야 할 것 같은데, 왜 안 그런 거야?
어, 저기 물이 고인 땅바닥에도 비슷한 무늬가 있어.
저것도 무지개와 같은 원리로 만들어진 거야?

음. 그건 무지개와는 좀 다른 것 같은데?

142 Ⅲ. 파동과 정보 통신

금성교과서(물리I).indb 142 2018-08-10 오후 6:10:40


생각해 볼까요?

무지개를 관찰할 수 있으려면 어떤 조건이 만족되어야 할까?

햇빛이 물방울 속으로 진행할 때 어떤 현상이 나타날까?

무지개 외에도 일상생활에서 무지갯빛을 관찰할 수 있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무지개는 공기 중에 흩어져 있는 물방울에 의해 백색광인 햇빛이 굴절되고 반


사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면서 나타나는 것이다. 빛이 어떤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비스듬히 입사하면 진행 방향이 꺾인다. 이때, 꺾이는 정도는 빛의 파장에 따라
다르다. 각각의 빛의 파장은 고유한 색깔을 나타내므로 그림 III - 1처럼 보랏빛으
로 보이는 파장이 짧은 빛은 많이 꺾이고, 빨간빛으로 보이는 파장이 긴 빛은 적
게 꺾여서 무지갯빛이 나타난다.
빛도 파동의 하나인데, 이처럼 파동이 전파될 때에는 어떤 특징이 있고, 파동
이 전달될 때 일어나는 현상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자.

백색광

그림 III - 1 무지갯빛이 생기는 원리

이 단원을 공부하면 우리는


나는 이 단원에서

1. 파동의 진동수, 파장, 속력 사이의 관계를 알고, 매질에 따라 파동의 속력이 다른 것을


활용한 예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2. 파동의 전반사 원리를 이용한 광통신 과정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3. 파동의 간섭이 활용되는 예를 찾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을(를) 익히겠다.

1. 파동의 전파 143

금성교과서(물리I).indb 143 2018-08-10 오후 6:10:41


해결하기 1 파동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학습 목표 | 파동의 기본 요소를 알고, 파동의
진동수, 파장, 속력 사이의 관계를 말할 수 있다.

축구 경기장에 가면 함성과 펄럭이는 깃발, 그리고 파도타기 등을 활용


한 여러 가지 응원을 보고 들을 수 있다. 그중 파도타기 응원을 살펴보면
같은 줄에 앉은 사람들이 동시에 자리에서 일어서서 소리치고 바로 앉는
다. 이에 맞춰서 옆자리에 앉은 사람들이 동작을 이어받고, 이것은 순식간
에 관중석을 돌면서 계속된다.


짝 토의 파도타기 응원을 하는 모양을 그림으로 그려 보면 어떤 모양이 될까?
또 파도타기 응원과 실제 파동은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을까?

우리 주변의 정보 대부분은 파동의 형태로 전달된다. 귀에 들리는 소리, 눈으


로 들어오는 빛, 휴대 전화에서 송수신하는 전자기파 등이 모두 파동이며, 파동
은 물질의 이동 없이 파원에서 수신자까지 에너지와 정보가 전달된다. 파동이 어
떻게 전달되는지 알아보자.

탐구 ➊ 실험 긴 용수철을 통해 전달되는 파동 사고력 탐구 능력

목표 용수철을 통해 파동이 전달될 때의 움직임과 파동의 속력을 설명할 수 있다. 5분 안전

용수철 사이에 피부가 끼어 상


준비물 파동 실험용 용수철, 초시계, 장갑 처가 나지 않게 장갑 등을 착용
한다.
과정

가늘고 긴 용수철을 양쪽에서 적당하게 잡아당긴 후 한쪽 끝을 오른쪽으로 한 번 흔


들어 파동이 상대편에 전파될 때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해 보자.
굵은 용수철로 같은 실험을 반복해 보자.

결과 및 정리

1. 파동이 전파될 때 용수철의 한 부분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2. 용수철을 통해 전달되는 파동의 속


력은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3. 용수철을 팽팽하게 당긴 상태와


느슨하게 둔 상태에서 파동의
속력은 어떻게 다른가?
4. 굵은 용수철과 가는 용수철
에서 파동의 속력은 어떻게
다른가?

144 Ⅲ. 파동과 정보 통신

금성교과서(물리I).indb 144 2018-08-10 오후 6:10:43


그림 III - 2와 같이 잔잔한 수면 위에 물방울이 떨어지면, 물방울이 떨어진 점을
중심으로 물결이 동심원을 그리며 퍼져 나간다. 이처럼 진동 상태가 주위로 퍼져
나가는 것을 파동이라 하고, 파동이 발생한 곳을 파원, 파동을 전달하는 물질을 매
질이라고 한다. 파동은 순간마다 그 모습이 바뀌면서 진행해 가는데, 이러한 파동
을 어떻게 표현하면 좋을까? 다음 탐구로 알아보자. 그림 III - 2 수면에 떨어진 물방울

탐구 ➋ 자료 해석 파동의 기본 요소 사고력

목표 파동의 여러 가지 기본 요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물리는 통한다!
1. 다음은 파동에 대한 자료의 일부이다. 파동을 표현하는 요소에 동그라미 해 보자. 파동이 진행하는 동안 매질은
제자리에서 진동만 하며, 진
파동의 가장 높은 부분을 마루, 가장 낮은 곳을 골이라 하며, 이웃한 마루와 마루 또 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지 않
는 골과 골 사이의 거리를 파장이라고 한다. 또한 진동의 중심에서 마루까지의 거리 또 는다. (▶ 중 1 과학, 빛과 파
는 진동의 중심에서 골까지의 거리를 진폭이라고 한다. 동)

용수철을 통해 파동이 전달될 때, 용수철의 어느 한 부분을 관찰하면 상하 운동을 하


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래위로 진동하여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주기라 하고, 1초 동안 진동하는 횟수를 진동수라고 한다.

2. 그림 (가)는 용수철을 통해 전달되는 파동의 어느 순간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그림 (나)는


용수철의 어느 한 부분이 시간에 따라 움직이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위의 자료를 보고 그
림에 표시된 A, B, C, D, E는 무엇을 나타내는지 말해 보자.

(가) (나)

파동의 속력(v)은 파동의 주기(T), 파장(k)과 관계가 있다. 파동은 한 주기 동


안 한 파장만큼 진행한다. 따라서 파동의 속력은 이동 거리인 파장을 걸린 시간
인 주기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그런데 주기는 진동수(  f )의 역수이므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k
v= =k f (m/s)
T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파동의 진동수, 파장, 속력 사이의
1. 이해 팽팽하게 당긴 줄의 한쪽 끝을 1.5 초의 주기로 계속해서 흔들어서 파동을 발생시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켰다. 이 파동의 파장이 1.2`m이면 파동의 속력은 얼마인가?

2. 적용 축구 경기장에서 파도타기 응원의 속력을 알기 위해서는 무엇을 조사해야 하며,


속력은 어떻게 구할 수 있는지 설명해 보자.

1. 파동의 전파 145

금성교과서(물리I).indb 145 2018-08-10 오후 6:10:45


해결하기 2 매질이 달라지면 파동은 어떻게
전파될까?
학습 목표 | 파동의 굴절이 매질에 따라 속력이
달라져서 일어남을 설명할 수 있다.

응, 뭐라고?! 아니, 너 매점
나 오늘 매점 안 갔어. 안 간 건 알고 있고,
점심 메뉴 뭐냐고?

뭐라고 하는지
오늘 점심 메뉴는 뭐야? 잘 안 들려.
매점을 같이 가자고?


짝 토의 낮에 건물 위에서 아래쪽으로 말하는 소리는 잘 들리지 않는데, 아래에서 위쪽
으로 말하는 소리는 잘 들리는 까닭은 무엇일까?

파동은 보통 사방으로 곧게 전파되지만, 매질이 달라지는 경계면에서는 진행


방향이 바뀌기도 한다. 물결파 투영 장치를 이용하여 파동이 물의 깊이가 깊은
곳에서 얕은 곳으로 진행할 때 전파되는 모양을 관찰해 보자.

탐구 ➌ 실험 물결파의 굴절 사고력 탐구 능력

목표 물결파 투영 장치를 이용하여 물의 깊이에 따라 물결파가 어떻게 굴절하는지 설명 실험 시 주의 사항

할 수 있다. 물결파를 관찰하기 쉽게 물 깊이,


유리판의 두께 등을 조절해야 한
다. 스트로보스코프의 진동수와
준비물 물, 유리판, 물결파 투영 장치, 스트로보스코프
직선파 발생기의 진동수를 같게
하면 파동이 정지한 것처럼 보이
과정 므로 관찰하기 쉽다.

물결파 투영 장치에 약 1`cm 깊이로 물을 넣고, 두께가 8`mm 정


도의 유리판을 이용해서 물의 깊이를 다르게 만들자.
물결파 발생기의 스위치를 켜서 직선 모양의 물결파를 만들자.
스트로보스코프를 켜고, 진동수를 조절하여 물결파를 관찰하기 쉽
게 한 뒤, 물결파의 진행 모양을 관찰하자.

정리

•물의 깊이가 다른 경계면에서 물결파의 진행 방향은 어떻게 변하는가?

자기 평가

1. 물의 깊이에 따른 물결파의 파장의 변화를 관찰하였는가?


2. 파동의 속력이 변할 때 파동의 진행 방향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가?

146 Ⅲ. 파동과 정보 통신

금성교과서(물리I).indb 146 2018-08-10 오후 6:10:47


(λ1)

그림 III - 5 파동의 굴절과 수레 운


(λ2) 동의 비유 수레가 아스팔트에서 잔
디밭으로 비스듬히 진행할 때 잔디밭
에서는 바퀴의 속력이 느려지므로 수
그림 III - 3 물결파의 굴절 그림 III - 4 굴절 법칙 레의 진행 방향이 꺾인다. 이와 비슷
하게 파동도 속력이 다른 매질의 경
계면을 지날 때 진행 방향이 꺾인다.
일반적으로 파동이 전파될 때 매질이 달라지면, 파동의 진동수(  f )는 일정하고
파동의 속력(v)과 파장(k)이 달라진다. 속력과 파장은 v=k f의 관계이므로 파장
이 긴 매질에서 파동의 속력은 빠르다.
그림 III - 3를 보면 깊은 곳에서는 물결파의 속력이 빠르고, 얕은 곳에서는 느리
다. 두 매질을 지나는 파동의 속력이 차이가 나면, 그림 III - 5의 비유와 같이 파동
의 속력이 느린 쪽의 매질에서 파동의 진행 방향과 법선이 이루는 각이 더 작아
지는 방향으로 꺾인다. 이러한 현상을 파동의 굴절이라고 한다. 파동이 그림 III - 4
와 같이 굴절할 때, 입사각과 굴절각, 파동의 속력과 파장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고, 이 관계식을 굴절 법칙(스넬 법칙)이라고 한다.
sin h1 v1 k1
= =
sin h2 v2 k2
파동의 굴절은 매질 사이의 경계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고 연속적으로 변하는
대기 중에서도 일어난다. 낮에는 지면의 공기가 위쪽보다 더 따뜻하므로 지면 근
처에서 소리의 속력이 증가하여 소리가 위쪽으로 굴절한다. 또, 밤에는 이와 반
대로 지면의 공기가 위쪽보다 더 차가워서 소리가 아래쪽으로 굴절한다.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파동의 굴절이 일어나는 까닭을 추
1. 이해 소리의 속력은 공기 중에서보다 물속에서 더 빠르다. 소리가 공기에서 물속으로
론하고, 일상생활에서 이와 관련된
진행할 때 어떻게 굴절하는지 설명하여 보자. 현상을 찾아 설명할 수 있다.

2. 적용 어떤 파동이 그림과 같이 다른 매질로 진행하고 있다. 이 파동의 진행 경로를 그려


보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알아야 할 사실은 무엇인가?

1. 파동의 전파 147

금성교과서(물리I).indb 147 2018-08-10 오후 6:10:49


해결하기 3 파동의 굴절은 우리 일상생활과
어떤 연관이 있을까?
학습 목표 | 파동의 굴절을 활용한 예를 설명할
수 있다.

준비하기 들어가기

•교과서 150쪽의 디딤 자 다음 글을 읽고 질문에 대해 토의해 보자.


료를 읽어 보자.
남태평양 서부에 있는 뉴칼레도니아에
•인터넷에서 파동의 굴절
서는 지금도 창으로 물고기를 잡아서 생
현상을 검색하여 동영상
활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데 창으로 물
을 시청하자.
고기를 잡을 때 물고기가 보이는 곳을 정
확하게 겨냥하면 오히려 물고기를 놓치게
된다고 한다. 창으로 물고기를 잡기 위해
서는 어디를 겨냥해야 할까?

모둠 활동 조사·발표 파동의 굴절 현상 탐구 능력 의사소통 능력

목표 파동의 굴절로 일어나는 현상을 찾아 조사하고, 이를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과정

가. 조사하기
3~4명씩 모둠을 구성하자.
인터넷을 활용하여 모둠별로 아래 (가), (나), (다), (라)의 현상 중 1가지를 정하여
각각의 현상들이 나타나는 까닭을 조사해 보자.

(가) (나)

(가) 렌즈에 의한 상의 차이
(나) 물속에서 다리가 짧아 보이는 현상
(다) ‌사막의 산봉우리가 모래에 비치는
현상
(라) ‌배가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
(다) (라) 는 현상

148 Ⅲ. 파동과 정보 통신

금성교과서(물리I).indb 148 2018-08-10 오후 6:10:50


나. 발표하기
모둠별로 조사한 자료와 아래 그림을 참고하여 발표 자료를 만들자.
모둠별 발표 시간은 7분 이내로 하자.
다른 모둠이 발표하는 동안 내용을 경청하고, 아래 그림에 간략하게 정리해 보자.

눈에 보이는
발의 위치
실제
발의 위치

신기루

뜨거운 사막
신기루

찬 해수면

다. 친구에게 설명하기
발표한 내용을 정리한 후 아래의 질문에 대하여 친구에게 설명해 보자. 자기 평가
㉠ 빛이 렌즈를 통과할 때 꺾이는 까닭은 무엇인가? 볼록 렌즈와 오목 렌즈에서 빛 1. 모둠에서 각자의 역할을 잘 담당
이 굴절되는 방향을 설명해 보자. 하였으며, 모둠 구성원 간의 협력
㉡ 물속에서 다리가 짧아 보이는 것은 빛이 수면에서 어떻게 굴절되기 때문인지 설 이 잘 이루어졌는가?

명해 보자. 2. 실생활에서 파동의 굴절로 인하여


㉢ 사막에서 지평선 가까이에 물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신기루 현상은 어떻게 생긴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가?
것인지 설명해 보자.
㉣ 배가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은 어떻게 생긴 것인지 설명해 보자.

1 이외에도 파동의 굴절로 나타나는 현상을 조사하고 그 원리를 설명해 보자.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파동의 굴절로 일어나는 현상을 조
1. 이해 물속에서의 빛의 속력과 유리에서의 빛의
사하고, 그 까닭을 다양한 의사소통
속력이 같은 유리판이 있다. 이 유리판을 물속 방법을 사용하여 논리적으로 발표할
에 넣으면 유리판이 어떻게 관찰될지 설명하여 수 있다.
보자.

2. 적용 수영장 바닥을 관찰하면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있는 무늬들이 일렁이는 것을 보
게 된다. 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지 설명해
보자.

1. 파동의 전파 149

금성교과서(물리I).indb 149 2018-08-10 오후 6:10:51


디딤 자료

광선을 그려 상의 위치 알아내기
물체에서 나온 빛이 거울에 의해 반사되거나 다른 투명한 매질
로 진행하여 굴절되면 우리의 눈은 빛이 직진하는 것으로 인식한
다. 따라서 물체에서 퍼져 나오는 두 개 이상의 광선을 그려 보면
그 물체의 상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림 III - 6과 같이 평면 거울 앞의 점 O에 작은 물체가
놓여 있다고 하자. 물체에서 퍼져 나오는 빛 중에 일부가 거울면에서
반사의 법칙에 따라 반사되어 우리 눈으로 들어오게 되는데, 반사된
그림 III - 6 거울에 비친 상
광선들을 뒤로 연장하면 한 점에서 만나게 된다. 우리는 그 점에서
빛이 퍼져 나온 것으로 보고 그 점에 물체의 상이 있다고 생각한다.

빛의 굴절에 의한 상
물고기에서 반사되는 빛은 물과 공기의 경계면에서 굴절되는데,
우리의 눈은 빛이 직진하는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그림 III - 7과
같이 물고기는 실제보다 더 위쪽에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물속에
막대를 넣었을 때 막대가 위쪽으로 꺾여 보이는 것도 같은 원리이다. 그림 III - 7 물에서의 굴절 현상

빛의 분산

우리 눈에 보이는 빛인 가시광선은 파장이 380`nm~770`nm 행할 때 공기와


의 전자기파이다. 이 파장의 빛이 모두 우리 눈으로 들어오면 백 물의 경계면에
색으로 인식되지만, 특정한 파장의 빛이 우리 눈으로 들어오면 서 일부는 굴절
파장마다 고유한 색으로 인식된다. 빛이 다른 매질로 진행할 때 되고 일부는 반
파장에 따라 굴절되는 정도가 다르다. 파장이 짧은 보라색 빛이 사하는 데, 굴
많이 굴절하고, 파장이 긴 빨간색 빛은 적게 굴절한다. 그래서 백 절되는 빛은 파
색광인 햇빛을 프리즘에 통과시키면 파장에 따라 빛이 다르게 장에 따라 조금
굴절하여 여러 가지 빛으로 나뉘는데, 이것을 빛의 분산이라고 씩 다르게 굴절 그림 III -8 무지개가 보이는 원리
한다. 된다. 따라서 우리는 그 빛을 파장에 따라 다른 위치에서 보게
비 온 뒤에 관찰할 수 있는 무지개는 빛의 굴절 때문에 나타 되므로 빨주노초파남보의 무지개로 관찰하게 되는 것이다.
나는 것이다. 그림 III - 8과 같이 빛이 공기 중의 물방울로 진

150 Ⅲ. 파동과 정보 통신

금성교과서(물리I).indb 150 2018-08-10 오후 6:10:53


세상을 바꾸는
물리 스넬의 창 과학과 예술

스넬의 창은 물속에 있는 관찰자가 물 밖에 있는 세상을 볼


때 관찰할 수 있는 현상이다. 물속의 물고기가 수면을 통해
하늘을 바라본다면 180!로 펼쳐져 있는 하늘 전체가 97! 정도
로 압축되어 그림 III - 9와 같이 원형으로 보일 것이다. 마찬
가지로 잠수부가 잔잔한 맑은 물속에서 수면을 바라보면, 원
형으로 시야가 압축되어 보이며 가장자리들은 어둡게 보인
다. 이러한 현상을 스넬의 창 또는 광학 맨홀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빛이 물속으로 들어오면서 굴절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하늘에서 나온 빛이 시야각 97! 밖에서 들어올 수
그림 III - 9 스넬의 창
없기 때문에 가장 자리는 일반적으로 어둡게 보인다.
이와 비슷하게 넓은 시야를 압축해 주는 렌즈를 어안 렌즈(Fisheye lens)라고 하는데, 어안 렌즈는 그림 III - 10처럼 특
수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 응용되고 있다.

그림 III - 10 어안 렌즈의 효과

토의하기

1 물속의 물고기가 수면을 통해 하늘을 바라보면 하늘 전


체가 원형 안에 압축되어 보이는 까닭을 오른쪽 그림을
통해 설명해 보자.

2 스넬의 창과 같이 넓은 시야를 압축해 주는 어안 렌즈는


어떤 모양으로 생겼을지 추론해 보자.

1. 파동의 전파 151

금성교과서(물리I).indb 151 2018-08-10 오후 6:10:56


해결하기 4 빛은 어떤 경우에 모두 반사될까? 학습 목표 | 파동의 전반사가 어떤 경우에 일어
나는지 알 수 있다.

신기한 마술 하나 보여줄까? 이렇게 동전을 우앗! 대박! 사실은 페트병 속에 처음 각도에 따라서
여기 물이 들어 있는 투명한 페트병과 내 병 아래에 대고… 어떻게 한 거야? 부터 동전이 들어 있었어. 동전이 보일 때도 있고
손에 동전이 하나 있어. 내가 이 동전을 내가 보고있었는데! 페트병을 정면에서 보면서 안 보일 때도 있네. 왜
이 페트병 안으로 넣어 볼까? 얍! 천천히 돌려봐. 이런 현상이 일어
나는 거지?

달그락


짝 토의 동전이 보일 때와 보이지 않을 때가 있는 까닭은 무엇일까?

빛이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진행할 때 어떤 조건에서는 모두 반사되는 경우


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어떤 조건에서 일어나는지 다음 실험을 통해 알아보자.

탐구 ➍ 실험 빛의 전반사 사고력 탐구 능력

목표 파동이 매질의 경계면에서 모두 반사될 때의 조건을 설명할 수 있다. 5분 안전

광원(레이저)의 빛이 눈에 직접
준비물 전반사 실험 장치, 광원(또는 슬릿 레이저), 물 비치지 않도록 주의한다.

과정

전반사 실험 장치의 물통에 물을 반원 부분까지 넣고 수면이 기준선과 일치하도록


수평을 맞추자.
레이저 빛을 물이 담긴 아래쪽에서 원의 중심을 향해 입사각이 0!가 되도록 입사시
키자.
원의 중심을 향하는 레이저 빛의 입사각을 점점 크게 하면서 물과 공기의 경계면에
서 일어나는 반사와 굴절을 관찰하자.

정리

1. 입사각이 커짐에 따라 반사각과 굴절각은 어떻게 변하는가?


2. 입사각과 반사각과의 관계와 입사각과 굴절각과의 관계를 설명해 보자.
3. 빛이 모두 반사될 때 빛이 진행하는 모양을 그려 보고, 어떤 경우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지 설명해 보자.

자기 평가

1. 빛의 전반사 현상을 관찰하였는가?


2. 빛이 전반사 현상이 일어나는 조건을 설명할 수 있는가?

152 Ⅲ. 파동과 정보 통신

금성교과서(물리I).indb 152 2018-08-10 오후 6:10:58


θ

(가) (나)
그림 III - 11 전반사와 임계각

그림 III - 11의 (가)와 같이 물속 거울에서 반사된 빛이 물 표면에서 굴절하면 빛 입사각이 커짐에 따라 굴절 광선은
약해지고 반사 광선은 점점 강해져서
의 속력이 느린 매질에서 빠른 매질로 진행하므로 굴절각이 입사각보다 크다. 그 입사각이 임계각이 될 때 입사 광선
의 100 %를 반사하게 된다.
림 (나)와 같이 입사각을 점점 크게 하면 굴절각도 그에 따라 커지는데, 굴절각이
90!가 되는 입사각에 도달하면, 입사되는 모든 빛이 매질의 경계면에서 반사되고
굴절되는 빛은 사라진다. 이러한 현상을 전반사라고 하고 굴절각이 90!일 때의 입
사각을 임계각이라고 한다. 임계각보다 큰 입사각에서는 전반사가 일어난다.
굴절률(n)은 진공에서 빛의 속력에 대한 매질에서 빛의 속력의 비로 정의하므
로 굴절률이 n인 매질에서 진공으로 빛이 진행하면 임계각 hc 는 스넬 법칙에 의
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굴절률과 스넬 법칙 사이의 관계
파동이 굴절할 때 스넬 법칙을 굴절
sin hc=n! (hc : 임계각, n : 매질의 굴절률) 률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sin h1 v1 n2
우리 주변에서는 전반사 현상을 그림 III - 12와 같이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sin h2
= =
v2 n1

(가) ‌광섬유 광섬유 속으로 정보를 실은 레이저 광 (나) ‌내시경 의학에 쓰이는 내시경은 전반사를 이 (다) ‌쌍안경 전반사 프리즘이 빛의 진로를 90!
선을 보내면 빛이 전반사하여 먼 곳까지 나간다. 용한다. 또는 180!로 바꾸어 준다.
그림 III - 12 빛의 전반사를 활용하는 사례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1. 이해 공기의 굴절률이 1이고, 물의 굴절률은 3$라고 할 때, 물속에서 공기로 빛이 진행할


파동의 전반사가 일어나는 조건에
대해 추론하여 설명할 수 있다.
때 전반사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입사각의 범위는?

2. 적용 전반사 현상을 고려하여 짝 토의에서의 페트병 속의 동전이 보이기도 하고 보이지


않기도 하는 현상을 설명해 보자.

1. 파동의 전파 153

금성교과서(물리I).indb 153 2018-08-10 오후 6:11:02


해결하기 5 빛으로 어떻게 통신을 할까?
학습 목표 | 빛의 전반사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
달하는 광통신의 원리를 알고, 이를 설명할 수
있다.

봉수는 불빛이나 연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과거의 통신 수단이


다. 봉수를 통해 급한 소식을 빨리 전달할 수 있지만, 장애물이 있으면 신
호가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거리가 멀수록 신호가 약해져서 대략 10`km
마다 봉수대를 설치해야만 했다.


짝 토의 오늘날의 광통신은 봉수 제도의 단점을 어떻게 해결하였을까?

빛에 정보를 실어서 광섬유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광통신이라고 한다.


다음 탐구를 통해 빛으로 어떻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탐구 ➎ 실험 빛으로 정보 전달하기 탐구 능력

목표 광섬유를 이용하여 빛 신호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표 III -1 한글 모스 부호 표에서 •은


짧게 빛 신호를 보내고 –는 길게 빛
준비물 광섬유, 칸막이, 발광 다이오드(LED) 회로 신호를 보낸다.

문자 부호 문자 부호
과정 ㄱ •–•• ㅎ •–––

그림과 같이 가운데에 칸막이를 두고 광섬유로 양쪽을 연결하자. ㄴ ••–• ㅏ •

ㄷ –••• ㅑ ••
한쪽에서 스위치를 이용해서 발광 다이오드(LED) 빛을 깜박이고, 다른 쪽 끝에서
ㄹ •••– ㅓ –
빛을 관찰하여 기록하자.
ㅁ –– ㅕ •••
표 III - 1의 한글 모스 부호를 참고하여 간단한 단어(예를 들면, ‘전반사’)를 빛 신호
ㅂ •–– ㅗ •–
를 이용해서 전달해 보자.
ㅅ ––• ㅛ –•

ㅇ –•– ㅜ ••••

ㅈ •––• ㅠ •–•

ㅊ –•–• ㅡ –••

ㅋ –••– ㅣ ••–

ㅌ ––•• ㅐ ––•–

ㅍ ––– ㅔ –•––

154 Ⅲ. 파동과 정보 통신

금성교과서(물리I).indb 154 2018-08-10 오후 6:11:06


결과 및 정리 자기 평가

1. 빛 신호를 이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단어가 정확하게 전달되었는가? 1. 빛 신호를 이용해 정보가 정확히
전달되었는가?
2. 빛으로 보내려고 하는 정보를 정확하고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어떤 점이 필요한지
2. 빛 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원리를
토의해 보자.
설명할 수 있는가?

일반적으로 빛은 사방으로 퍼져서 전달되기 때문에 거리가 멀어질수록 세기가


약해진다. 또한, 빛이 반사와 굴절을 하면 원래의 빛에 비해 세기가 약해진다. 그
러나 빛이 전반사하면 모든 빛이 반사되므로 세기가 약해지지 않는다. 이것이 오
늘날 광통신이 가능하게 된 가장 큰 이유이다.

탐구 ❻ 토의 광통신의 원리 사고력

목표 광통신의 원리와 장점을 토의할 수 있다.

다음 글은 규진이가 광통신의 원리에 관해 조사한 글이다. 글을 읽고 짝과 함께 토의해 보자.

광섬유는 빛을 손실 없이 전달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광섬유는 빛


을 전송할 수 있는 섬유 모양의 관으로 빛의 전반사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광섬유의 구조는 중심부에 있는 투명한 코어
를 코어보다 굴절률이 작은 클래딩이 감싸고 있
는 구조이다. 그리고 코어와 클래딩을 보호하기
위한 코팅이 있다.
빛은 광섬유를 지날 때, 코어와 클래딩의 경계
면에서 전반사하며 진행한다. 그래서 광섬유가
설치된 곳이면 어디든지 멀리까지 빛 신호를 전
달할 수 있다.

1. 광섬유가 어떻게 직진하는 빛을 장애물 뒤까지 전달할 수 있는지 토의해 보자.


2. 광섬유의 코어와 클래딩의 굴절률은 어떤 관계가 있어야 하는가? 왜 그런지 토의해 보자.
3. 광섬유를 이용한 광통신이 옛 선조들의 봉수 제도의 단점을 어떻게 극복했는지 토의해 보자.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광통신이 과거 봉수 제도의 단점을
1. 이해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는 빛은 세기가 거의 약해지지 않고 멀리까지 전달될 수 있 해결하고 오늘날에 널리 사용하게
는 까닭은 무엇일까? 된 까닭을 설명할 수 있다.

2. 적용 광통신과 무선 통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해 보자.

1. 파동의 전파 155

금성교과서(물리I).indb 155 2018-08-10 오후 6:11:08


세상을 바꾸는
물리 광통신의 역사와 오늘날의 광통신 과학과 기술

광통신을 처음 구 완하기 위해 광증폭기를 사용하여 빛 신호를 증폭한다. 수


현한 사람은 알렉산 신부에서는 수신된 빛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 다음 정
더 그레이엄 벨이었 보를 분리하여 음성, 영상 등을 재생한다.
다. 1876년 그는 전기 광섬유는 구리 도선보다 부피가 작고, 가벼우며, 광섬유
를 이용한 전화기를 를 만들 수 있는 재료가 풍부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광
만들어 특허를 받았 섬유를 이용한 광통신은 기존의 유선 통신보다 전송 용량이
을 뿐만 아니라, 1880 크고 전송 거리가 매우 길며 외부 전파에 의한 영향을 받지
년 빛으로 소리 신호 않아 잡음이나 혼선이 없고 도청이 어렵다. 그러나 광섬유
를 보내는 광통신에 를 급격하게 휘면 끊어질 수 있고, 광섬유 연결 부위의 작은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도 성공하였다. 이 먼지나 틈 때문에도 광통신이 불가능하게 될 수도 있어서 한
(Bell, A. G., 1847~1922) 때에는 광섬유를 이 번 설치된 광케이블이 고장이 나면 수리하기가 매우 어렵다.
용하지 않고 공기 중으로 빛을 보내는 방식이었다. 그 후 이전에는 기존의 구리 도선으로 전화하거나 데이터를 보
1960 년에 레이저가 발명되고, 1970 년에는 빛의 세기가 거 내도 통신하는 것에 큰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빠르게 증가
의 손실되지 않는 저손실 광섬유가 개발되면서 광통신이 실 한 이동 통신과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 검색, 채팅, 게임 등
용화되기 시작하였다. 으로 인해 전달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최
오늘날의 광통신 체계는 그림 III - 13과 같이 크게 송신 근에는 더 많은 정보량을 어떻게 하면 더 빠르고 정확하게
부, 정보 채널, 수신부로 구성된다. 송신부에서는 음성, 영 보낼 것인가가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광섬유를 이용한 광
상 등과 같은 정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빛 신호에 첨가하 통신은 구리 도선보다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
고, 이 빛 신호는 광섬유를 통해 수신부로 전송된다. 광섬유 었지만 이것도 늘어나는 정보량을 감당하기에는 점차 부족
를 통해 진행하는 빛도 조금씩 세기가 약해지는데, 이를 보 하게 되었다.

그림 III - 13 광통신 과정

156 Ⅲ. 파동과 정보 통신

금성교과서(물리I).indb 156 2018-08-10 오후 6:11:09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기술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WDM; 은 전달해야 하는 여러 가지 정보
Wavelength Division Multi- 를 각각 다른 파장에 할당하여 하나
plexing), 시분할 다중화 방식(TDM; 의 광섬유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이고,
Time Division Multiplexing)등과 같 그림 III - 14 광섬유 시분할 다중화 방식 기술은 디지털 신호 1과
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런 기술들은 광섬유(그림 0을 보내는 시간을 매우 짧게 하여 여러 사람이 돌아가
III - 14) 한 가닥에 한 사람만이 사용하는 신호를 보낼 것이 면서 자기의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
아니라 여러 사람이 보내고자 하는 신호의 다발을 여러 개 술들을 이용하여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통신 용량의 문제를
로 묶어서 동시에 보내 주는 기술들이다. 해결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글쓰기

1 1880 년에 벨이 개발했던 광통신 방법은 왜 실용화되지 못했을까? 그리고 오늘날과 같이 광통


신이 실용화되는 데 필요했던 것은 무엇인지 써 보자.

2 광통신을 기존의 구리 도선을 이용한 유선 통신과 비교하여 설명하여 보자.

3 광통신을 통해 정보 전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설명해 보자.

4 광통신을 이용한 통신 기술이 획기적으로 발전한 미래의 모습을 상상하며 글을 써 보자.

1. 파동의 전파 157

금성교과서(물리I).indb 157 2018-08-10 오후 6:11:09


해결하기 6 파동이 서로 만나면 어떻게 될까? 학습 목표 | 파동의 독립성과 중첩의 원리에 대
해 설명할 수 있다.

오케스트라에서는 많은 악기가 어우러져 멋진 화음을 만든다. 여러 악기


소리가 만나 이루는 화음은 사람들에게 많은 감동을 준다. 여러 가지 악기
소리가 서로 만나지만 신기하게도 우리는 각각의 악기 소리를 구별할 수 있다.


짝 토의 파동의 어떤 특징 때문에 소리가 합쳐지기도 하고, 구별이 가능하기도
한 것일까?

잔잔한 수면에 두 개의 돌을 동시에 던지면 각각의 돌이 만들어 낸 물결파가 동


심원을 그리면서 사방으로 퍼져 나간다. 그런데 특정 부분에서는 파동이 겹쳐지기
도 하는데, 이때 파동의 모양은 어떨까? 이와 같이 한 매질에서 진행하는 파동들이
서로 겹쳐질 때 파동의 모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다음 탐구를 통해 알아보자.

탐구 ➐ 실험 두 파동의 중첩 사고력

목표 두 파동이 중첩될 때 일어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준비물 파동 실험용 용수철, 테니스공 2개

과정

그림 (가)와 같이 파동 실험용 용수철을 가운데에 두고 서로 마주 본 상태에서 같은 펄스


한 번의 진동이 전달되는 파동을 펄
방향으로 한 번 흔들어 파동이 전파되어 가는 모습을 관찰하여 보자.
스라고 한다.
그림 (나)와 같이 파동 실험용 용수철을 가운데에 두고 서로 마주 본 상태에서 반대
방향으로 한 번 흔들어 파동이 전파되어 가는 모습을 관찰하여 보자.
그림 (다)와 같이 테니스공을 상대방 쪽으로 굴려서 두 공이 서로 부딪치게 해 보자.

(가)

(다)

(나)

정리

1. 그림 (가)와 (나)의 경우 두 파동이 만나는 곳에서 용수철의 변위는 어떻게 되는가?
2. 두 파동이 서로 지나친 후의 각 파동의 모양은 어떠한가?
3. 두 파동이 만날 때 일어나는 현상은 두 물체가 만날 때 일어나는 현상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158 Ⅲ. 파동과 정보 통신

금성교과서(물리I).indb 158 2018-08-10 오후 6:11:10


서로 접근하는 두 개의 입자는 충돌한 후 다시 튕겨 가지만,
파동은 그림 III - 15와 같이 서로 만난 후에 원래 진행하던 방향
으로 간다. 그리고 파동의 모양은 겹쳐진 모습을 하였다가 그 후
에는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파동이 겹쳐지더라
도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성질을 파동의 독립성이라고 한다.
파동이 겹쳐지는 모습은 시간에 따라 변하지만, 그림 III - 15와
같이 어느 순간의 파동의 변위는 그 점을 지나는 파동의 변위를
합한 것과 같다. 이것을 파동의 중첩 원리라고 하며, 중첩의 결
과로 만들어지는 파동을 합성파라고 한다. 그림 III - 15 파동의 독립성과 중첩 원리

탐구 ➑ 그리기 파동의 간섭 사고력

목표 간섭이 일어날 때 합성된 파의 모양을 나타낼 수 있다.

1. 다음은 윤진이네 모둠에서 파동의 간섭에 관해 조사한 자료의 일부이다. 파동의 간섭을 설명
하는 말에 밑줄을 그어 보자.

두 개 이상의 파동이 서로 중첩될 때, 중첩되는 파동의 진폭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현상을 파동의 간섭이라고 한다. 이때 중첩되는 파동의 위상 이 같아서 합성파의 진폭이 위상
진동이나 파동에서, 한 주기 내에서
중첩되기 전보다 커지는 것을 보강 간섭이라 하고, 중첩되는 파동의 위상이 반대여서
매질의 각 점의 위치와 진동 상태를
합성파의 진폭이 중첩되기 전보다 작아지는 것을 상쇄 간섭이라고 한다.
위상이라고 한다.
만약 진폭이 같은 두 파동이 만나 보강 간섭을 하면 합성파의 진폭은 원래의 파동의
2배가 되고, 서로 상쇄 간섭을 하면 합성파의 진폭은 0이 된다.

2. 위의 자료를 참조하여 그림 (가)와 같이 진동수와 위상이 같은 파동이 중첩될 때와 그림 (나)


와 같이 진동수가 같고 위상이 반대인 두 파동이 중첩될 때 합성파의 모양을 그려 보자.

(가) (나)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파동의 간섭이 일어나는 까닭을 추
1. 이해 같은 줄에서 발생한 두 개의 펄스 파동이 서로 접근하고 있다. 왼쪽에서 오른쪽으
론하여 설명할 수 있다.
로 진행하는 파동 변위는 +3`cm이고,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하는 펄스의 파동 변
위는 +2`cm이다. 줄의 각 지점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파동 변위의 값이 어떻게 변화
하는가?

2. 적용 물결파 투영 장치에서 두 개의 점파원에서 발생하는 물결파가 중첩되었을 때 파동


이 간섭되는 모양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그러한 모양이 나타나는 까닭을 설명해 보자.

1. 파동의 전파 159

금성교과서(물리I).indb 159 2018-08-10 오후 6:11:10


해결하기 7 파동이 간섭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학습 목표 | 파동의 간섭으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공연장을 설계할 때에는 공연하는 사람들의 소리가 모든 객석에서 잘


들리도록 주의해서 설계한다. 하지만 설계가 잘되지 않은 공연장에서는
공연자의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자리가 생기기도 한다.


짝 토의 공연장에서 공연자의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는 까닭은
무엇일까?

소리도 파동이므로 소리가 중첩되면 간섭 현상이 일어난다. 다음의 탐


구를 통해 소리의 간섭 현상을 알아보자.

탐구 ➒ 실험 두 개의 스피커를 이용한 보강•상쇄 간섭 사고력 탐구 능력

목표 컴퓨터와 스피커를 이용하여 소리가 간섭될 때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5분 안전

작은 소리부터 큰 소리로 천천
준비물 스피커(2개), 컴퓨터 히 높여서 실험 중 갑자기 큰
소리가 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과정

가. 관찰자 위치 변경 컴퓨터에 연결하는 보통 스테레오


교실 앞 양쪽에 스피커를 설치하고 컴퓨터에 연결하자. 스피커로도 충분히 실험할 수 있다.
스피커의 뒷면에 (+), (-) 단자를 자
스피커 사이의 간격을 1`m 정도로 하고, 일정한 진동수를 내보낼 수 있는 소리 프
유롭게 연결할 수 있는 스피커라면
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에서 349`Hz의 ‘파(F4)’음을 발생시키자. 더 좋다.

관찰자가 스피커의 앞에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스피커로부터 나는 소리를 들어 보자.

160 Ⅲ. 파동과 정보 통신

금성교과서(물리I).indb 160 2018-08-10 오후 6:11:11


나. 소리의 진동수 변경
스피커 사이의 간격을 5 m 정도로 조정하고, 각자 자기 자리에 앉아서 소리가 크게
들릴 때 손을 들어 보자.
소리의 진동수를 바꾸어서 과정 를 반복해 보자.

다. 스피커 단자 변경
한쪽 스피커의 (+), (-) 단자를 바꾸어서 과정 를 반복해 보자.
한쪽 스피커의 (+), (-) 단자를 바꾼 다음, 두 스피커를 서로 마주 보게 하고 가까
이 붙여 보자.

결과 및 정리

1.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소리의 세기가 어떻게 변하는가?


2. 소리의 세기가 가장 커졌을 때와 가장 작아졌을 때 관찰자의 위치에서 두 스피커까지의 경
로의 차이는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까닭을 토의해 보자. 자기 평가
3. 한쪽 스피커의 (+), (-) 단자를 바꾼 다음 두 스피커를 서로 마주 보게 하고 가까이 붙였 1. 소 리의 보강·상쇄 간섭에 의해
을 때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가?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까닭을 토의해 보자. 소리의 세기가 달라짐을 관측하였
는가?
더 생각하기
2. 소리의 보강·상쇄 간섭이 일어나
•위의 실험에서 소리가 완전히 상쇄되는 지점은 왜 나타나지 않을까? 는 조건을 설명할 수 있는가?

그림 III - 16의 (가)처럼 같은 진동수로 동일한


위상의 소리가 나오는 두 개의 스피커로부터 같
은 거리에서 소리를 듣게 되면, 두 스피커에서 나
오는 음파가 보강 간섭 하여 큰 소리를 듣게 된다.
그러나 관찰자가 이동하여 그림 III - 16의 (나)처럼
두 스피커까지의 경로 차이가 반파장의 홀수 배가
되게 하면 두 스피커에서 나오는 음파가 상쇄 간
섭을 하여 작은 소리를 듣게 된다. 또, 스피커의 (가) 보강 간섭 소리가 크게 들린다. (나) 상쇄 간섭 소리가 작게 들린다.
그림 III - 16 소리의 보강 간섭과 상쇄 간섭
위치를 바꾸어서 각 스피커에서 관찰자까지의 경로
차이가 반파장의 홀수 배가 될 때에 상쇄 간섭이 일어나 작은 소리를 듣게 된다.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소리의 보강 간섭, 상쇄 간섭이 일어
1. 이해 무대의 양쪽 끝에 설치한 스피커에서 동일한 진동수의 소리가 나고 있다. 두 스피 나는 실험을 설계하고 수행할 수 있다.
커의 가운데 있을 때 크고 깨끗한 소리를 들었다. 한쪽으로 이동하면 어떤 소리를 듣게
되는지 설명해 보자.

2. 적용 서로 1`m 떨어진 두 개의 스피커에서 같은 위상으로 소리가 발생되고 있다. 한쪽

소리의 진동수는 얼마인가? (단, 1221.4이며, 소리의 속력은 340`m/s이다.)


스피커의 정면 1`m 지점에서 소리를 들었더니 소리가 아주 작게 들렸다. 이때 발생하는

1. 파동의 전파 161

금성교과서(물리I).indb 161 2018-08-10 오후 6:11:11


해결하기 8 파동의 간섭 현상을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까?
학습 목표 | 파동의 간섭이 활용되는 예를 찾아
설명할 수 있다.

자동차에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여러 가지 진동과 마찰 등에 의


한 소음 때문에 운전자와 탑승자가 불편을 느끼기도 한다. 그래서 최근에
는 소리까지 좋은 자동차를 만들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중에는
파동의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소음을 제거하는 방법도 있다.


짝 토의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는 기술에는 어떤 과학 원리가 숨어
있을까?

우리 주위에서 파동의 간섭이 활용되는 예로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자.

탐구 ➓ 조사 파동의 간섭 현상을 활용하는 예 탐구 능력 의사소통 능력

목표 파동의 간섭을 활용하는 예를 찾아 조사하고, 그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과정

두 명씩 짝 지어 모둠을 구성하자.
아래의 제품 (가)와 (나) 중 각자 1가지를 선택하여 보자.

(가) 소음 제거 헤드폰 (나) 코팅되지 않은 안경(좌)과 코팅된 안경(우)

자신이 선택한 제품에서 간섭이 어떻게 이용되었는지 아래 그림을 참고해 조사하여


보자.

(가) 소음 제거 헤드폰의 소음 제거 원리 (나) 코팅된 안경의 원리

내가 조사한 내용을 짝에게 설명해 보자.


짝의 이야기를 들을 때는 내용을 경청하고 간략하게 정리해 보자.

162 Ⅲ. 파동과 정보 통신

금성교과서(물리I).indb 162 2018-08-10 오후 6:11:12


정리

1. 소음 제거 헤드폰은 어떤 원리로 소음을 제거하는가? 소음 제거 헤드폰은 언제 사용하면


좋을지 설명해 보자.

2. 코팅된 안경과 코팅되지 않은 안경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코팅된 안경은 어떤 원리로 반


사되는 빛을 줄이고 투과되는 빛을 크게 할 수 있는지 설명하여 보자.

3. 이 밖에 일상생활에서 간섭 현상을 활용한 예에는 무엇이 있는지 토의해 보자.

자기 평가

1. 실생활에서 파동의 간섭을 활용한 예를 찾아 설명할 수 있는가?


2. 모둠에서 자신의 역할을 잘 담당하였으며, 모둠 구성원 간의 협력이 잘 이루어졌는가?

자동차의 소음 제거 장치는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위상이 반대인 소리를


만들어 내보내어 두 소리가 상쇄 간섭 하게 하여 자동차 소음을 없앤다. 또, 악기
를 연주할 때 어떤 관계에 있는 여러 가지 소리를 함께 듣게 되면 아름다운 화음
으로 느낄 수 있는 것도 소리의 간섭 현상 때문이다.
또한, 안경 렌즈나 카메라 렌즈 표면에 적당한 두께의 얇은 막을 코팅하면 반
사되는 빛들이 상쇄 간섭 하여, 코팅하지 않은 렌즈에 비해 반사되는 빛이 매우
줄어들어 효율적으로 빛이 투과하는 렌즈를 만들 수 있다. 그림 III - 17의 (나)처럼
공작새의 깃털에 나타나는 색깔도 간섭에 의한 것이고 (다)처럼 신용 카드 등에
있는 홀로그램도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영상을 만들어 낸다. 이와 같이
파동인 소리와 빛의 간섭 현상은 실생활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응용된다.

(가) 악기의 소리 (나) 공작새의 날개 (다) 홀로그램


그림 III - 17 간섭을 활용하는 예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일상생활에서 파동의 간섭이 활용되
1. 이해 코팅된 안경에서 반사되는 빛을 줄이려면 코팅막 위에서 반사되는 빛과 코팅막 아
는 예를 찾아 발표할 수 있다.
래에서 반사되는 빛이 어떤 관계에 있어야 하는가?

2. 적용 파동의 간섭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을 빛의 간섭에 의한 것과 소리의 간섭에 의한


것으로 구분하여 보자.

1. 파동의 전파 163

금성교과서(물리I).indb 163 2018-08-10 오후 6:11:15


생각 모으기
1 파동의 전파 정리하기 개념 확인 | 아하! 그렇구나

개념 확인 다음은 이 단원을 정리한 것이다. 빈칸에 알맞은 말을 써 보자. 144~163쪽

1. 파 동이 전파될 때 매질의 어느 한 지점이 한 번 진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① (이)라 하고, 단위 시간 동안 진동이 일어난 횟수를 ② (이)라고 한
다. 또, 어느 순간의 파동의 모습을 관찰했을 때, 마루와 마루 또는 골과 골 사이의 거리
를 ③ (이)라고 한다.

2. 파동은 한 주기 동안 한 파장만큼 진행하므로 ④ 은/는 한 주기 동안의 이동


거리인 파장을 걸린 시간인 주기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3. 파 동이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진행할 때 파동의 속력이 변하면 파동은


⑤ 된다. 우리 생활에는 파동인 빛과 소리가 ⑤ 되어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들이 있다.

4. ⑥ 은/는 굴절률이 큰 매질에서 작은 매질로 진행할 때, 입사각이 임계각보다


크면 일어난다.

5. ⑦ 은/는 전반사 현상을 이용하여 빛을 멀리까지 전달할 수 있는 도구이다. 오


늘날에는 빛을 이용해서 정보를 전달하는 ⑦ 이/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6. 두 개 이상의 파동이 서로 중첩될 때, 중첩되는 파동의 위상이 같으면 ⑧ 이/가


일어나고, 중첩되는 파동의 위상이 반대이면 ⑨ 이/가 일어난다. 파동인 빛과
소리의 ⑩ 을/를 이용하여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아하! 그렇구나 무지개의 비밀 142쪽

생각 펼치기 (142~143쪽)를 다시 읽고 다음 물음에 대해 스스로 답해 보자.

1 물이 가득 담긴 수조 안에 거울을 45! 각도로 설치한 후 햇빛이 그늘진 스크린에 비치


게 하면 무지개가 나타난다. 이렇게 생긴 무지개와 비 온 뒤에 볼 수 있는 무지개는 어
떤 공통점이 있는지 설명해 보자.

2 비눗방울에서 나타나는 무지갯빛 무늬와 젖은 도로에 기름이 떨어졌을 때 나타나는


무지갯빛 무늬와는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 설명해 보자.

164 Ⅲ. 파동과 정보 통신

금성교과서(물리I).indb 164 2018-08-10 오후 6:11:16


생각 넓히기
1 빛의 간섭으로 중력파를 검출하다 토의 | 의사소통 능력

2016 년 2 월 11 일, 미국의 레이저 간 다음 일정한 거리를 진행시킨 다음에


섭계 중력파 관측소(LIGO; Laser 다시 반사시켜 되돌아오게 하여 두
Interferometer Gravitational 빛을 합친 다음, 합친 빛이 일으키는
Wave Observatory)에서 최초로 간섭 현상을 측정하는 것이다.
중력파를 실험적으로 관측하는 데 성 서로 다른 경로로 진행하다가 되돌
공했다고 발표했다. 아온 두 빛이 합쳐질 때, 한쪽의 거리가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하면 ‘시공간의 중력파에 의해 늘어난다면 그 경로에서는
잔물결’로 불리는 중력파는 질량이 있는 물 그림 III - 18 블랙홀에서 나오는 중력파 빛이 그만큼 더 많이 진행해야 하므로, 마
체가 가속 운동을 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 파동으로서 그림 지막에 다른 빛과 합쳐질 때 더 늦게 도착한다. 이 차이로 인
III - 18과 같이 빛의 속도로 전파되면서 주변 시공간을 휘게 해 간섭 현상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한다. 1915 년 아인슈타인이 일반 상대성 이론을 발표한 이 LIGO에서는 이러한 효과를 증폭하기 위해 빛이 진행하는 거
래로 수많은 과학자가 이론적으로 중력파가 존재하리라 예 리를 수백 번 왕복한 후에 합쳐질 수 있게 설계하였다. 이러한
측했지만, 중력파로 인한 변화는 너무나 미세하므로 실험적 설비가 갖춰진 LIGO는 미국 워싱턴주와 루이지애나주 두 곳에
으로 관측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있는데, 2015년 9월에 13억 광년 떨어진 곳의 두 블랙홀이 충돌
LIGO에서는 이것을 관측하기 위하여 빛의 간섭을 이용 해 생긴 중력파 신호를 측정하는 데 성공하였고, 수개월 간의 분
하였다. 그림 III - 19처럼 광원에서 나온 한 줄기 빛을 일부 석과 검증을 거쳐서 그 결과를 2016년 2월에 발표한 것이다.
는 반투명 거울에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하여 두 갈래로 나눈

거울 빛의 진행 방향
합쳐진 빛

같이 도착한 빛 최대 밝기 (보강 간섭)


각각의 빛은 4`km
거리를 수백 번 왕복
거울 +
중간 밝기
약간 늦게 도착한 빛
광원
거울 거울
+
합쳐진 빛의 소멸된 밝기 (상쇄 간섭)
간섭 현상 측정 더 늦게 도착한 빛
그림 III - 19 빛의 간섭을 활용한 중력파 검출 과정

토의하기

1.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LIGO)에서 중력파에 의한 미세한 변화를 관측할 수 있기 위해, LIGO에서 사용되는 레
이저는 어떤 특징이 있어야 할지 토의해 보자.

2.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LIGO)를 가능한 미국 내에서 서로 멀리 떨어진 워싱턴주와 루이지애나주 두 곳에 설치한
까닭은 무엇인지 조사해 보자.

1. 파동의 전파 165

금성교과서(물리I).indb 165 2018-08-10 오후 6:11:1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