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found this document useful (0 votes)
50 views16 pages

KCS101010 File 20180730

This document outlines construction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Korea. It provides an overview of the applicable scope, related laws and standards, definitions, and procedures for submitting documents. The document also describes requirements for construction schedules, plans, and drawings.

Uploaded by

structure92
Copyright
© © All Rights Reserved
We take content rights seriously. If you suspect this is your content, claim it here.
Available Formats
Download as PDF, TXT or read online on Scribd
0% found this document useful (0 votes)
50 views16 pages

KCS101010 File 20180730

This document outlines construction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Korea. It provides an overview of the applicable scope, related laws and standards, definitions, and procedures for submitting documents. The document also describes requirements for construction schedules, plans, and drawings.

Uploaded by

structure92
Copyright
© © All Rights Reserved
We take content rights seriously. If you suspect this is your content, claim it here.
Available Formats
Download as PDF, TXT or read online on Scribd
You are on page 1/ 16

설계기준 Korea Design Standard KDS 41 10 05 : 2016

표준시방서 Korean Construction Specification


KCS 10 10 10

공무행정요건
공 KCS 10 10 10 : 2016

건축구조기준 총칙



2016년
2016년 6월 6월 30일
30일 제정
제정
http://www.kcsc.re.kr
http://www.kcsc.re.kr
건설기준 제정 또는 개정에 따른 경과 조치
이 기준은 발간 시점부터 사용하며, 이미 시행 중에 있는 설계용역이나 건설
공사는 발주기관의 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종전에 적용하고 있는
기준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건설기준 연혁

∙ 이 기준은 건설기준 코드체계 전환에 따라 기존 건설기준 설계기준 표준시방서 간 중복․


( , )

상충을 비교 검토하여 코드로 통합 정비하였다 .

∙ 이 기준의 주요사항은 다음과 같다 .

건설기준 주요내용 제정 또는 개정
(년.월)
KCS 10 10 10 : 2016 ∙ 건설기준
정비함
코드체계 전환에 따라 코드화로 통합 제정
(2016.6)
KCS 10 10 10 : 2016 ∙한국산업표준과 건설기준 부합화에 따라 수정함 수정
(2018.7)
제 정 : 2016년 6월 30일 개 정: 년 월 일
심 의 :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자문검토 : 국가건설기준센터 건설기준위원회
소관부서 : 국토교통부 기술기준과
관련단체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작성기관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목 차

1. 일반사항 ········································································································································· 1

적용범위 ··································································································································
1.1 1

참고기준 ··································································································································
1.2 1

관련법규 ························································································································
1.2.1 1

관련기준 ························································································································
1.2.2 1

용어의 정의 ····························································································································
1.3 1

서류의 비치 및 제출 ············································································································
1.4 1

제출절차 등 ····························································································································
1.5 1

작성 및 확인 ················································································································
1.5.1 1

내용 변경 ······················································································································
1.5.2 2

미제출 시의 제한 ········································································································
1.5.3 2

공사 관련자에 대한 전파교육 ··················································································


1.5.4 2

착공신고서 제출 ····················································································································
1.6 2

공사공정예정표 ······················································································································
1.7 2

서식 ································································································································
1.7.1 2

내용 ································································································································
1.7.2 2

일정수정 ························································································································
1.7.3 3

자료제출 ························································································································
1.7.4 3

배부 ································································································································
1.7.5 3

시공계획서 ······························································································································
1.8 3

시공상세도면 ··························································································································
1.9 4

제출 및 승인 ················································································································
1.9.1 4

작성방법 ························································································································
1.9.2 4

제출 대상 ····················································································································
1.9.3 4

자재 공급원 승인 요청서 ··································································································


1.10 4

승인요청 ······················································································································
1.10.1 5

대상자재 ······················································································································
1.10.2 5
1.108.3 작성방법 ···················································································································· 5

1.10.4 제출시기 및 부수 ······································································································ 5

1.11제품자료 ································································································································ 5

1.11.1 개요 ······························································································································ 5

1.11.2 대상자재 ······················································································································ 5

1.11.3 작성방법 ······················································································································ 5

1.12견본 ········································································································································ 6

1.12.1개요 ···························································································································· 6

1.12.2대상자재 ···················································································································· 6

1.12.3작성방법 ···················································································································· 6

1.13시공사진 ································································································································ 7

1.14기성검사원 ···························································································································· 7

1.15설계변경 ································································································································ 7

2. 자재 ················································································································································· 8

3. 시공 ················································································································································· 8
공무행정요건 KCS 10 10 10 : 2016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 이 기준은 자료제출 또는 승인을 얻기 위하여 수급인이 발주자 또는 공사감독자 에게 ( )

제출할 제출물의 작성과 발송에 대한 일반요건과 절차 등에 대하여 적용한다 .

1.2 참고 기준
관련법규
1.2.1
건설기술 진흥법
공사계약일반조건
건설공사 시공상세도 작성지침 국토해양부 ( )

1.2.2 관련기준
KCS 10 10 35 시공 및 준공요건
용어의 정의
1.3
내용 없음 .

1.4 서류의 비치 및 제출
(1) 수급인은 공사 진행을 위하여 공무행정에 관한 서류를 사실과 그 증빙자료에 부합되
게 작성하여야 한다 .

(2) 수급인은 공무행정서류 중 상시 비치를 요하는 서류는 건설공사 중에 발주자가 수시


로 열람할 수 있도록 현장사무소 또는 현장시험실에 항상 비치해야 한다 .

(3) 수급인은 공무행정서류 중 제출해야 하는 서류는 지정된 시기에 지정된 부수를 발주


자에게 제출해야 한다 .

1.5 제출절차 등
1.5.1 작성 및 확인
(1) 수급인이 제출하는 각 제출물은 설계서의 내용과 현장 조건 검토 결과를 반영하여 작
성하여야 하며 타수급인 자재납품업자 지급자재 납품자 포함 작업자 관련기관과
, , ( ), ,

협의하여 조정한 내용을 포함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

(2) 수급인은 각 제출물에 대하여 계약문서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한 후 제출물에 서명 또


는 날인하여 공사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

(3) 수급인은 표준시방서 또는 공사시방서 에 명시된 제출물의 작성 및 제출에 소요되는


( )

비용 작성을 위한 자료의 수집 및 정리 전문가에 대한 자문 등에 소요되는 비용 포


( ,

- 1 -
공무행정요건 KCS 10 10 10 : 2016
함 은 발주자에게 추가로 청구할 수 없다
) .

1.5.2 내용 변경
(1) 수급인은 모든 제출물에 대하여 주요한 내용의 변경을 수반하는 사유가 발생했을 경
우에는 지체 없이 관련 제출물을 재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

1.5.3 미제출 시의 제한
(1) 표준시방서 또는 공사시방서 에서 정한 제출물을 공사감독자에게 제출하지 않을 경우
( )

공사감독자의 승인 또는 확인을 받을 수 없으며 해당 공사를 진행할 수 없다 , .

1.5.4 공사 관련자에 대한 전파교육


(1) 수급인은 공사감독자가 확인한 제출물에 대하여 필요한 사항은 작업자 등 공사 관련
자를 대상으로 하여 전파교육을 실시하여 공사 시행상의 오류를 방지하여야 한다 .

1.6 착공신고서 제출
(1) 수급인은 공사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였을 때에는 계약문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공
사를 착공하여야 한다 .

(2) 수급인은 공사 착공 시 다음 각 호의 서류가 포함된 착공신고서를 발주자에게 제출하


여야 한다 .

① 건설기술진흥법령 등 관련법령에 의한 현장기술자 지정신고서


② 공사공정예정표
③ 안전⋅환경 및 품질관리계획서
④ 공정별 인력 및 장비투입계획서
⑤ 착공 전 현장사진
⑥ 기타 발주자가 지정한 사항
1.7 공사공정예정표
1.7.1 서식
(1) 공사의 안전관리 품질관리 등 특별히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공사활동에 대해서는 막
,

대도표로 일정을 나타내야 하고 매주 첫 작업일에 확인하여야 한다


, .

(2) 수급인은 PERT/CPM(Program Evaluation & Review Technique / Critical Path

등에 의한 공정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Method) .

(3) 수급인이 공정예정표 작성에 이용하는 공정관리 소프트웨어는 이 기준이 요구하는 사


항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

1.7.2 내용

- 2 -
공무행정요건 KCS 10 10 10 : 2016
(1) 수급인은 공사공정예정표에 다음 사항을 명시하거나 첨부하여야 한다 .

① 공종별 및 공종 내 주요 공정단계별 착수시점 완료시점 ,

② 공종별 및 공종 내 주요 공정단계별 선 후 동시 시행 등의 연관관계 . .

③ 주공정선 또는 주 공정 공사의 목록
(Critical Path)

④ 주요 제출물의 제출 일정계획 공종별 공사 시공계획서 시공상세도 및 견본 : ,

(2) 수급인은 표준시방서 또는 공사시방서 의 각 시방 기준에 따라 각 항목을 확인하여야


( )

한다.

(3) 수급인은 작업의 각 단계에 세부일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관련 부분 일정표를 제시하


여야 한다 .

(4) 수급인은 전체 일정에서 주공정과 나머지 일정을 구분하여 제시하여야 한다 .

(5) 수급인은 공사 공정예정표의 매달 마지막 날에 각 공정의 누적 공정률과 완료된 작업


의 전체 공정률을 나타내어야 한다 .

1.7.3 일정수정
(1) 수급인은 제출날짜에 대한 각 활동의 진행과 각 활동의 예정된 완료 일자를 나타내어
야 한다 .

(2) 수급인은 공사범위의 주요변화 그리고 다른 변동사항으로 인하여 변경된 활동들을 확


인하여야 한다 .

(3) 수급인은 공사시행 중 당초에 수립한 공사예정공정표 혹은 시공계획과 공사추진실적


을 비교하여 지연된 공종이 있을 경우에는 공정만회대책을 수립하여야 하며 공사감 ,

독자가 요구할 경우 수립된 공정만회대책을 공사감독자에게 제출하고 승인을 받은


, ,

후 이에 따라 시행하여야 한다 .

1.7.4 자료제출
(1) 수급인은 공정계획을 변경하는 때에도 수정공정예정표를 제출하여야 한다 .

1.7.5 배부
(1) 수급인은 공정예정표의 복사본을 공사현장 사무소 하수급인 납품자 그리고 기타 관 , ,

계자에게 배부하여야 하며 공정계획이 변경되었을 경우에는 수정공정예정표의 복사


,

본을 동일하게 배부하여야 한다 .

1.8 시공계획서
(1) 수급인은 표준시방서 또는 공사시방서 각 시방 기준의 공사에 대한 시공계획서를 공
( )

사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 공사에 착수하여야 한다 .

(2) 시공계획서에 기재할 주요한 항목은 다음과 같다 .

① 공사개요

- 3 -
공무행정요건 KCS 10 10 10 : 2016
② 공사공정예정표
③ 현장조직표
④ 주요장비 동원계획
⑤ 주요자재 반입계획
⑥ 인력동원계획
⑦ 긴급시의 체제
⑧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질시험계획
⑨ 안전관리계획
⑩ 환경관리계획
⑪ 교통관리계획
⑫ 가설계획 가설구조물 가설설비 현장사무소 재료적치장 등 가설시설물
( , , , )

⑬ 수목 가이식장 계획
⑭ 기타
1.9 시공상세도면
1.9.1 제출 및 승인
(1) 수급인 하수급인 자재나 제품의 제작자 및 공급자를 포함한다 은 설계서 및 현장조
( , .)

건과의 적합성 여부를 확인하여 공사 수행상의 잘못 또는 부분공사의 누락을 예방하


고 타 공사 수급인 지급자재 공급자 관련기관 및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과의 마찰로
, , ,

인한 공사의 지연을 예방하기 위하여 시공상세도면을 작성하여야 한다 .

(2) 수급인은 작성한 시공상세도면에 대하여 공사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에 당해 공사를


착수하여야 한다 .

(3) 수급인은 공사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시공상세도면을 공사에 사용하여야 한다 .

1.9.2 작성방법
(1) 수급인은 설계서 공사시방서 설계도면 현장설명서 및 물량내역서 의 요구사항을 종
( , , )

합하여 시공상세도면을 작성하여야 하며 시공상세도면에는 부위별 재료명과 시공 또 ,

는 설치 방법 및 마감상태를 명확히 표기하여야 하고 정확한 치수 및 축척을 명시하 ,

여야 한다 .

1.9.3 제출 대상
(1) 수급인이 시공상세도면을 제출하여야 하는 대상 및 그것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은 표
준시방서 또는 공사시방서 의 각 시방 기준에 따른다
( ) .

1.10 자재 공급원 승인 요청서

- 4 -
공무행정요건 KCS 10 10 10 : 2016
1.10.1 승인요청
(1) 수급인은 공사용 자재 재료 부재 제품 및 설비 기기를 포함한다 의 사용 또는 설치
( , , .)

전에 설계서의 요구조건 및 품질기준과의 적합성을 확인하고 자재 선정을 위한 검토 ,

나 자재의 품질확인를 위하여 자재 공급원 승인요청 서류를 제출하여 공사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사용 또는 설치하여야 한다 .

1.10.2 대상자재
(1) 대상자재의 종류는 해당 공사에 사용할 주요 자재 및 재료로서 표준시방서 또는 공사 (

시방서 각 해당 시방 기준에 따른다 표준시방서 또는 공사시방서 의 해당 시방 기준


) . ( )

에서 자재 공급원 승인 요청서를 제출하도록 명시되어 있지 아니한 자재에 대해서는


공사감독자의 지시에 따른다 .

1.10.3 작성방법
(1) 수급인은 자재 공급원 승인요청 서류를 발주자의 품질문서에 따라 준비하여야 한다 .

(2) 포함내용
① 자재 공급원 일람표
② 제품자료 제품자료 참조 (1.11( ) )

③ 견본 견본 참조
(1.12( ) )

(3) 수급인은 설계서 및 현장여건이 제품설치 등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재의 설치


등을 위하여 필요한 설계도서 및 현장 여건의 조정 요구사항을 제출하여야 한다 .

1.10.4 제출시기 및 부수
(1) 자재의 사용 또는 설치 일 전까지 부를 제출한다 다만 해당 공사의 착공 전에 품
15 2 . ,

질시험 검사가 필요하다고 표준시방서 또는 공사시방서 의 해당 시방 기준에 명시되어


. ( )

있는 경우에는 그 시험 검사에 소요되는 기간을 추가로 감안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 .

1.11 제품자료
1.11.1 개요
(1) 1.10.3.(2) 에 의한 제품자료에 대한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

1.11.2 대상자재
(1) 표준시방서 또는 공사시방서 의 각 시방 기준에 따른다
( ) .

1.11.3 작성방법
(1) 자재 개요 모델명 제작자명 연락처
( , , )

- 5 -
공무행정요건 KCS 10 10 10 : 2016
(2) 당해 자재가 설계서에 명시한 기준 등에 적합한 품질임을 나타내는 다음과 같은 증빙
서류 중 하나
① 건축 토목 기계설비 조경 공사의 경우에는 건설기술 진흥법 제 조에 의한 국립
, , , 60

ㆍ공립 시험기관 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가 그리고 전기설비 통신설비 공사의 경 , ,

우에는 공인시험기관이 발급한 시험성적서 다만 발급한 날로부터 개월이 경과되 . , 3

지 않았고 발주자 등 공공기관 사업장에서 공사감독자의 서명ㆍ날인을 받아 시험


,

의뢰하여 발급 받은 시험성적서에 한한다 .

② 한국산업표준 인증제품 또는 이에 준하는 제품임을 나타내는 서류


③ 관계법령에 의하여 품질검사를 받았거나 해당 국제표준에 의한 인증제품임을 나타
내는 서류
④ 상기 ① 내지 ③에 해당되지 않는 자재는 자재ㆍ제품 제작자가 작성한 품질관련
기술자료
(3) 자재 제작자의 시공 또는 설치시방서
(4) 설계서 및 현장여건이 제품설치 등에 적합함을 나타내는 서류 적합하지 않을 경우는 .

자재의 설치 등을 위하여 필요한 설계서 및 현장여건의 조정 요구사항


(5) 기타 표준시방서 또는 공사시방서 의 각 시방 기준에 명시되어 있는 사항
( )

(6) 증빙서류가 사본일 경우는 현장대리인의 원본 대조필 서명․날인이 있어야 한다 .

1.12 견본
1.12.1 개요
(1) 1.10.3(2) 에 의한 견본에 대한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

1.12.2 대상자재
(1) 표준시방서 또는 공사시방서 의 각 시방 기준에 따른다
( ) .

1.12.3 작성방법
(1) 수급인은 공사용 자재에 대하여 설계서에 명시한 기준에 적합한 자재의 견본을 제출
하여야 한다 .

(2) 수급인은 선정된 자재의 견본이 반입되는 자재의 검수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공
사감독자 사무실 또는 수급인 사무실에 준공 시까지 비치하여야 한다 다만 비치가 . ,

불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견본에 대해서는 공사감독자와 협의하여 비치기간을 단축하거


나 비치를 생략할 수 있다 .

(3) 제출대상 자재의 종류는 표준시방서 또는 공사시방서 의 각 시방 기준에 따른다 ( ) .

(4) 포함 사항
① 자재의 견본
② 표준시방서 또는 공사시방서 의 각 시방 기준 코드번호 및 품질기준
( )

- 6 -
공무행정요건 KCS 10 10 10 : 2016
③ 납품소요기간
④ 기타 표준시방서 또는 공사시방서 의 각 시방 기준에 명시되어 있는 사항
( )

1.13 시공사진
(1) 수급인은 공사 진행 중 현장과 시공에 대한 사진을 공사감독자가 수락하는 상태로 촬
영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

(2) 수급인은 공사 시공 중 되메우기 마감재 사용 등으로 육안검사가 불가능하게 되는


,

부분 또는 준공 후 해체되는 가설물 등에 대하여는 수시로 부분 또는 전경이 분명하


게 나타나도록 천연색으로 사진을 촬영하여야 한다 .

(3) 수급인은 다음의 공사에 대해서는 공사의 착수 전 진행 중 및 완성 후에 사진을 촬 ,

영하여야 한다 .

① 현장정리
② 땅파기 또는 땅깎기
③ 기초공사
④ 구조물의 구체
⑤ 최종 준공
⑥ 공사계약문서에 명시된 사항으로 시공 후의 검사가 불가능하거나 곤란한 부분
(4) 기존 공사조건에 대한 증거자료로 공사의 내부 및 외부에서 사진촬영을 하여야 한다 .

(5) 현상하는 사진의 색채 현상지 표면 농도 치수 등은 감리자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 , , , ,

현상된 사진은 사진철로 비치하여야 한다 .

(6) 각 현상된 사진에는 공사명 및 번호 촬영위치 및 일자 촬영자의 성명 등을 명기하여 , ,

야 한다 .

(7) 촬영된 필름 및 사진파일은 공사기록문서와 함께 발주자와 공사감독자에게 전달하여


야 하며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 목록을 작성해서 첨부하여야 한다
, .

(8) 준공일까지 지정된 시각에 방향에서 고공촬영을 하여야 한다 4 .

(9) 촬영방향에 대하여 공사감독자와 협의하여야 한다 .

(10) 수급인은 발송서한과 함께 촬영 후 특별하게 정하지 않는 한 일 이내 또는 기성금 3

신청 시 현상된 사진을 제출하여야 한다 .

(11) 수급인은 준공이 되면 사진철을 에 의거하여 발주자에 제출하여야 한다


KCS 10 10 35 .

1.14 기성검사원
(1) 공사계약일반조건 제 조 검사 에 따른다
27 ( ) .

1.15 설계변경
(1) 공사계약일반조건 제 조 설계변경 등
19 ( ) ~ 제 조 기타 계약내용의 변경으로 인한 계
23 (

약금액의 조정 에 따른다
) .

- 7 -
공무행정요건 KCS 10 10 10 : 2016
2. 자재
내용 없음 .

3. 시공
내용 없음 .

- 8 -
공무행정요건 KCS 10 10 10 : 2016

집필위원
성명 소속 성명 소속
권수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정상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재동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조영준 중부대학교
김태송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최봉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문위원
성명 소속 성명 소속
공정식 고려대학교 이현종 세종대학교
황의승 경희대학교 김삼근 한국설비연구
김성일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김천용 한미설비
이석원 건국대학교 오규창 ㈜이산
황제돈 에스코컨설턴트 이상만 동부엔지니어링
이지훈 서영엔지니어링

건설기준위원회
성명 소속 성명 소속
구찬모 한국토지주택공사 최용규 경성대학교
박영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최정환 한국철도시설공단
정문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성명 소속 성명 소속
김승철 ㈜한화건설 송 훈 ㈜건화
문현경 ㈜장원 유성진 ㈜일신이앤씨
박주경 ㈜대한이앤씨 이상민 ㈜비앤티엔지니어링

국토교통부
성명 소속 성명 소속
정선우 국토교통부 기술기준과 김병채 국토교통부 기술기준과
김광진 국토교통부 기술기준과 박찬현 국토교통부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김남철 국토교통부 기술기준과 이선영 국토교통부 기획총괄과
( 분야별 가나다순 )

- 9 -
표준시방서
KCS 10 10 10 : 2016
공무행정요건
2016년 6월 30일 제정
소관부서 국토교통부 기술기준과
관련단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0223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고양대로 283(대화동)
Tel : 031-910-0114 E-mail : [email protected]
http://www.kict.re.kr
작성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0223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고양대로 283(대화동)
Tel : 031-910-0114 E-mail : [email protected]
http://www.kict.re.kr

국가건설기준센터
10223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고양대로 283(대화동)
Tel : 031-910-0444 E-mail : [email protected]
http://www.kcsc.re.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