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주제탐구 보고서투우우에
과학 주제탐구 보고서투우우에
과학 주제탐구 보고서투우우에
1222
제64회 전국과학전람회
2018. 6. 29.
목 차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동기 ················································································································· 1
2. 연구 목적 ································································································································ 1
Ⅱ. 이론적 배경
1. 약물 전달 시스템 ··················································································································· 1
2. 생분해성 고분자 ···················································································································· 2
3. 칼슘 알지네이트 ···················································································································· 2
4. 팽윤도 ····································································································································· 3
5. 아세트아미노펜 ······················································································································ 4
Ⅲ. 연구 과제 및 사용 기기
1. 연구 과제 ································································································································ 5
2. 연구 재료 및 기기 ················································································································· 5
Ⅳ. 연구 과정 및 결과
1. 과제 1 ······································································································································ 8
가. 과제 1-1 ········································································································································ 8
나. 과제 1-2 ········································································································································ 11
다. 과제 1-3 ······································································································································· 12
2. 과제 2 ···································································································································· 13
3. 과제 3 ···································································································································· 25
4. 과제 4 ···································································································································· 28
Ⅴ. 결론 및 전망 ············································································································ 30
Ⅵ. 참고문헌 ··················································································································· 31
표 목 차
<표 1> 경화시간이 1분인 경우 pH 2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 14
<표 2> 경화시간이 10분인 경우 pH 2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 1
5
그 림 목 차
[그림 1] 칼슘 이온과 상호 작용하는 알지네이트의 카르복시기 음이온 ······································ 3
[그림 2] 칼슘 알지네이트 ······················································································································ 3
[그림 3] 알긴산 칼슘이 형성되는 가교 반응 ······················································································ 3
[그림 4] 팽윤도 식 (KISTI, 2007) ············································································································ 4
[그림 5] 아세트아미노펜 구조식 ············································································································ 4
[그림 6] 연구에 사용된 약품 ·················································································································· 5
[그림 7] UV-VIS 분광광도계 ··················································································································· 6
[그림 8] HPLC 1 ······································································································································ 6
[그림 9] HPLC 2 ········································································································································ 6
[그림 10] SEM ············································································································································· 7
[그림 11] SEM-EDX ··································································································································· 7
[그림 12] 항온항습기 ································································································································ 7
[그림 13] 항온항습기 ································································································································ 7
[그림 14] 2.5% 비드 표면 (500배) ·········································································································· 9
[그림 15] 3.0% 비드 표면 (500배) ·········································································································· 9
[그림 16] 3.5% 비드 표면 (500배) ·········································································································· 9
[그림 17] 4.0% 비드 표면 (500배) ·········································································································· 9
[그림 18] pH 4 표면 (60배) ····················································································································· 9
[그림 19] pH 7 표면 (60배) ····················································································································· 9
[그림 20] pH 10 표면 (60배) ··················································································································· 9
[그림 21] pH 4 단면 (500배) ··················································································································01
[그림 22] pH 7 단면 (500배) ··················································································································01
[그림 23] pH 10 단면 (500배) ················································································································01
[그림 24] pH 7 비드 표면 원소 분석 ·································································································· 10
[그림 25] 비드 표면 Na+ 함량 ············································································································· 10
[그림 26] 비드 표면 Ca2+ 함량 ············································································································ 10
[그림 27] pH 7 비드 단면 원소 분석 ·································································································· 11
[그림 28] 비드 단면 Na+ 함량 ··············································································································· 11
[그림 29] 비드 단면 Ca2+ 함량 ·············································································································· 11
[그림 30] 주입식 비드 제조 과정 ········································································································· 12
[그림 31] 주입식 비드 ····························································································································· 12
[그림 32] 혼합식 비드 제조과정 ··········································································································· 12
[그림 33] 혼합식 비드 ····························································································································· 12
[그림 34] 외부 환경의 pH가 2일 때의 비드 ···················································································· 13
[그림 35] 외부 환경의 pH가 7일 때의 비드 ······················································································ 13
[그림 36] 변인 별 비드 ··························································································································· 14
[그림 37] 실험 과정 ································································································································· 14
[그림 38] 실험 과정 ································································································································· 14
[그림 39] 경화시간 1분, pH 2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 15
[그림 40] 경화시간 10분, pH 2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 15
[그림 41] 경화시간 60분, pH 2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 16
[그림 42] 경화시간 240분, pH 2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 17
[그림 43] 경화시간 1분, pH 5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 17
[그림 44] 경화시간 10분, pH 5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 18
[그림 45] 경화시간 60분, pH 5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 19
[그림 46] 경화시간 240분, pH 5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 19
[그림 47] 경화시간 1분, pH 7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 20
[그림 48] 경화시간 10분, pH 7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 21
[그림 49] 경화시간 60분, pH 7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 21
[그림 50] 경화시간 240분, pH 7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 22
- 4 -
[그림 51] 경화시간 1분, pH 13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 23
[그림 52] 경화시간 10분, pH 13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 23
[그림 53] 경화시간 60분, pH 13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 24
[그림 54] 경화시간 240분, pH 13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 2
5
[그림 55] 약물 비드 ································································································································· 26
[그림 56] 샘플링 과정 ························································································································· 26
[그림 57] HPLC 화면사진 ······················································································································· 26
[그림 58] 실험에 사용한 검정곡선 ······································································································· 26
[그림 59] 경화시간이 10분인 경우 외부 환경 수용액의 pH에 따른 약물 방출 양상 ·············· 27
[그림 60] 경화시간이 60분인 경우 외부 환경 수용액의 pH에 따른 약물 방출 양상 ·············· 28
[그림 61] 생체 유사 환경에 노출된 시간에 따른 약물 방출량 ····················································· 29
[그림 62] 생체 유사 환경에 노출된 시간에 따른 약물의 누적 방출량 ······································· 29
- 5 -
1. 서론
가. 연구 배경 및 동기
1학년 겨울, 진로체험으로 효소 공학 연구실을 방문하게 되었다. 그곳에서 접한 연구들 중
에는 알지네이트가 효소 운반체로 사용되고 있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1학년을 보내는
동안 주요 연구 과제로 알지네이트를 연구했었기 때문에 유독 관심이 갔다. 진로체험을 마치
고 돌아와 관련 논문들을 찾아 본 결과 최근 알지네이트를 이용한 단백질, 화학, 유전자 약
물 전달체를 개발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과 알지네이트는 주변 pH에 따라 결합
양상이 달라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순간 우리 몸 속 소화 기관의 pH는 위에는 약 pH
2, 장에서는 약 pH 7로 급격하게 변하기 때문에 주변 pH에 따라 결합 양상이 달라지는 알지
네이트의 특징을 잘 활용한다면 약물을 안정적으로 장까지 운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아이디
어가 떠올랐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은 알지네이트와 다른 복합체를 혼합한 복합 약물 전달체
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알지네이트는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다는 것이 과학적
으로 밝혀진 반면 새롭게 개발되는 복합체들은 생체 적합성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알지
네이트 만을 이용한 약물 전달체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변 pH에 따른 알지네이트의 결합 양상 변화를 탐구하고, 그 결과를 적용하여 순수 알지네
이트 경구용 약물 전달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나.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주변 pH에 따라 결합 양상이 달라지는 알지네이트의 특성을 활용하여 알지네
이트만을 사용한 경구용 약물 전달체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이론적 배경
가. 약물 전달 시스템
약물 전달 시스템 (Drug delivery system, DDS)이란 기존 의약품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
능 및 효과를 극대화 시켜 필요한 양의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한 제형
이다. 이 기술은 투여되는 약물이 물리화학적으로나 약동학적으로 특별한 특성(높은 수용성,
높은 지용성, 불용해성 등)을 나타낸다면 그 특성에 맞는 전달 시스템의 사용이 요구된다.
또한 원하는 신체부위에 약물을 전달하거나 적절한 시간에 약물을 방출하는 기술이다. 약물
의 혈중 농도를 적절히 유지시키도록 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약품의 약효
및 안정성 극대화, 생물학적 이용도 증가, 부작용을 최소화하며 필요한 양의 약물을 효율적
으로 신체 부위에 분포시키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박정수, 2008).
- 1 -
1) 경구용 약물 전달체
경구 투여 (Oral administration, peros, PO)는 약물을 내복하는 방법으로써 가장 간편하고
안전하다. 경구로 투여한 약물의 경우 약물이 소장에 빨리 도달할수록, 즉 위 공허시간
(gastricemptying time)이 짧을수록 약물 흡수가 빨라진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약물을 복용
할 때 공복시에 다량의 물(200~250mL)을 함께 섭취해야만 위 공허시간이 짧아지고 약물
흡수가 빨라진다. 경구 투여로 약물을 전달할 경우 위장관(Gastrointesinal tract, GI tract)
을 거치게 되는데, 위장 점막에 손상을 입히는 약물 또는 위산에 의하여 파괴되는 약물은
적당한 물질로 코팅하여 투여해야 한다. 이러한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제형 연구
가 진행 중이다(안나랑, 2014).
2) 서방정
대부분의 경구 약물 전달체는 빠르게 붕해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장기간
지속적으로 약물이 방출 되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제형은 자주 약물을 투여하지 않
아도 되는 장점을 가지며, 지속적으로 약물이 방출되기 때문에 혈중 농도가 적정하게 유
지되도록 돕는다(안나랑, 2014). 이러한 제형을 서서히 방출되는 정제라는 말로 서방정이
라 부른다. 대개 약 이름 뒤에 ER (extended release)이라 적혀있으며, 보통 하루에 두 번
먹는 약을 편리를 위하여 한번만 먹어도 가능하도록 작용 시간을 길게 조절한 약을 말한
다. 서방정의 원리는 소장을 지나며 천천히 분해되게 코팅을 하거나 경화(tempering)하는
등 잘 녹지 않게 만든다(순천향 대학교 대사수술센터 허경열 칼럼).
나. 생분해성 고분자
약물 전달용 물질이 요구하는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생분해성과 및 비독성, 표면적을 지닌
내부 다공성 구조, 구조적 안정성, 세포 흡착 기질의 제공, 낮은 면역 반응성, 혈전 형성 억
제, 친수성, 생체 기능성 등을 들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는 인체 내에서 가수분해나 효소
등에 의해 스스로 분해되는 고분자를 칭하며, 고분자를 얻는 방법에 따라 크게 천연 고분자
와 합성 고분자로 나눌 수 있다. 천연 고분자의 예로는 새우, 게 등의 껍질이나 오징어 뼈에
서 추출되는 나오는 키틴과 키토산 등과 식물 유래의 전분, 셀룰로스, 갈조류에서 얻어지는
알지네이트 등이 있다(노현수, 2017).
- 2 -
하다는 장점을 지닌다(배지연, 2012).
[그림 1] 칼슘 이온과 상호
작용하는 알지네이트의
카르복시기 음이온 [그림 2] 칼슘 알지네이트
라. 팽윤도
팽윤이란 물질이 용매를 흡수하여 부푸는 현상을 말한다. 고분자 물질은 고체 상태에서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고분자 사슬 사이의 상호 작용이 강하지만, 이를 용매 속에 담그면
- 3 -
그 고분자 사슬 사이에 용매 분자가 끼어들어 겔(gel) 모양으로 부풀어 오르고, 이어 용매
분자에 둘러싸인 고분자 사슬이 하나씩 떨어져 용매 속에 분산·용해된다. 만약 고분자 물
질이 그 고분자 사슬 사이의 군데군데에서 결합한 구조(가교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고분
자 사슬끼리 서로 떨어질 수 없으므로 용매 속에서 팽윤은 하지만 용해는 하지 않는다
(KISTI, 2007). 본 연구에서는 알지네이트 비드의 팽윤도를 수치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그림
4]와 같은 팽윤도 식을 사용하였다.
마. 아세트아미노펜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은‘paracetamol’이라고도불리며, N-acetyl-para-aminophenol (APAP, 그림 2)
은 일반 의약품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계열
의 해열, 진통제이며, cyclooxygenase 억제로 인한 prostaglandin 합성 저해를 통해 그 효과
를 나타낸다. 아세트아미노펜은 타이레놀 등 많은 의약품의 주원료로 사용되고 있다(진선
미, 2010).‘국민 진통제’로 불리는 타이레놀은 아세트아미노펜이 주성분이다. 비교적 안
전한 약품으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쉽게 섭취하고 있는 약품이기도 하다. 주성분인 아세
트아미노펜은 하이드록시기(-OH)를 포함하고 있어 친수성이며, 알지네이트와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어 알지네이트 비드 약물 전달체의 지속적인 약물 방출 능력을 확인하기에 적
합할 것이라 생각하여 아세트아미노펜을 본 연구의 모델 약품으로 선정하였다.
.
- 4 -
3. 연구 과제 및 사용 기기
가. 연구 과제
나. 연구 재료 및 기기
1) 실험 재료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제조할 때 Sodium Alginate 분말(DUKSAN사)을 사용하였으며 경화
용액을 제조할 때 CaCl2 분말(Chemical Pure사)을 사용하였다. CaCl2 수용액의 pH와 비드
를 담구어 놓는 수용액의 pH를 조절하기 위해 완충 용액(DUKSAN사, SAMCHUN사)을 사
용하였다.
- 5 -
2) 실험 기기
가) UV-VIS 분광광도계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UV-VIS spectrometer)는 파장의 범위가 약 100~1000nm
에 이르는 자외선-가시광선의 에너지를 이용해서 유기 화합물과 금속 킬레이트와 같
은 분자의 구조를 분석하거나 금속 이온과 비금속 원소의 정량 분석 등에 활용하는
실험 장비이다. 본 실험에서는 알지네이트 비드를 형성시키는 CaCl2 수용액인 경화 용
액의 pH와 알지네이트 비드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CaCl2 수용액에 담궈 놓는 시간인
경화 시간에 따른 물질 방출 양상을 탐구하기 위하여 색소를 포함한 색소 알지네이트
비드를 제작하고 비드에서 색소가 방출되는 정도를 UV-VIS 분광광도계(Cary 60
UV-Vis, Agilent사, 그림 7)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Agilent, 2015).
[그림 9] HPLC 2
[그림 8] HPLC 1
- 6 -
다) 주사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이하 SEM)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농도의 알지네이트 비드를 제작하고 비드의 표면과 단면의
구조를 SEM(JP/S-3400N, Hitachi, 그림 10, 11)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SEM-EDX 기능을
활용하여 비드 표면의 이온 수를 측정함으로써 칼슘 알지네이트 형성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라) 항온항습기
항온이란 ‘일정 온도’라는 의미이고 항습이란 ‘일정 습도’ 라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항온항습이란‘일정 공간의 내부를 일정한 온도와 습도로 유지하는 것’이다. 항온항습
실험장비란 어떤 일정한 기간 동안 정해진 온도, 습도 조건을 정해진 정밀도 내로
유지하여 실험 관찰하기 위해 제작된 장비를 일컫는다(김형순, 2012). 본 연구에서는 생체
유사 환경에서 알지네이트 비드 약물 전달체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 과정에서
항온항습기(TH-PE-100, Jeio tech, 그림 12, 13)를 사용하였다.
4. 연구 과정 및 결과
알지네이트 비드의 물질 방출 양상을 탐구하기 전에 약물 전달체로 적합한 알지네이트 비드
의 형태에 대해서 먼저 탐구하고, 탐구 결과에 따라 제조한 알지네이트 비드에 약물을 포함시
키는 방법에 대해 탐구하였다(과제 1). 이어서 약물을 포함한 알지네이트 비드의 제작 전에 다
양한 제조 조건에서 색소를 포함한 알지네이트 비드를 제조하여 알지네이트 비드에서 색소가
방출되는 양상을 탐구함으로써 알지네이트 비드의 제조 방법과 알지네이트 비드의 색소 방출
- 7 -
양상 사이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과제 2). 그리고 본격적으로 아세트아미노펜이라는 약물
을 포함한 약물 알지네이트 비드를 제조하고 비드의 약물 방출 특성에 대해 탐구하였다(과제
3). 마지막으로 생체 유사 환경에서 알지네이트 비드 약물 전달체의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과
제 4). 각각의 연구 과제의 과정과 결과를 다음과 같다.
- 8 -
[그림 14] 2.5% 비드 표면 (500배) [그림 15] 3.0% 비드 표면 (500배)
- 9 -
[그림 21] pH 4 단면 (500배) [그림 22] pH 7 단면 (500배) [그림 23] pH 10 단면 (500배)
- 10 -
[그림 28] 비드 단면 Na+ [그림 29] 비드 단면
[그림 27] pH 7 비드 단면 원소 분석 함량 Ca2+ 함량
- 11 -
다. 알지네이트 비드 제조 결과 비교
주입식과 혼합식으로 알지네이트 비드를 제조해 본 결과 약물 주입식의 경우에는 알지
네이트 비드를 먼저 제조한 후 비드 내부에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주사기로 제거하고 다시 약물을 주입한다. 이때 경화되지 않은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비드
내부에서 완벽히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제조된 모든 비드에 포함된 약물의 양이 일정하
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비드를 제조할 때 약물의 손실이 많았다. 따라서 이 방법은
약물 전달체 개발 방법으로 사용하기에 무리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혼합식으로 비
드를 제조한 경우에는 일정한 양의 약물을 포함하면서 크기도 일정한 비드를 제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약물 혼합식 알지네이트 비드로 약물 전달체를 개발하기로
하였다.
[그림 30] 주입식 비드 제조 [그림 31] 주입식 [그림 32] 혼합식 비드 제조 [그림 33] 혼합식
과정 비드 과정 비드
가. 소듐 알지네이트 비드 제작
1) 2.5% 소듐 알지네이트 50ml 수용액을 제조한다.
2) 3.0% CaCl2 수용액 30ml를 제조한다.
3) 3.0% CaCl2 수용액에 2.5% 소듐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떨어뜨려 비드를 제조한다.
4) 소듐 알지네이트 비드를 pH 2와 pH 7 수용액에 투하한 후 24시간 후 꺼내어 팽윤
도를 측정한다.
- 12 -
나. 외부 환경의 pH에 따른 비드의 팽윤도 측정 결과
팽윤도 식에 의해 pH에 따른 알지네이트 비드의 팽윤도를 측정한 결과 pH 2에서는 팽
윤도가 –78.07로 비드가 축소되었고 pH 7에서는 팽윤도가 110.04로 비드가 팽윤되었다.
이를 통하여 pH 7에서는 비드가 팽윤하고 pH 2에서는 수축하는 것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 13 -
2) 외부 환경 수용액의 pH에 따른 색소비드의 색소 방출 특성 탐구
가) 과정 1)을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 제조한 색소비드를 같은 양을 취하여 pH가 2,
5, 7, 13인 외부 환경 수용액 40ml에 넣는다.
나) pH가 각기 다른 외부 환경 수용액에 색소비드를 넣은 후 10분, 30분, 90분, 180
분이 되면 외부 환경 수용액을 4ml 씩 취한다.
다) UV-VIS 분광기로 과정 나)에서 취한 수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방출된 색소
의 양을 측정한다.
가) 경화시간이 1분인 경우
<표 1>과 [그림 39]에서 볼 수 있듯이 경화시간이 1분인 경우 pH 2 환경 노출 시
간이 30분일 때 경화용액의 pH가 1이면 흡광도가 0.0727, 4이면 0.0802, 7이면
0.0750, 10이면 0.0717로 물질 방출 정도가 거의 비슷하였다. 이를 통해 경화시간이
1분인 경우에는 경화용액의 pH가 물질 방출량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H 2 환경 노출 시간(분)
10 30 90 180
경화용액의 pH
1 0.0071 0.0727 0.0932 0.1723
4 0.0097 0.0802 0.0930 0.1048
7 0.0145 0.0750 0.1217 0.1450
10 0.0000 0.0717 0.0629 0.1003
(5회 평균)
- 14 -
[그림 39] 경화시간 1분, pH 2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나) 경화시간이 10분인 경우
<표 2>와 [그림 40]에서 볼 수 있듯이 경화시간이 10분인 경우 pH 2 환경 노출
시간이 30분일 때 경화용액의 pH가 1이면 흡광도가 0.0365, 4이면 0.0760 7이면
0.0343, 10이면 0.0737로 색소 방출 정도가 pH 1과 pH 7에서 pH 4와 pH 10과 비해
매우 적었다. 이를 통해 경화시간이 10분인 경우에는 경화용액의 pH가 색소 방출
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회 평균)
다) 경화시간이 60분인 경우
<표 3>과 [그림 41]에서 볼 수 있듯이 경화시간이 60분인 경우 pH 2 환경 노출
시간이 30분일 때 경화용액의 pH가 1이면 흡광도가 0.0064, 4이면 0.0131, 7이면
- 15 -
0.0074, 10이면 0.0178로 색소 방출 정도가 pH 1과 pH 7에서 매우 적었다. 하지만
노출시간이 180분인 경우 pH가 1이면 흡광도가 0.1956, 4이면 0.1354, 7이면
0.1697, 10이면 0.1131로 앞서 pH 2 환경 노출 시간이 30분일 때와 달리 색소 방출
정도가 pH 1과 pH 7에서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회 평균)
라) 경화시간이 240분인 경우
<표 4>와 [그림 42]에서 볼 수 있듯이 경화시간이 240분인 경우 pH 2 환경 노출
시간이 180분일 때 경화용액의 pH가 1이면 흡광도가 0.0371, 4이면 0.0519, 7이면
0.0642, 10이면 0.0398로 색소 방출 정도가 앞선 <표 2>와 [그림 40]에서 방출된 양
에 비해 매우 적었다. 이를 통해 경화시간이 240분인 경우 경화용액의 pH와 무관
하게 색소 방출이 거의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회 평균)
- 16 -
[그림 42] 경화시간 240분, pH 2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5회 평균)
나) 경화시간이 10분인 경우
<표 6>와 [그림 44]에서 볼 수 있듯이 경화시간이 10분인 경우 pH 5 환경 노출
- 17 -
시간이 180분일 때 경화용액의 pH가 1이면 흡광도가 0.2144, 4이면 0.1127, 7이면
0.2442, 10이면 0.1977로 색소 방출 정도가 앞서 경화시간이 10분인 비드를 pH 2
환경에 노출 시켰던 <표 2>, [그림 40]에 비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H 1과 pH 7의 방출량이 pH 4와 pH 10에 비해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5회 평균)
다) 경화시간이 60분인 경우
<표 7>와 [그림 45]에서 볼 수 있듯이 경화시간이 60분인 경우 pH 5 환경 노출
시간이 90분일 때 경화용액의 pH가 1이면 흡광도가 0.0396, 4이면 0.0144, 7이면
0.0188, 10이면 0.0305로 색소 방출 정도가 매우 적었다. 하지만 pH 5 환경 노출 시
간이 180분일 때 경화용액의 pH가 1이면 흡광도가 0.1281, 4이면 0.1818, 7이면
0.1664, 10이면 0.2198로 색소 방출 정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경화시간
이 60분인 경우에는 색소비드의 색소 방출이 pH 5 환경 노출시간이 90분이 지난
후부터 활성화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회 평균)
- 18 -
[그림 45] 경화시간 60분, pH 5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다) 경화시간이 240분인 경우
<표 8>와 [그림 46]에서 볼 수 있듯이 경화시간이 240분인 경우 pH 5 환경 노출
시간이 180분일 때 경화용액의 pH가 1이면 흡광도가 0.0814, 4이면 0.0433, 7이면
0.0307, 10이면 0.0560으로 색소 방출 정도가 다른 경화시간의 결과인 [그림 43],
[그림 44], [그림 45]에 비해 매우 적었다. pH 2 환경에 노출 시켰을 때와 마찬가지
로 경화용액의 pH와 외부 환경 pH에 무관하게 경화시간이 240분일 때 가장 적은
양의 색소가 방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회 평균)
가) 경화시간이 1분인 경우
<표 9>와 [그림 47]에서 볼 수 있듯이 경화시간이 1분인 경우 소장의 환경과 가장
- 19 -
유사할 것이라 예측되는 pH 7 환경 노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경화용액의 pH가
7인 경우의 흡광도 또한 10분에서 0.0023, 30분에서 0.0225, 90분에서 0.1530, 180분
에서 02678로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경화시간이 1분인 경우 pH 7이 가장 많은 양
의 색소를 지속적으로 방출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회 평균)
나) 경화시간이 10분인 경우
<표 10>과 [그림 48]에서 볼 수 있듯이 경화시간이 10분인 경우 pH 7에서 노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화용액의 pH가 7인 경우 흡광도 또한 10분에서 0.0090, 30분
에서 0.0119, 60분에서 0.0939, 180분에서 0.3125로 증가하였다. 앞선 [그림 44]의 분
석 결과와 같이 pH 7에서 가장 많은 양의 색소가 지속적으로 방출 되었다. pH 7에
서 노출 시간이 180분이 지난 경우의 흡광도를 비교해보았을 때 경화시간 1분
(0.2678)보다 경화시간 10분(0.3125)이 높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에 따라 경화
시간 10분에서 방출된 색소의 양이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회 평균)
- 20 -
[그림 48] 경화시간 10분, pH 7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다) 경화시간이 60분인 경우
<표 11>과 [그림 49]에서 볼 수 있듯이 경화시간이 60분인 경우 pH 7 환경 노출
시간이 90분일 때보다 180분일 때 흡광도가 낮음을 관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경
화시간이 60분인 경우 노출 시간이 90분이 지난 이후 경화용액의 pH가 색소 방출
량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회 평균)
라) 경화시간이 240분인 경우
<표 12>와 [그림 50]에서 볼 수 있듯이 경화시간이 240분인 경우 pH 7 환경 노출
시간이 180분일 때 경화용액의 pH가 1이면 흡광도가 0.0369, 4이면 0.0588, 7이면
0.0961, 10이면 0.1100으로 색소 방출 정도가 다른 경화시간 [그림 47], [그림 48],
- 21 -
[그림 49]와 비교하여 적었음을 관찰할 수 있다. pH 2와 pH 5 환경에 노출 시켰을
경우와 같은 결과로 pH 7 환경에서도 경화시간이 240분일 때 가장 적은 양의 색소
가 방출되었다.
(5회 평균)
가) 경화시간이 1분인 경우
<표 13>과 [그림 51]에서 볼 수 있듯이 경화시간이 1분인 경우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특정 패턴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앞선 pH 2, pH 5, pH 7 환경에서의 색소 방
출 정도보다 현저히 적은양의 색소가 방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5회 평균)
- 22 -
[그림 51] 경화시간 1분, pH 13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나) 경화시간이 10분인 경우
<표 14>과 [그림 52]에서 볼 수 있듯이 경화시간이 10분인 경우 경화시간이 1분일
때와 같은 결과와 마찬가지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특정 패턴이 관찰되지 않았으
며 앞선 pH 2, pH 5, pH 7 환경에서의 색소 방출 정도보다 현저히 적은양의 색소
가 방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5회 평균)
다) 경화시간이 60분인 경우
<표 15>과 [그림 53]에서 볼 수 있듯이 경화시간이 60분인 경우 경화용액의 pH에
따라 색소 방출 양상이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또한 색소 방출량이 pH 2, pH 5,
pH 7과 비교하여 매우 적었다는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 23 -
<표 15> 경화시간이 60분인 경우 pH 13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pH 13 환경 노출 시간(분)
10 30 90 180
경화용액의 pH
1 0.0126 0.0133 0.0369 0.0437
4 0.0048 0.0066 0.0123 0.0436
7 0.0130 0.0131 0.0269 0.0430
10 0.0005 0.0037 0.0135 0.0461
(5회 평균)
라) 경화시간이 240분인 경우
<표 16>과 [그림 54]에서 볼 수 있듯이 경화시간이 240분 경우에도 앞선 경화시간
에 대한 결과인 [그림 51], [그림 52], [그림 53]과 같이 pH 2, pH 5, pH 7과 비교하
여 매우 적은 양의 색소가 방출되었다. 경화시간이 240분인 경우에도 알지네이트
비드의 색소 방출 정도가 경화용액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H 13 환경 노출 시간(분)
10 30 90 180
경화용액의 pH
1 0.0080 0.0260 0.0378 0.0512
4 0.0027 0.0030 0.0032 0.0286
7 0.0015 0.0171 0.0380 0.0510
10 0.0065 0.0113 0.0231 0.0459
(5회 평균)
- 24 -
[그림 54] 경화시간 240분, pH 13 환경에서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양상
과제 3 알지네이트 약물비드의 약물 방출 특성 탐구
가. 알지네이트 약물비드의 약물 방출 특성 탐구 과정
1) 아세트아미노펜을 이용한 경화시간 별 알지네이트 비드의 제작
가) 2.5% 소듐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제조한다.
나) 소듐 알지네이트 수용액에 아세트아미노펜 0.2g을 혼합한다.
다) 3.0% CaCl2 수용액 30ml를 제조한다.
라) 과제 2의 결과에서 CaCl2 수용액의 pH 7, 비드 형성 시간인 경화시간은 10분과
60분일 때 색소비드가 약물 전달체로써 가장 이상적인 특성을 나타내었으므로
과제 3에서는 경화시간을 10분, 60분으로 하여 약물비드를 제조한다.
- 25 -
2) 외부 환경 수용액의 pH에 따른 약물비드의 약물 방출 특성
가) 1)에서 제조한 경화시간이 다른 2종류의 약물비드를 0.5g 취하여 pH가 2, 7, 8,
9인 외부 환경 수용액에 넣는다.
나) pH가 각기 다른 외부 환경 수용액에 약물비드를 10분, 30분, 90분씩 노출시킨
후 외부 환경 수용액을 0.5ml 씩 취한다.
다) HPLC로 과정 (2)에서 취한 수용액에 포함된 아세트아미노펜의 양을 정량 분석
한다. 전개용매는 메탄올 : 물 = 1 : 3, 유속은 1.3ml/min, 컬럼은 C18
4.6X250mm 5-Micron을 이용하였다.
나. 알지네이트 약물비드의 약물 방출 특성 분석 결과
1) HPLC 분석을 위한 검정 곡선 작성
[그림 58]과 같이 모델 약품인 아세트아미노펜의 농도를 2ppm, 5ppm, 10ppm,
20ppm, 50ppm, 100ppm, 200ppm, 400ppm으로 한 표준 용액을 제조하여 검정 곡선을
작성하였다.
2) 경화시간이 10분인 경우
경화시간이 10분인 경우 <표 17>과 [그림 59]에서 볼 수 있듯이 노출 시간이 30분일
때 외부환경의 pH 7이면 농도가 105.38㎍/㎖, 2이면 85.99㎍/㎖, 8이면 89.35㎍/㎖, 9이
면 82.99㎍/㎖로 약물 방출량이 소장의 환경과 가장 유사할 것으로 예측되는 pH 7에
서 가장 많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외부 환경 노출 시간이 30분일 때까지 약
물 방출량이 증가하였지만 30분에서의 방출량이 90분에서의 방출량보다 많은 것은
- 26 -
소듐 알지네이트 비드가 확산의 원리로 약물을 방출하는 과정에서 비드 내의 약물의
농도가 감소하여 약물이 다시 비드 내부로 확산되어 들어오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
다.
<표 17> 경화시간 10분인 경우 외부 환경의 pH에 따른 약물의 누적 방출량
외부 환경 노출 시간(분)
10 30 90
외부 환경의 pH
2 66.02 85.99 84.38
7 80.58 105.38 90.46
8 72.01 89.35 71.63
9 56.60 82.99 79.64
(3회 평균)
3) 경화시간이 60분인 경우
경화시간이 60분인 경우 <표 18>과 [그림 60]에서 볼 수 있듯이 노출 시간이 30분일
때 외부환경의 pH 7이면 농도가 110.2㎍/㎖, 2이면 93.86㎍/㎖, 8이면 78.67㎍/㎖, 9이면
78.03㎍/㎖로 약물 방출량이 소장의 환경과 가장 유사할 것으로 예측되는 pH 7에서
가장 많았고 대장의 환경인 pH 8과 십이지장의 환경인 pH 9에서는 방출량이 가장
적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H 7, pH 8, pH9 인 외부 환경 노출 시간이 30분
일 때까지 약물 방출량이 증가하였지만 30분에서의 방출량이 90분에서의 방출량보다
많은 것으로 보아 외부 환경 노출 시간이 30분일 때부터 90분까지 약물 방출량이 감
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pH 2 인 외부 환경에서는 90분까지 계속 방
출되었다.
<표 18> 경화시간 60분인 경우 외부 환경의 pH에 따른 약물의 누적 방출량
외부 환경 노출 시간(분)
10 30 90
외부 환경의 pH
2 71.67 93.86 98.2
7 79.23 110.2 82.9
8 60.43 78.67 77.2
9 62.43 78.03 81.03
(3회 평균)
- 27 -
[그림 60] 경화시간이 60분인 경우 외부 환경 수용액의 pH에 따른
약물 방출 양상
2) 인공위액과 인공장액의 제조
가) 2M HCl에 NaCl 1g을 혼합하여 500ml의 pH1.7의 인공 위액을 제조한다.
나) KH2PO4 0.5M 250ml에 NaOH 0.4N 140ml와 증류수를 넣어 1L, pH 6.8의 인공장
액을 제조한다.
- 28 -
마) 과정 라)를 360분간 총 12회 반복한다.
사) HPLC로 과정 나) ~ 라)에서 취한 수용액에 포함된 아세트아미노펜의 양을 정
량 분석한다. 전개용매는 메탄올:물=1:3, 유속은 1.3ml/min, 컬럼은 C18
4.6X250mm 5-Micron을 이용하였다.
(3회 평균)
[그림 61] 생체 유사 환경에 노출된 시간에 따른 [그림 62] 생체 유사 환경에 노출된 시간에 따른
약물 방출량 약물의 누적 방출량
- 29 -
5. 결론 및 전망
본 연구에서 알지네이트 비드의 제작과 약물 전달체로써의 활용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결
론은 다음과 같다.
가. 알지네이트 수용액의 농도가 2.5%일 때 비드의 표면적과 다공성 차원에서 약물 전달체로
가장 적합한 형태를 나타냈다.
나. 알지네이트 비드 약물 전달체에 약물을 주입하는 방식은 비드 내부에 포함되는 약물의
양이 일정하지 않았으며 제조 시 약물의 손실이 컸으므로 약물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약물의 손실이 상대적으로 적은 혼합식이 약물 전달체에 적합할 것이라는 결론
을 얻었다.
다. 알지네이트 비드는 산성 환경(pH 2)에서 팽윤도가 (-) 값으로 수축하고, 중성 환경(pH 7)
에서 팽윤도가 최대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라. 경화용액의 pH에 따른 색소 방출 정도는 경화시간과 외부 환경 pH에 따라서 다소 차이
가 있긴 했지만 대체적으로 pH 7 환경에서 제조 되었을 때 방출 정도가 가장 컸다.
마. 경화시간에 따른 색소 방출 정도는 경화용액의 pH와 외부 환경 pH에 무관하게 경화시간
이 길수록 적어짐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경화시간이 길어질수록 알지네이
트 간의 가교결합이 증가함에 따라 안정한 구조를 가지게 되고, 이는 비드의 다공성과
내부 표면적을 감소시키기 때문으로 예상된다. 경화시간이 가장 짧았던 1분의 경우에는
비드의 강도가 매우 약해 약물 전달체에 부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려 경화시간이 10분일
때 가장 효율적일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바. 약물 전달체는 약물이 지속적으로 방출되어야 하므로 경화용액의 pH 7, 경화시간은 10분
으로 하였을 때 가장 효율적일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사. 색소비드와 약물비드가 담긴 완충용액으로부터 시간별로 채취한 샘플을 UV-VIS 분광광도
계와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해 본 결과 공통적으로 약물의 방출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통해서 효과적인 약물 전달체의 구현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아. 생체 유사 환경에서 경화시간 10분, 경화용액의 pH 7로 제작한 알지네이트 비드 약물 전
달체의 효과를 관찰한 결과, 위액보다 장액에서 약물이 8배 이상 방출되었다는 것을 확인
하였고 이를 통해 약물이 지속적으로 방출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자.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연질 캡슐과 같은 경구용 약물 전달체는
위의 pH에 의해 분해되어 버려 소장으로 도달하는 약물의 양을 감소시키고 결국 우리 몸
속으로 흡수되는 약물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하지만 알지네이트 비드는 주변 환경의 pH
에 따라 자연적으로 수축과 팽윤을 통해 확산의 원리를 따라 약물을 방출하게 된다. 그렇
기 때문에 알지네이트 비드 약물 전달체를 사용한다면 위에서는 수축, 소장에서는 팽윤하
므로 기존의 경구용 약물 전달체보다 소장으로 도달하는 약물의 양이 증가 할 것이며, 결
과적으로 몸 속으로 흡수되는 약물의 양이 증가하게 될 것이다.
- 30 -
차.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알지네이트 비드 약물 전달체는 약물 방출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기 때
문에 약물을 지속적으로 요하는 질병의 치료제를 전달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알지네이트
비드는 분자 요리로도 사용되는 물질이기 때문에 약물을 거부하는 어린 아이들도 약물에
대한 거부감 없이 약물을 섭취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시판되고 있는 경구용 약물들은
한 알 당 약의 함유량이 결정되어 있으며 외부 코팅 등의 이유로 인해 섭취 할 약물의 양
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없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알지네이트 약물 전달체는
비드 내부에 포함된 약물의 양이 일정하며 작은 알갱이의 형태로 구성되어있어 약품을 섭
취하는 사람에 따라 필요한 약물의 양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카. 알지네이트 비드는 인공장액 노출 시간이 240분이 되었을 때 분해되기 시작하였다. 따라
서 후속 연구로 약물의 지속시간을 늘리기 위하여 경화 횟수를 조작 변인으로 하여 약물
전달체의 분해 시간을 조절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31 -
참 고 문 헌
- 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