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mentary Math 0-1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8

Chapter 3

미분법

3.1 도함수
정의 3.1.1 함수 f (x)에서 x가 하나의 고정된 값 a로부터 다른 값 b로 변했을
때, 그 상은 f (a)에서 f (b)로 변한다. 이 때 x의 변화량에 대한 f (x)의 변화량

f (b) − f (a)
b−a

을 함수 f (x)의 a로부터 b까지의 평균변화율이라고 한다.

예제 3.1.1 함수 f (x) = x2 의 1에서 3까지의 평균변화율을 구하여라.

풀이. 정의로부터 1에서 3까지의 평균변화율은

f (3) − f (1) 32 − 12
= =4
3−1 2

이다.

참고로 함수 f (x)의 a로부터 b까지의 평균변화율은 f (x) 그래프상의 두 점


(a, f (a)), (b, f (b))를 잇는 직선의 기울기이다(그림 3.1).

59
60 CHAPTER 3. 미분법

y
y = f (x)

f (b) • (b, f (b))

f (b) − f (a)

(a, f (a))
f (a) •
b−a

a x
b

Figure 3.1: 평균변화율

정의 3.1.2 함수 f (x)의 a로부터 b까지의 평균변화율에서 b가 a에 수렴할 때


극한값
f (b) − f (a)
lim
b→a b−a
가 존재하면, 이 극한값을 f (x)의 x = a에서의 순간변화율 또는 미분계수라
하고, f 0 (a)로 나타낸다. 그리고 이 때 함수 f (x)는 x = a 에서 미분가능이라
하고, f (x)가 개구간 I의 각 점에서 미분가능일 때 f (x)는 구간 I에서 미분가
능하다고 한다.
위 정의에서 h = b − a라 두면 x = a에서의 순간변화율을
f (a + h) − f (a)
f 0 (a) = lim
h→0 h
로 나타낼 수 있다.
정의 3.1.3 함수 f (x)에서
f (a + h) − f (a)
f+0 (a) = lim+
h→0 h
f (a + h) − f (a)
f−0 (a) = lim−
h→0 h
3.1. 도함수 61

가 존재할 때 f+0 (a)를 우측미분계수, f−0 (a)를 좌측미분계수라 한다.


정리 3.1.1 함수 f (x)가 x = a에서 f 0 (a)가 존재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f+0 (a)와 f−0 (a)가 존재하고 일치할 때이다.
예제 3.1.2 함수 f (x) = x2 − 3x에서 f 0 (1)를 구하여라.
풀이. 정의에 따라
{(1 + h)2 − 3(1 + h)} − (12 − 3)
f 0 (1) = lim
h→0 h
−h + h2
= lim = lim (−1 + h) = −1
h→0 h h→0

이다.

예제 3.1.3 함수 f (x) = x (x ≥ 0)에서 f 0 (3)를 구하여라.
풀이. 정의에 따라
√ √ √ √ √ √
0 3+h− 3 ( 3 + h − 3)( 3 + h + 3)
f (3) = lim = lim √ √
h→0 h h→0 h( 3 + h + 3)
h 1 1
= lim √ √ = lim √ √ = √
h→0 h( 3 + h + 3) h→0 3 + h + 3 2 3
이다.
문제 3.1.1 함수 f (x) = √2
x
(x ≥ 0)에서 f 0 (3)를 구하여라.

정리 3.1.2 함수 y = f (x)가 x = a에서 미분가능하면 그 점에서 f (x)는 연속


이다.
증명. x 6= a에 대해서
f (x) − f (a)
f (x) = (x − a) + f (a)
x−a
이다. 양변에 x → a인 극한을 취하면
 
f (x) − f (a)
lim f (x) = lim (x − a) + f (a)
x→a x→a x−a
=f 0 (a) · 0 + f (a) = f (a)
이므로 f (x)는 x = a에서 연속이다.
예제 3.1.4에서 위 정리의 역이 성립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62 CHAPTER 3. 미분법

예제 3.1.4 f (x) = |x|는 x = 0에서 연속이지만 미분불가능임을 보여라.

증명. 예제 2.2.2에서 f (x)는 x = 0에서 연속임을 보였다. 이제 f (x)의


x = 0에서 미분가능성을 살펴보자.
f (0 + h) − f (0) |h| h
f+0 (0) = lim+ = lim+ = lim+ = 1
h→0 h h→0 h x→0 h

이고
−h
f−0 (0) = lim−
= −1
h→0 h
이므로 f+0 (0) 6= f−0 (0)이다. 따라서 f 0 (0)이 존재하지 않는다.

예제 3.1.5 함수 f (x)가

x sin x1 (x 6= 0)

f (x) =
0 (x = 0)

일 때, x = 0에서의 미분가능성을 조사하여라.

풀이. x = 0에서 순간변화율을 구하면

f (0 + h) − f (0) h · sin h1 1
lim = lim = lim sin
h→0 h h→0 h h→0 h
이다. 그러나 limh→0 sin h1 의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x = 0에서 미분불가
능이다.

정의 3.1.4 함수 y = f (x)가 x = a에서 미분가능할 때 그래프상의 점 (a, f (a))


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y − f (a) = f 0 (a)(x − a) f 0 (a) 6= ∞




x=a f 0 (a) = ∞ or − ∞

이고 법선의 방정식은
1

 y − f (a) = − f 0 (a) (x − a) f 0 (a) 6= 0, ∞
x=a f 0 (a) = 0
y = f (a) f 0 (a) = ∞ or − ∞

이다.
3.1. 도함수 63

정의로부터 함수 f (x)의 x = a에서의 순간변화율 f 0 (a)는 f (x)의 그래프


상의 점 (a, f (a))에서 접선의 기울기이다(그림 3.2).

y y = f (x)

(a, f (a))에서 접선
f (a) •
(a, f (a))

a x

Figure 3.2: f 0 (a)는 점 (a, f (a))에서 접선의 기울기

예제 3.1.6 곡선 y = 2x2 − x + 1 상의 점 (1, 2)에서 접선의 식과 법선의 식을


구하여라.
풀이. x = 1에서 순간변화율을 구하면
f (1 + h) − f (1)
f 0 (1) = lim
h→0 h
2(1 + h)2 − (1 + h) + 1 − (2 · 12 − 1 + 1)
= lim
h→0 h
3h + 2h2 h (3 + 2h)
= lim = lim
h→0 h h→0 h
= lim (3 + 2h) = 3
h→0

이다. 따라서 접선의 식은


y − 2 = 3(x − 1) 또는 y = 3x − 1
이고 법선의 식은
1 1 7
y − 2 = − (x − 1) 또는 y = − x +
3 3 3
이다.
64 CHAPTER 3. 미분법

정의 3.1.5 함수 y = f (x)가 구간 I에서 미분가능할 때, I의 각 점 a를 f (x)


의 x = a의 미분계수에 대응시키는 함수를 f (x)의 도함수(derivative)라 하고
dy df (x) 0 0
, , y , f (x)
dx dx
등의 기호로 나타낸다. 즉,
dy f (x + h) − f (x)
y0 = = lim
dx h→0 h
이다. 그리고 y 0 를 구하는 것을 미분한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f (x)는 정의역의 모든 원소에서 미분계수를 갖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함수 f 0 (x)의 정의역은 f (x)의 정의역의 부분집합이다.

예제 3.1.7 함수 f (x) = 1
x
(x 6= 0)의 f 0 (x)를 구하여라.

풀이. 임의의 x 6= 0에 대하여


1 1 −h
0 x+h
− x (x+h)x −1 1
f (x) = lim = lim = lim =− 2
h→0 h h→0 h h→0 (x + h) x x
이다.

예제 3.1.8 상수함수 f (x) = c에 대하여 f 0 (x) = 0임을 보여라.

풀이. 임의의 x에 대하여


f (x + h) − f (x) c−c
f 0 (x) = lim = lim =0
h→0 h h→0 h
이다.

예제 3.1.9 함수 f (x) = x2 + x의 f 0 (x)를 구하여라.

풀이.
f (x + h) − f (x) (x + h)2 + (x + h) − (x2 + x)
f 0 (x) = lim = lim
h→0 h h→0 h
2
2xh + h + h h(2x + h + 1)
= lim = lim
h→0 h h→0 h
= lim (2x + h + 1) = 2x + 1
h→0
3.1. 도함수 65

문제 3.1.2 함수 f (x) = √1
x
(x > 0)의 f 0 (x)를 구하여라.

예제 3.1.10 양의 정수 n과 함수 f (x) = xn 에 대하여 f 0 (x) = nxn−1 임을


보여라.

풀이. 이항정리를 이용하면 아래를 얻는다.

f (x + h) − f (x) (x + h)n − xn
f 0 (x) = lim = lim
h→0
 h  h→0
  h   
1 n n n−1 n n−2 2 n n n
= lim x + x h+ x h + ··· + h −x
h→0 h 1 2 n
      
n n−1 n n−2 n n−1
= lim x + x h + ··· + h
h→0 1 2 n
 
n n−1
= x = nxn−1
1

문제 3.1.3 함수 f (x) = x3 − x + 1상의 접선 중 2x − y − 1 = 0과 평행인


접선을 모두 구하여라.

정리 3.1.3 (자연지수함수 미분법) 자연 지수함수 f (x) = ex 에 대하여

f 0 (x) = ex

이다.

eh −1
증명. 예제 2.2.5에 의하여 limh→0 h
= 1이므로

ex+h − ex ex (eh − 1) eh − 1
(ex )0 = lim = lim = ex lim = ex
h→0 h h→0 h h→0 h
이다.

문제 3.1.4 자연 로그함수 f (x) = ln x의 도함수를 구하여라.

연습문제 3.1

문제 3.1.5 반지름 r인 원의 면적은 πr2 이고 원둘레는 2πr이다. 반지름 r = 2


일 때 원의 면적과 원둘레의 순간변화율을 구하여라.
66 CHAPTER 3. 미분법

문제 3.1.6 반지름 r인 구의 체적과 표면적은 각각 34 πr3 , 4πr2 으로 나타난다.


반지름 r = 3일 때 구의 체적과 표면적의 순간변화율을 구하여라.

문제 3.1.7 f (1) = 3, f 0 (1) = 2인 함수 f (x)에 대해서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


라.

f (x3 ) − f (1) x3 f (1) − f (x2 )


(1) lim (2) lim
x→1 x−1 x→1 x−1

문제 3.1.8 다음 함수의 x = 2에서의 미분계수를 구하여라.


√ 1
(1) y = x2 − 3 (2) y =
1+x

3
문제 3.1.9 함수 f (x) = x2 은 x = 0에서 연속이지만 미분불가능임을 증명
하여라.

문제 3.1.10 다음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여라.

(1) y = 2x + 3 (2) y = 3x2 + x + 1


3
(3) y = 2
x

문제 3.1.11 f (x)가 미분가능한 함수일 때, 다음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여라.


p
(1) y = ef (x) (2) y = f (x)

문제 3.1.12 곡선 y = 2x3 − 3x + 3 상의 점 (1, 2)에서 접선의 식을 구하여라.

문제 3.1.13 함수 y = x1 그래프 상의 임의의 점 a, a1 에서의 접선과 x, y축이




이루는 삼각형의 면적을 구하여라.

문제 3.1.14 임의의 실수 x, y에 대해서 f (x + y) = f (x)f (y)이고 f 0 (0)이 존


재한다면 f 0 (x) = f 0 (0)f (x)이다.

문제 3.1.15 우함수와 기함수의 도함수는 각각 기함수와 우함수이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