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렬 그래프
행렬 그래프
단원 : 행렬 (그래프)
1. 1) 아래 그래프에서 꼭지점 A 에서 꼭지점 C 로 가는 경로 중 4. 4) 같은 그래프로 짝지어진 것은?
변의 수가 인 경로의 개수는? (단, 경로는 같은 변을 반복할 [3점][2005년 6월]
수 있다.)
①
[3점][2004년 6월]
③
① ② ③ ④ ⑤
④
2. 2) 미술 시간에 구성 작품을 만들기 위해 도화지 위에 다음과 같
은 그림을 그렸다. 구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인접한 구역을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할 때 필요한 색의 최소 수는?
[3점][2004년 9월]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1 16
2 수 리 영 역 행렬-그래프
━━━━━━━━━━━━━━━━━━━━━━━━━━━━━━━━━━━━━━━━━━━━━━━━━━━━━━━━━━
다. 각 서류를 꼭지점으로 나타내고, 같은 봉
6. 다음 그래프 중 행렬 을 인접행렬로 가질 수 있
투에 담아서는 안 되는 서류끼리 변으로 연
결하면 오른쪽 그래프와 같다.
는 것의 개수는? 6)
이 때, 필요한 서류봉투의 최소 개수는? 8)
[3점][2006학년도 수능]
[ 보 기 ]
D
① ②
A C
B ③ ④
⑤
[4점][2005년 9월]
(단위:억원)
A B C D
A 0 8 10 12
B 8 0 8 9
C 10 8 0 14
D 12 9 14 0
14 16
행렬-그래프
수 리 영 역 3
━━━━━━━━━━━━━━━━━━━━━━━━━━━━━━━━━━━━━━━━━━━━━━━━━━━━━━━━━━
[3점][2007학년도 수능]
① ② ③ ④ ⑤
[3점][2006년 9월]
<보 기>
ㄱ. 변의 개수는 이다.
13. 꼭지점의 차수가 인 그래프는? 13 )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③ ④
그래프 G 에 대한 <보기>의 설명에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1)
[4점][2007학년도 수능]
[ 보 기 ]
ㄱ. 차수가 인 꼭지점은 개이다.
ㄴ. 해밀턴회로를 갖는다.
ㄷ. 서로 다른 두 꼭지점을 잇는 개의 변으로 이루어진 경로 14. 개의 각 나라 사이에 직항로를 개설하기로 하였다. 어느
① ㄱ ② ㄷ ③ ㄱ, ㄴ [3점][2007년 10월]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② ③ ④ ⑤
14 16
4 수 리 영 역 행렬-그래프
━━━━━━━━━━━━━━━━━━━━━━━━━━━━━━━━━━━━━━━━━━━━━━━━━━━━━━━━━━
(단위: km )
[3점][2008년 10월]
A B C D E F
A < 보 기 >
B ㄱ. ㄴ. ㄷ.
C
D
E
F
[3점][2007년 10월]
① ② ③ ④ ⑤
[3점][2007년 10월]
F
③ ④
B
E
C
A D
⑤
① A→B→C→D→E→F ② A→B→E→C→D→F
③ A→C→D →E→B→F ④ A→C→B→E→D→F
⑤ A→D →C→E→B→F
14 16
행렬-그래프
수 리 영 역 5
━━━━━━━━━━━━━━━━━━━━━━━━━━━━━━━━━━━━━━━━━━━━━━━━━━━━━━━━━━
19. 그래프의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행렬로 나타낼 때, 그 22. 연결 관계가 다음 행렬로 나타내어지는 그래프의 변의 개수
행렬의 모든 성분의 합은? 19) 는? 22)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ABCDE B
C
A
E D
B B
E
C
F
D
E 이 그래프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C D 것은? 23)
① ② ③ 로 가는 경로가 존재한다.
④ ⑤
[4점][2011년 10월]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가 짝수일 때
가 홀수일 때
( , )
[3점][2012년 3월]
① ② ③ ④ ⑤
5 12
6 수 리 영 역 행렬-그래프
━━━━━━━━━━━━━━━━━━━━━━━━━━━━━━━━━━━━━━━━━━━━━━━━━━━━━━━━━━
25. 다음 그래프의 각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 28. 28) 다음 그래프에서 각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
의 성분 중 의 개수는? 2 5) 렬의 모든 성분의 합을 구하시오.
[3점][2012년 6월] [3점][2012년 10월]
① ② ③ ④ ⑤
이때, 그래프 의 모든 변의 개수는?
[ 점][2012년 7월]
각 지점을 꼭짓점으로 하고 두 지점을 잇는 도로를 변으로 하는
그래프에 대하여, 각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
① ② ③ ④ ⑤ 의 모든 성분의 합은?
[3점][2012년 5월]
① ② ③ ④ ⑤
[3점][2012년 9월]
[3점][2013학년도 수능]
① ② ③ ④ ⑤
6 12
행렬-그래프
수 리 영 역 7
━━━━━━━━━━━━━━━━━━━━━━━━━━━━━━━━━━━━━━━━━━━━━━━━━━━━━━━━━━
31. 31) 다음 그래프의 각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 34. 34) 다음 그래프의 각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
의 성분 중 의 개수를 , 의 개수를 이라 할 때, 의 의 모든 성분의 합을 구하시오.
값은? [ 점][2013년 7월]
[3점][2013년 3월]
① ② ③ ④ ⑤
[3점][2013년 3월]
① AD ② AE ③ BC
④ BE ⑤ CD
에서 행의 모든 성분의 합이 인 행의 개수는?
[3점][2013년 10월]
[3점][2013년 6월]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7 12
8 수 리 영 역 행렬-그래프
━━━━━━━━━━━━━━━━━━━━━━━━━━━━━━━━━━━━━━━━━━━━━━━━━━━━━━━━━━
37. 37) 그래프와 그 그래프의 각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 40. 40) 다음 그래프의 각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
는 행렬이 다음과 같을 때, 의 값은? 의 성분 중 의 개수는?
[3점][2014학년도 수능] [3점][2014년 4월]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3점][2014년 3월]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8 12
행렬-그래프
수 리 영 역 9
━━━━━━━━━━━━━━━━━━━━━━━━━━━━━━━━━━━━━━━━━━━━━━━━━━━━━━━━━━
43. 43) 다음 그래프의 각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 46. 46) 다음 그래프의 각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
의 모든 성분의 합은? 의 성분 중 의 개수는?
[3점][2014년 9월] [3점][2015년 3월]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47)
44. 44) 그래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이
일 때, 의 모든 성분의 합을 구하시오.
[3점][2015년 3월]
의 값은?
[2점][2014년 10월]
① ② ③ ④ ⑤
45. 45) 다음 그래프의 각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 48. 48) 다음 그래프의 각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
의 성분 중 의 개수는? 의 성분 중 의 개수는?
[3점][2015학년도 수능] [3점][2015년 4월]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9 12
10 수 리 영 역 행렬-그래프
━━━━━━━━━━━━━━━━━━━━━━━━━━━━━━━━━━━━━━━━━━━━━━━━━━━━━━━━━━
49. 다음 그래프의 각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 52. 52) 다음 그래프의 각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
에서 행의 모든 성분의 합이 3인 행의 개수는? 49)
에서 행의 모든 성분의 합이 인 행의 개수는?
[3점][2015년 6월] [3점][2015년 10월]
① 1 ② 2 ③ 3 ④ 4 ⑤ 5
① ② ③ ④ ⑤
[3점][2015년 9월]
① ② ③ ④ ⑤
10 12
행렬-그래프
수 리 영 역 11
━━━━━━━━━━━━━━━━━━━━━━━━━━━━━━━━━━━━━━━━━━━━━━━━━━━━━━━━━━
[해설] 행렬 (그래프)
7) 19
1) ③ 네 지역 A, B, C, D을 꼭지점으로 하고, 지역을 연결하는 각 다리를 변으로
변의 수가 3인 경로는 생각하여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ABAC, ABDC, ACAC, ACBC, ACDC, ADAC, ADBC의 7개이다.
A D
2) ①
주어진 그림의 구역에 꼭지점을 잡고 인접한 구역의 꼭지점에 변을 이은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B C
모든 변(다리)를 한 번씩만 지나 출발점으로 돌아오는 오일러회로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각 꼭지점의 차수가 짝수가 되어야 한다. 이 때, 각
꼭지점의 차수가 모두 홀수이므로 두 꼭지점씩 짝을 지어 연결하는 두 개의
변(다리)을 추가해야 한다.
따라서 두 개의 변을 추가하는 방법은 3가지이고, 그 때 소요되는 비용은
따라서, 위의 그래프의 꼭지점에 색(□)을 칠하고, 인접한 구역의 꼭지점에 각각 다음과 같다.
다른 색(○)을 칠하는 것을 반복하면 필요한 색의 최소의 수는 2(□, AB, CD →
○)개이다. AC, BD →
AD, BC →
3) ②
따라서 필요한 최소비용은 (억원)이다.
[출제의도] 수형도의 성질을 이해할 수 있는가를 묻는 문제이다.
꼭지점의 개수가 개이므로 , 차수의 합은 변의 개수의 배이므로 8) ①
이므로
4) ①
꼭지점의 수, 변의 수가 서로 같고 연결 상태가 서로 같은 그래프를 찾는다
그림과 같이 주어진 그래프를 적절하게 색칠하는 데 필요한 최소의 색의
5) ③ 수는 가지이다.
A D
9) ①
B C 주어진 그래프의 꼭지점을 적절하게 색칠하는 최소의 색의 수는 가지이다.
이 때, 보기의 그래프의 꼭지점을 적절하게 색칠하는 최소의 색의 수는
각각 다음과 같다.
E ① : 가지
H
② : 가지
F G ③ : 가지
꼭지점 A에서 출발하여 처음에 꼭지점 B로 가는 해밀턴의 회로를 구하면 ④ : 가지
ABCDHGFEA, ABCGFEHDA, ABFEHGCDA, ABFGCDHEA
⑤ : 가지
4 가지이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꼭지점 A에서 출발하여 꼭지점 E, D로 가는 해밀턴의 10) ⑤
회로도 각각 4 가지이므로 구하는 해밀턴 회로의 개수는 주어진 인접행렬을 이용하여 5개의 꼭지점을 연결한 그래프를 그리면
(개) 다음과 같다.
6) ④ •
주어진 인접행렬의 행과 열을 각각 라 하고 성분이 일 때
해당하는 행과 열의 꼭지점을 변으로 연결하면 다음과 같다.
• •
• •
ㄱ. 변의 개수는 의 8개이다. (참)
ㄴ. 각 꼭지점의 차수는 , , , ,
이므로 차수가 3차인 꼭지점은 의 4개이다. (참)
ㄷ. 꼭지점 에서 꼭지점 를 잇는 두 개의 변으로 이루어진 경로는
이 그래프의 꼭지점의 위치를 바꾸고 변의 길이를 조정하면 다음 그래프와
의 2개이다. (참)
같아진다.
따라서 보기 중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11) ⑤
A 의 대각선에 있는 수는 그래프 각 꼭지점에 있는 차수와 같다. 꼭지점을
순서대로 라 하면 각 꼭지점의 차수는
따라서 구하는 그래프의 개수는 개다. 이므로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11 12
12 수 리 영 역 행렬-그래프
━━━━━━━━━━━━━━━━━━━━━━━━━━━━━━━━━━━━━━━━━━━━━━━━━━━━━━━━━━
18) ③
통로를 변이라 생각하고, 모든 통로를 지나서 다시 S에 도착하려면
오일러회로가 존재해야 한다.
따라서, 모든 꼭짓점의 차수가 짝수인 것을 찾으면 ③이다.
19) ①
ㄱ. 차수가 인 꼭지점은 로 개 있다. ∴ 참 그래프의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행렬로 나타내었을 때, 행렬의 모든
ㄴ. 등의 해밀턴 회로를 갖는다. ∴ 참 성분의 합은 그래프의 변의 개수의 배이다. 주어진 그래프의 변의 개수가
ㄷ. A 의 모든 성분이 이상이므로 경로도 개 이상이다. ∴ 참 이므로 성분의 합은 이다.
[다른 풀이]
12) ③ 구하는 행렬은
각 숫자에 대하여 약수 또는 배수관계에 있는 수를 나열하면
이므로 모든 성분의 합은 이다.
20) ④
주어진 그래프를 행렬로 나타내면
ABCDE
따라서, 차수가 인 꼭지점은 의 개이다. A
B
13) ④ C
꼭지점에서 변이 3개, 2개, 2개, 1개 연결된 그래프를 찾는다. D
E
이므로 , 이고 꼭짓점 C 에서 다른 한 꼭짓점을 지나 다시
14) ③
꼭짓점 C 로 돌아오는 방법은 CAC , CBC , CDC , CEC 이므로 이다.
개의 나라가 다른 모든 나라와 직항로를 개설하므로 각 나라를
따라서
꼭지점으로 하고 직항로를 개설한 두 나라에 해당하는 꼭지점을 변으로
연결한 그래프를 생각하면 꼭지점의 개수가 인 완전그래프가 된다. 어느 21) ②
한 나라에 개설된 직항로의 개수는 완전그래프의 한 꼭지점의 차수와
1
같으므로 ∴ . 개의 나라 사이의 모든 직항로의
5
․
개수는 완전그래프의 변의 개수와 같으므로
∴
2 3
15) ④ 4
A 주어진 그래프의 꼭지점에 번호를 위와 같이 부여하고, 각 꼭지점에서 다른
꼭지점으로의 연결관계를 확인해 행렬을 만들면,
E B
F C
D 이 된다.
각 기지국을 꼭지점으로 하고 두 기지국 사이의 거리가 km 이내인 두
기지국을 나타내는 꼭지점끼리 변으로 연결하고, 최소의 색으로 구별하면
따라서, 1의 개수는 10개가 된다.
그림과 같다. 따라서 무선통신 회사가 확보해야 할 주파수의 최소 개수는
이다. 22) ④
, 이므로 변의 개수는
16) ①
에서의 가장 가까운 도시는 , 를 제외한 에서 가장 가까운 도시는 23) 정답 ⑤
, 를 제외한 에서 가장 가까운 도시는 , 를 제외한 주어진 행렬이 나타내는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에서 가장 가까운 도시는 , 를 제외한 에서 가장 가까운
도시는 , 따라서 찾고 있는 답은
→→→→ →
17) ②
주어진 그래프의 꼭짓점을 적절하게 색칠할 수 있는 최소의 색의 수는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참이다.
이다.
ㄱ. 개 ㄴ. 개 ㄷ. 개 24) 36
조건에 따라 행렬 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12 12
행렬-그래프
수 리 영 역 13
━━━━━━━━━━━━━━━━━━━━━━━━━━━━━━━━━━━━━━━━━━━━━━━━━━━━━━━━━━
따라서 , 이므로 이다.
[다른 풀이]
주어진 그래프의 각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한 행렬은 다음과
같다.
0 1 0 0 0 0
1 0 1 0 0 1
그래프 의 모든 변의 개수는 행렬 의 모든 성분의 합의 과 같으므로
0 1 0 1 1 0
0 0 1 0 1 0
․ 이다. 0 0 1 1 0 1
∴ 0 1 0 0 1 0
25) ② 위 행렬의 성분 중에서 의 개수는 이고, 의 개수는 이다.
∴ ,
주어진 그래프를 행렬로 나타내면
∴
32) ⑤
[출제의도] 그래프와 행렬 사이의 관계와 경로의 뜻을 이해하여 그래프의 변을 찾는
다.
조건 (나)에서 A C E D B A 가 그래프 의 경로이므로
선분 개이므로 성분의 총합은
AC C E E D D B B A 는 그래프 의 변이다.
따라서 × 행렬의 의 개수는 개다.
또, AB C E 는 그래프 의 경로가 아니므로 B C 는 변이 아니다.
26) ② A
행렬 의 성분( )의 값의 합은 각 꼭짓점에
연결된 모든 변의 개수의 합의 배이다. 따라서 그래프 의 모든 변의 E
B
개수는
27) 14
C D
그래프 를 나타내는 행렬 에 대하여 그림과 같이 그래프 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조건 (가)에서 그래프 의 변의 개수는 이므로 위 그래프에 B C 가
A 아닌 한 개의 변이 추가되어야 한다. 그런데, 위 그래프에서 꼭짓점 A 에서
AB C DE ∙ 출발하여 개의 변을 지나 꼭짓점 E 로 가는 경로는 A B D E 뿐이므로 조건
A ∙E (다)를 만족시키려면 위 그래프에서 변 C D 를 추가해야 한다.
B ∙
B
C
D
∙D 33) ②
E ∙C 각 행의 모든 성분의 합은 각 점에 연결된 변의 개수인 차수와 같다.
그래프에서 차수가 3인 점의 개수는 2개이다
∴ ,
∴ 34) 14
[출제의도] 그래프와 행렬의 성질 이해하기
28) 12
그래프의 각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의 모든 성분의 합은
[출제의도] 그래프와 행렬의 관계를 이해한다. 그래프에서 변의 개수의 배이므로 행렬의 모든 성분의 합은
그래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행렬의 모든 성분의 합은 변의 개수의 두
배와 같으므로 ⋅ 35) ②
29) ④
변의 개수가 개이므로 모든 성분의 합은 이다.
30) ③
꼭지점의 개수 이고, 0인 성분의 갯수는 이므로 따라서 문제에서
그래프에서 모든 성분의 합은 변의 개수의 배이므로
구하는 값인
×
∴ 14
31) ④
36) ②
[출제의도] 그래프의 각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을 이해한다.
[출제의도] 그래프를 나타내는 행렬의 성질을 이해하여 값을 구한다.
주어진 그래프의 각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을 라고
그래프를 나타내는 행렬의 각 성분은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향하는
하자. 주어진 그래프의 꼭짓점의 개수가 이므로 행렬 는 차
대각선에 대하여 대칭이다. 그러므로 , 는 행렬 의 성분,
정사각행렬이고, 그 성분은 과 로 구성되어 있다. 즉, 과 의 개수의
성분과 각각 같다.
합은 이다. 그런데 행렬 의 성분의 총합은 그래프의 변의 개수의 두
∴ ,
배이고 변의 개수가 7이므로 행렬 의 성분 중 1의 개수는 이다.
13 12
14 수 리 영 역 행렬-그래프
━━━━━━━━━━━━━━━━━━━━━━━━━━━━━━━━━━━━━━━━━━━━━━━━━━━━━━━━━━
따라서 행렬 의 모든 성분의 합이 이므로 그래프 의 변의 개수는 개수의 배이므로
이다. ×
따라서 구하는 행렬의 모든 성분의 합은 이다.
37) ②
[출제의도] 그래프와 행렬의 관계를 알 수 있는가?
44) ④
두 꼭짓점이 연결되어 있으면 1,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0의 성분을 [출제의도] 그래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의 성질을 이해하여 성분의 값을 계
가지므로 산한다.
그래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의 성분과 성분의 값이
같으므로 ,
38) ② 따라서
[출제의도] 그래프의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의 성질을 이해한다.
45) ③
행렬 의 성분은 번째 꼭짓점에 연결된 변의 개수와 같으므로
그래프의 꼭짓점의 개수가 5이므로 각 꼭짓점 사이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행렬은 × 행렬이다. 이때, 그래프 변의 개수가 6이므로 행렬 중 0의
[다른 풀이]
개수는 × ×
행렬 과 을 구하면
46) ⑤
,
[출제의도] 그래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의 성질을 이해하여 성분의 값을 구
한다.
이므로
(행렬의 성분 중 의 개수) ×(그래프의 변의 개수) ×
39) ② 47) 14
[출제의도] 그래프와 행렬의 성질을 이해하여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한다. [출제의도] 그래프를 이해하여 행렬의 모든 성분의 합을 구한다.
그래프의 각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에서 각 성분은 변의 개수가 인 그래프를 행렬로 나타내었을 때, 행렬의 모든 성분의 합은
또는 이다. 각 행의 성분은 개이므로 행의 성분으로 을 개 포함하는 이다.
행은 을 개 포함한다. 행의 성분에서 인 것의 개수는 각 꼭짓점에
주어진 그래프의 변의 개수가 이므로 구하는 행렬의 모든 성분의 합은
연결된 변의 개수와 같으므로 연결된 변의 개수가 인 꼭짓점의 개수를
×
찾으면 된다.
따라서 행의 성분으로 을 개 포함하는 행의 개수는 이다. 48) ②
40) ③ [출제의도] 그래프와 행렬의 관계 이해하기
14 12
행렬-그래프
수 리 영 역 15
━━━━━━━━━━━━━━━━━━━━━━━━━━━━━━━━━━━━━━━━━━━━━━━━━━━━━━━━━━
(참고)
51) ③
그래프의 각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행렬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D
A C
B
위 행렬의 모든 성분의 합은
52) ⑤
[출제의도] 그래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의 성질을 이해하여 성분의 값을 구
한다.
각 점에 연결된 변의 개수가 인 점이 개, 인 점이 개, 인 점이
개, 인 점이 개
따라서 행의 모든 성분의 합이 인 행의 개수는
53) ②
[출제의도] 그래프와 행렬 사이의 관계를 알고 있는가?
주어진 그래프의 변의 개수가 이므로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행렬의 성분 중
의 개수는 ×
1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