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 Based Pure Tone Audiometer With Software Platform Compatibility
IoT Based Pure Tone Audiometer With Software Platform Compatibility
261-270)
https://doi.org/10.9717/kmms.2018.21.2.261
Platform Compatibility
ABSTRACT
Hearing-impaired people are increasing rapidly due to the global aging trend. Early detection of hearing
loss requires an easy-to-use audiometry device for the public. Existing audiometry systems were
developed as PC-based, PDA-based, or smartphone apps. These devices were often dependent on specific
software platforms and hardware platforms. In this paper, we tried to improve software platform
compatibility by using cross platform, and tried to implement IoT-based pure tone audiometry device
which does not require sound pressure level correction due to hardware differences. Pure tone audiometry
is available in a variety of ways depending on the type of hearing loss and age. Using the IoT-based
audiometry device implemented in this paper, it will be possible for an app developer who lacks hardware
knowledge to easily develop an app with various scenarios for hearing scree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software and hardware dependency in the development of
IoT-based healthcare device.
Key words: Hearing Loss, Software Platform Compatibility, Pure Tone Audiometry, IoT based
Audiometry Device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혁신은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 진 사람을 대상으로 먼저 검사를 진행하여 조정하는
다[1,2]. 주관적인 방식의 청각검사 앱을 개발하였다[7]. 따라
전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로 앞으로 노인성 난청 서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사용 가능한 청각 검사기의
환자는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연구에 보급이 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의존성과 소프트웨
의하면 미국은 20세 이상 성인 중 20dB 이상의 청력 어 의존성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손실 인구가 2020년 성인의 15%(4411만 명)에서 본 논문에서는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
2060년 성인의 22.6%(7350만 명)로 점차 증가하며, puter),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기기의 보급이 필요하다. IoT 기반의 헬스케어 디바 Linux, MacOS, Windows CE, Android, iOS 등 다양
이스로 개발 된다면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가정, 병원 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공존할 수 있도록 개발함에
에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측정된 생체정보 따른 비용문제도 고려하여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
는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되어 이용자의 건강관리 프트웨어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플랫
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폼에 적용이 가능한 크로스 플랫폼 소프트웨어를 사
신 등은 PDA와 이어폰으로 구성되는 PDA 기반 용하여 순음청력 검사 GUI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의 청력검사기를 제안하였다[5]. 그러나 PDA는 제 구현된 GUI를 5가지 플랫폼에 동작함을 확인하였으
품 모델에 따라 음향특성이 다르므로 같은 음압 입출 며 제안된 방법으로 개발한 보드와 GUI를 연동한 통
력 시스템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청력검사에 적합한 합 테스트를 통해 성능을 검증하였다.
음압을 출력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
에 각각 제품별 출력 음압 보정이 반드시 필요한 문 2.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사용이 일상화되면
2.1 시스템 구조 설계
서 스마트폰 기반의 청력검사기에 관한 연구들도 수
행되고 있다. 그러나 청력검사 앱이 iOS 및 Android 제안된 시스템의 구현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고려
등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의존성을 갖다는 문제와 하여 진행하였다. 첫째, IoT 기반의 헬스케어 디바이
앞서 제기된 PDA기반 시스템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 스는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제어되고 측정된 헬스 정
는다는 단점이 있다. 박 등은 스마트폰 제조사별 출 보는 인터넷을 통해 헬스케어 플랫폼으로 전송되어
력오차를 실험한 결과 삼성이 LG보다 높음을 관찰 관리된다. 즉, 블루투스 무선통신으로 스마트폰에서
하였으며, 모델에 따라서는 같은 주파수 순서로 제어 가능한 형태의 독립적인 디바이스 형태로 설계
ANSI 표준보다 차이가 나타났기 때문에 제조회사별 하여 누구나 스마트폰만 있으면 가정이나 병원에서
보정을 위해서는 초기 화면에 스마트폰 제조회사를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PC, PDA, 스마트
선택하여, 음압 보정 파라미터를 적용하도록 하였다 폰의 하드웨어 의존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위해
[6]. 그리고 이 등은 청각 테스트 전 조정 과정을 거쳐 순음발생장치는 하드웨어적으로 분리하여 IoT 기반
모바일 세트를 보정을 할 수 있지만 정상 청력을 가 순음청력검사기 내부에 구성하고 스마트폰에서는
IoT 기반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호환성을 갖는 순음청력 검사기 263
· sin
(1)
Specification Value
Core MIPS32 M4K
Clock frequency 120 MHz
Performance 150 DMIPS
Power Consumption 0.5 mA/MHz
Fig. 1. System architecture. Operating Voltage 2.3 V to 3.6 V
Architecture 32-bit
2.2 IoT 기반의 순음청력검사기 개발보드의 구현 Flash Memory 512 KB
오디오코덱으로 전달되고 오디오코덱 내부의 D/A 높였다. BT Manager 모듈은 블루투스 제어와 관리
Converter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 를 담당한다.
된 신호는 오디오코덱(ASAHI KASEI, AK4642EN) BT Manager가 제공하는 주요 기능은 BT 연결과
내부의 증폭회로를 통하여 이어폰으로 순음이 출력 해제를 위한 connectionBtService(), disconnectBt
된다. 블루투스 모듈과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위해 Service(), 명령 패킷을 만들어 전달하는 sendMessage
차동 입력을 받아 증폭하는 MAXIM의 MAX97220 (), 에러를 처리하는 clearBtConnectionErrorType()
앰프를 사용하였다. 등이 있다. BT Manager는 블루투스를 제어하기 위
스마트폰과 연결하기 위한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해 Qt Framework에서 지원되는 Qt Bluetooth API
모듈(Bluecreation, BC127)을 사용하였다[9]. BC127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사용하거나
은 듀얼모드를 지원하고, 저전력에 소형 폼펙트로 지원되지 않는 경우에는 네이티브 플랫폼 종류에 따
IoT 디바이스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블루투스 4.2 라 블루투스 제어를 위한 네이티브 API를 직접 사용
Class 2 모듈이다. 다양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지원 하였다. Qt Bluetooth API는 다양한 플랫폼에 제공
하며 특히 Android, iOS 연동에 필요한 SPP, IAP, 되는 블루투스 네이티브 API를 통합하여 Qt Frame-
IAP2, HFP, A2DP, AVRCP 프로파일 등을 지원하며 work에서 제공하는 API이다.
호환성이 높아 사용하였다. Qt Bluetooth API는 Qt 플랫폼의 지속적인 업그
레이드를 통하여 각 Qt 버전에 따라 Android (Qt
2.3 크로스 플랫폼을 활용한 GUI 설계 및 구현 5.3), Bluez5(Qt 5.4) 및 OS X(Qt 5.5)를 포함하도록
Fig. 3은 IoT 기반 순음청력검사기 GUI을 위한 확장되고 있지만 iOS에서도 구현할 수 있는 API는
인 QML을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QML은 HTML과 phone, ER-7C) 팁에 전달된다. 전달된 순음은 오실
유사한 Markup Language형식이며 문법은 CSS와 로스코프로 측정된다.
닮았다. 주로 QML과 Javascript API를 섞어서 GUI 스마트폰 GUI를 통한 전체적인 동작을 확인하기
개발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해 Fig. 6과 같은 통합 시험 환경을 구성하였다.
Fig. 4는 순음청력검사를 위해 개발된 GUI 화면을 적용된 순음청력검사방법은 하강법이며, 각 주파
나타낸다. 순음청력검사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수(250Hz, 500Hz, 1000Hz, 2000Hz, 4000Hz, 8000Hz)
3. 실험 및 결과
3.1 통합 시험
구현된 순음청력검사기의 전체적인 통합 테스트 Fig. 6. Integration test of IoT based audiometry device.
266 멀티미디어학회 논문지 제21권 제2호(2018. 2)
3.2 순음 주파수 실험
3.3 최대출력음압 실험
순음청력검사를 위한 자극신호로 사용되는 순음
주파수는 주로 100 ∼
8000Hz 사이의 주파수를 사용 순음청력검사에서 자극음은 최대 120dB SPL 이
한다. 순음 주파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오실로스코프 상 발생되어야 하므로 주파수 500Hz, 800Hz, 1000
100Hz 500Hz
800Hz 1000Hz
1600Hz 2500Hz
8000Hz
식(3)에 의하여 94dB SPL에 상응하는 기준전압 Sierra 10.12.4와 MacBook Pro Interl Core i7 2GHz,
500Hz 800Hz
1000Hz 1600Hz
2500Hz
iOS Android
본 논문에서 구현된 순음청력검사기는 난청인의 tory Speech Audiometric System," The Tran-
나이, 난청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될 sactions of The Korean I nstitute of Electrical
수 있으므로 검사방법에 따라 요구되는 GUI들의 개 Engineers, Vol. 58, No. 3, pp. 645-654, 2009.
발이 가능하다. 특히 유아의 경우 자극 음에 대한 응 [ 6 ] C.H. Park, J.S. Park, H.Y. Suk, J.H. Han, M.Y.
답이 어렵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을 포함한 검사방법 Lee, S.D. Heo, and et al, “Development of a
이나 스마트폰을 활용한 게임적인 요소를 적용한 새 Pure Tone Evaluation App. for Android Smart
로운 검사방법의 개발도 가능하다. 또한 구현된 IoT Phone,” P roceeding of the F all Conference of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결과는 IoT 기반 [ 7 ] K. Lee, S.I. Kang, G.S. Park, and S.M. Lee,
의존성 극복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with User Fitting for Hearing Impaired in
2060,” J AM A Otolaryngology N eck Surgery, [11] The Korean Audiological Society, H earing
Vol. 143, No. 7, pp. 733-734, 2017. Test Guidelines, Hakjisa Publishers, Seoul,
[ 4 ]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urvey on the [12] Korea Standards Association, Acoustics-P ure
Status of P ersons with D isabilities in 2014, Tone Air Conduction Threshold Audiometry
2015. for Hearing Conservation P urposes KS I ISO
[ 5 ] S.W. Shin, K.S. Kim, S.M Lee, W.J. Im, J.W. 6189:2014, 2014.
Lee, and D.J. Kim, "Development of Ambula-
270 멀티미디어학회 논문지 제21권 제2호(2018. 2)
강 성 호 성 기 웅
2002년 2월 국가평생교육진흥원 1998년 2월 경북대학교 전자공학
컴퓨터과학과(공학사) 과(공학사)
2018년 2월 경북대학교 대학원 의 2000년 2월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
용생체공학과(공학석사) 자공학과(공학석사)
∼
2007년 현재 오큐브주식회사 전 2010년 2월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
무이사 자공학과 (공학박사)
이 정 현
2002년 2월 경북대학교 전자전기
조 진 호
공학부(공학사) 1977년 2월 경북대학교 공업교육
2004년 2월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 학과 졸업 (공학사)
자공학과 (공학석사) 1979년 2월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
2008년 2월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 자공학과 졸업(공학석사)
자공학과 (공학박사) 1988년 2월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
자공학과 졸업(공학박사)
2008년~2016년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의공학과 임상조
교수 1984년~현재경북대학교 IT대학 전자공학부 교수
2016년~현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조교수 관심분야 : 의용전자, 생체신호처리, 이식형 보청기
관심분야 : 생체텔레메트리시스템, 양이 보청기
김 명 남
1988년 2월 경북대학교 전자공학
과(공학사)
1990년 2월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
자공학과(공학석사)
1995년 2월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
자공학과(공학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