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found this document useful (0 votes)
61 views10 pages

IoT Based Pure Tone Audiometer With Software Platform Compatibility

This document summarizes a journal article about developing an IoT-based pure tone audiometer that has software platform compatibility. The system is designed to overcome dependencies on specific hardware and software platforms. It consists of a development board containing an audio codec and Bluetooth module for wireless control via a smartphone. The board generates pure tones independently of the smartphone hardware. A cross-platform GUI allows control from various operating systems without software dependency issues. Evaluation showed the GUI running on 5 platforms and interfacing with the board, demonstrating the proposed approach.

Uploaded by

diiinnaliinnn
Copyright
© © All Rights Reserved
We take content rights seriously. If you suspect this is your content, claim it here.
0% found this document useful (0 votes)
61 views10 pages

IoT Based Pure Tone Audiometer With Software Platform Compatibility

This document summarizes a journal article about developing an IoT-based pure tone audiometer that has software platform compatibility. The system is designed to overcome dependencies on specific hardware and software platforms. It consists of a development board containing an audio codec and Bluetooth module for wireless control via a smartphone. The board generates pure tones independently of the smartphone hardware. A cross-platform GUI allows control from various operating systems without software dependency issues. Evaluation showed the GUI running on 5 platforms and interfacing with the board, demonstrating the proposed approach.

Uploaded by

diiinnaliinnn
Copyright
© © All Rights Reserved
We take content rights seriously. If you suspect this is your content, claim it here.
You are on page 1/ 10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21, No. 2, February 2018(pp.

261-270)
https://doi.org/10.9717/kmms.2018.21.2.261

IoT 기반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호환성을


갖는 순음청력 검사기
강성호†, 이정현††, 김명남†††, 성기웅††††, 조진호†††††

IoT based Pure Tone Audiometer with Software

Platform Compatibility

Sung Ho Kang†, Jyung Hyun Lee††, Myoung Nam Kim†††,


Ki Woong Seong††††, Jin-Ho Cho†††††

ABSTRACT
Hearing-impaired people are increasing rapidly due to the global aging trend. Early detection of hearing
loss requires an easy-to-use audiometry device for the public. Existing audiometry systems were
developed as PC-based, PDA-based, or smartphone apps. These devices were often dependent on specific
software platforms and hardware platforms. In this paper, we tried to improve software platform
compatibility by using cross platform, and tried to implement IoT-based pure tone audiometry device
which does not require sound pressure level correction due to hardware differences. Pure tone audiometry
is available in a variety of ways depending on the type of hearing loss and age. Using the IoT-based
audiometry device implemented in this paper, it will be possible for an app developer who lacks hardware
knowledge to easily develop an app with various scenarios for hearing scree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software and hardware dependency in the development of
IoT-based healthcare device.

Key words: Hearing Loss, Software Platform Compatibility, Pure Tone Audiometry, IoT based
Audiometry Device

1. 서 론 기기 인허가를 개별 제품이 아니라 개별 개발사에


기반을 두어 규제하는 프로그램 가동이 시작되었다.
최근 미국식품의약국(FDA, food and drug ad- 적절한 자격 요건을 갖춘 회사에 자격(Pre-Cert,
ministration)이 발표한 “Digital Health Innovation precertification)을 부여하고 이 회사들이 개발한 디
Action Plan"에서는 규제기관이 헬스케어 산업계의 지털 헬스케어 제품에 대한 인허가 과정을 면제하거
기술혁신을 위해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에 대한 의료 나 간소화 하는 방식이다. 이런 계획을 볼 때 앞으로

※ Corresponding Author : Jin-Ho Cho, Address: (41566)


†††††Dept. of Biomedical Eng., Kyungpook National Uni-
80 Daehakro, Bukgu, Daegu, Korea, TEL : +82-53- versity Hospital
950-5538, FAX : +82-53-427-5539, E-mail : jhcho@kn- (E-mail : [email protected])
u.ac.kr
†††††School of Electronics Engineering, College of IT
Receipt date : Jan. 8, 2018, Approval date : Jan. 15, 2018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OCUBE Co., LTD (E-mail : [email protected]) (E-mail : [email protected])
†††Dept. of Biomedical Eng., School of Medicine, Kyung- ※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pook National University (E-mail : [email protected]) Foundation of Korea (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Dept. of Biomedical Eng., School of Medicine, Kyung- government (MSIP) (Nos. 2015R1A2A2A03006113, 2016
pook National University (E-mail : [email protected]) R1A2A1A05005413, and 2017M3A9E2065284).
262 멀티미디어학회 논문지 제21권 제2호(2018. 2)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혁신은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 진 사람을 대상으로 먼저 검사를 진행하여 조정하는
다[1,2]. 주관적인 방식의 청각검사 앱을 개발하였다[7]. 따라
전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로 앞으로 노인성 난청 서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사용 가능한 청각 검사기의
환자는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연구에 보급이 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의존성과 소프트웨
의하면 미국은 20세 이상 성인 중 20dB 이상의 청력 어 의존성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손실 인구가 2020년 성인의 15%(4411만 명)에서 본 논문에서는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

2060년 성인의 22.6%(7350만 명)로 점차 증가하며, puter),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이 증가는 노인층에서 가장 커서 청력 손실 성인 가 assistant),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기기 간을 상호 호


운데 70세 이상 노인이 2020년 55.4%에서 2060년 환성 있게 통신할 수 있는 있는 크로스 플랫폼을 활
67.4%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중등도 이상 용한 IoT 기반의 순음청력 검사기를 구현하였다. 이
의 청력 손실을 가진 성인의 숫자는 향후 43년간 점 를 위하여 제조사 및 제품별 하드웨어 차이에 따른
차 증가할 것이라고 한다[3]. 국내의 경우에도 청각 음압 보정이 필요한 하드웨어 의존성 문제를 근본적
장애인의 84.8%가 만 50세 이상으로 고령화에 따른 으로 해결하기 위해 순음발생 부분을 하드웨어적으
청각장애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4]. 노인성 청각 장 로 분리하여 별도의 IoT 디바이스로 구성하여 블루
애는 조기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통해 청력손실의 투스 통신을 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포함하는 전체적
진행정도를 완화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혈압계, 혈당 인 시스템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순음 청력검사
계, 체중계 등과 같이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쉽게, 언 기기는 하드웨어 의존성 문제와 더불어 소프트웨어
제, 어디서나 청력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청각검사 의존성 문제도 동시에 고려해야하므로 Windows,

기기의 보급이 필요하다. IoT 기반의 헬스케어 디바 Linux, MacOS, Windows CE, Android, iOS 등 다양
이스로 개발 된다면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가정, 병원 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공존할 수 있도록 개발함에
에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측정된 생체정보 따른 비용문제도 고려하여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
는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되어 이용자의 건강관리 프트웨어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플랫
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폼에 적용이 가능한 크로스 플랫폼 소프트웨어를 사
신 등은 PDA와 이어폰으로 구성되는 PDA 기반 용하여 순음청력 검사 GUI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의 청력검사기를 제안하였다[5]. 그러나 PDA는 제 구현된 GUI를 5가지 플랫폼에 동작함을 확인하였으
품 모델에 따라 음향특성이 다르므로 같은 음압 입출 며 제안된 방법으로 개발한 보드와 GUI를 연동한 통
력 시스템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청력검사에 적합한 합 테스트를 통해 성능을 검증하였다.
음압을 출력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
에 각각 제품별 출력 음압 보정이 반드시 필요한 문 2.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사용이 일상화되면
2.1 시스템 구조 설계
서 스마트폰 기반의 청력검사기에 관한 연구들도 수
행되고 있다. 그러나 청력검사 앱이 iOS 및 Android 제안된 시스템의 구현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고려
등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의존성을 갖다는 문제와 하여 진행하였다. 첫째, IoT 기반의 헬스케어 디바이
앞서 제기된 PDA기반 시스템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 스는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제어되고 측정된 헬스 정
는다는 단점이 있다. 박 등은 스마트폰 제조사별 출 보는 인터넷을 통해 헬스케어 플랫폼으로 전송되어
력오차를 실험한 결과 삼성이 LG보다 높음을 관찰 관리된다. 즉, 블루투스 무선통신으로 스마트폰에서
하였으며, 모델에 따라서는 같은 주파수 순서로 제어 가능한 형태의 독립적인 디바이스 형태로 설계
ANSI 표준보다 차이가 나타났기 때문에 제조회사별 하여 누구나 스마트폰만 있으면 가정이나 병원에서
보정을 위해서는 초기 화면에 스마트폰 제조회사를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PC, PDA, 스마트
선택하여, 음압 보정 파라미터를 적용하도록 하였다 폰의 하드웨어 의존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위해
[6]. 그리고 이 등은 청각 테스트 전 조정 과정을 거쳐 순음발생장치는 하드웨어적으로 분리하여 IoT 기반
모바일 세트를 보정을 할 수 있지만 정상 청력을 가 순음청력검사기 내부에 구성하고 스마트폰에서는
IoT 기반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호환성을 갖는 순음청력 검사기 263

무선통신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마지


막으로, 소프트웨어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Windows, Linux, MacOS, Android, iOS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크로스 플랫폼을 사용하여 GUI를 개발
해야 한다. 이상의 세 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Fig. 1과

같이 블루투스 통신부와 오디오코덱, GUI를 탑재한


스마트폰 및 이를 제어하는 CPU로 구성되는 전체적
인 시스템 구조를 제안하였다.
Fig. 1과 같이 제안된 시스템 구조는 기존의 다양
한 IoT 헬스케어 디바이스들처럼 블루투스를 사용
하여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GUI를 통하여 제어된다.
Fig. 2. Development board of IoT-based pure tone au-
하드웨어 의존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diometer.
순음 발생장치는 하드웨어적으로 분리하였다. 즉
PC, PDA, 스마트폰 내부의 오디오 시스템을 사용하 함으로 오디오 코덱, 블루투스 칩과 디지털 통신 가
지 않고, IoT 디바이스로 이동하여 배치하고, 스마트 능한 인터페이스가 있고 2.3V ∼ 3.6V 저전력에서 사
폰의 제어 명령패킷을 받아 동작하도록 하였다. 그 용 가능한 PIC32MX470을 사용하였다[8]. 메인 프로
결과 제조사별 제품별 음압 보정을 해야 하는 하드웨 세서의 주요 사양은 Table 1과 같다.
어 의존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었다. 독립적인 블루 PIC32MX470에 적용되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는
투스 이어폰 기능을 할 수도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MPLAB X IDE v3.20 개발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순음청력검사기로 연구 범위를 제한하였다. 순음청력검사에 사용되는 순음 생성은 식 (1)과 같이
sin() 함수를 사용하여 주파수  , 샘플링율(sampling
rate)  , 음의 강도  ,  번째 샘플을 파라미터로
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PCM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
   · sin  
  (1)

생성된 PCM 데이터는 I2C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Table 1. Specification of the PIC32MX470[8]

Specification Value
Core MIPS32 M4K
Clock frequency 120 MHz
Performance 150 DMIPS
Power Consumption 0.5 mA/MHz
Fig. 1. System architecture. Operating Voltage 2.3 V to 3.6 V
Architecture 32-bit
2.2 IoT 기반의 순음청력검사기 개발보드의 구현 Flash Memory 512 KB

제안된 시스템 구조에 따라 Fig. 2와 같은 IoT 기 SRAM Memory 128 KB


CODEC Interface (I2S, AC97)
반의 순음청력검사기 개발보드를 구현하였다. 세부
A/D Channel 28
적으로 살펴보면 메인 프로세서는 주변회로를 제어
SPITM 2
함과 동시에 고속음향 신호처리가 가능한 직접 메모
I2CTM Compatible 2
리 접근(DMA, direct memory access) 기능을 가지
Debug JTAG, compressed trace
며 IoT 디바이스에 적합한 소형 패키지 형태이어야 Dimensions 9 × 9 × 0.9 mm
264 멀티미디어학회 논문지 제21권 제2호(2018. 2)

오디오코덱으로 전달되고 오디오코덱 내부의 D/A 높였다. BT Manager 모듈은 블루투스 제어와 관리
Converter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 를 담당한다.
된 신호는 오디오코덱(ASAHI KASEI, AK4642EN) BT Manager가 제공하는 주요 기능은 BT 연결과
내부의 증폭회로를 통하여 이어폰으로 순음이 출력 해제를 위한 connectionBtService(), disconnectBt
된다. 블루투스 모듈과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위해 Service(), 명령 패킷을 만들어 전달하는 sendMessage
차동 입력을 받아 증폭하는 MAXIM의 MAX97220 (), 에러를 처리하는 clearBtConnectionErrorType()
앰프를 사용하였다. 등이 있다. BT Manager는 블루투스를 제어하기 위
스마트폰과 연결하기 위한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해 Qt Framework에서 지원되는 Qt Bluetooth API
모듈(Bluecreation, BC127)을 사용하였다[9]. BC127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사용하거나
은 듀얼모드를 지원하고, 저전력에 소형 폼펙트로 지원되지 않는 경우에는 네이티브 플랫폼 종류에 따
IoT 디바이스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블루투스 4.2 라 블루투스 제어를 위한 네이티브 API를 직접 사용
Class 2 모듈이다. 다양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지원 하였다. Qt Bluetooth API는 다양한 플랫폼에 제공
하며 특히 Android, iOS 연동에 필요한 SPP, IAP, 되는 블루투스 네이티브 API를 통합하여 Qt Frame-
IAP2, HFP, A2DP, AVRCP 프로파일 등을 지원하며 work에서 제공하는 API이다.
호환성이 높아 사용하였다. Qt Bluetooth API는 Qt 플랫폼의 지속적인 업그
레이드를 통하여 각 Qt 버전에 따라 Android (Qt
2.3 크로스 플랫폼을 활용한 GUI 설계 및 구현 5.3), Bluez5(Qt 5.4) 및 OS X(Qt 5.5)를 포함하도록
Fig. 3은 IoT 기반 순음청력검사기 GUI을 위한 확장되고 있지만 iOS에서도 구현할 수 있는 API는

통합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내며 앱 구조는 GUI와 없는 상태이다.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 건강 및 환


BT Manager 모듈로 나누어 설계하여 재활용성을 경 센서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Qt는 블루투스

Fig. 3. GUI software architecture.


IoT 기반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호환성을 갖는 순음청력 검사기 265

Smart Enabled 장치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기존 를 위해서 Fig. 5와 같은 전기음향 시험 블록도를 구


의 모든 Qt 블루투스 플랫폼에서 BLE(bluetooth low 성하였다. 구성도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스마트폰
energy)를 지원하도록 확장되고 있다[10]. 크로스 플 GUI에서 순음청각검사를 위한 자극음 발생 명령패
랫폼을 사용하더라도 버전에 따라 모든 플랫폼에서 킷이 블루투스를 통해 IoT 기반의 순음청력검사기
완벽하게 지원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네이 개발보드로 전달되면 해당 주파수의 순음이 발생된
티브 API를 활용한 추가적인 구현 노력이 필요하다. 다. 발생된 순음은 더미헤드(dummy head)의 외이도
GUI 모듈은 Qt에서 제공하는 독자적인 개발언어 내부에 위치한 프로브 마이크로폰(probe micro-

인 QML을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QML은 HTML과 phone, ER-7C) 팁에 전달된다. 전달된 순음은 오실
유사한 Markup Language형식이며 문법은 CSS와 로스코프로 측정된다.
닮았다. 주로 QML과 Javascript API를 섞어서 GUI 스마트폰 GUI를 통한 전체적인 동작을 확인하기
개발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해 Fig. 6과 같은 통합 시험 환경을 구성하였다.
Fig. 4는 순음청력검사를 위해 개발된 GUI 화면을 적용된 순음청력검사방법은 하강법이며, 각 주파
나타낸다. 순음청력검사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수(250Hz, 500Hz, 1000Hz, 2000Hz, 4000Hz, 8000Hz)

본 논문에서는 청력검사 방법들 중에서 하강법[11, 에 대하여 오른쪽 귀와 왼쪽 귀의 청력역치를 측정한 뒤


12]을 사용하여 250Hz, 500Hz, 1000Hz, 2000Hz, 4000 Fig. 7과 같이 그래프로 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Hz, 8000Hz 6개의 주파수에 대해 순차적으로 진행하
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중도난청에 해당하는, 60dB

HL 이상의 소리를 들을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였고,


60dB HL ∼ 20dB HL 까지 5dB 간격으로 청력역치를
측정하여 그래프로 표현하였다. 측정결과 또한 일반
사용자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Subtlety, Sensi-

tive, Nomal hearing, Mid hearing loss, Severe

hearing loss로 나누어 표현하였다.

Fig. 5. Electroacoustics test block diagram.

Fig. 4. GUI screen shot of pure tone audiometry.

3. 실험 및 결과

3.1 통합 시험

구현된 순음청력검사기의 전체적인 통합 테스트 Fig. 6. Integration test of IoT based audiometry device.
266 멀티미디어학회 논문지 제21권 제2호(2018. 2)

(Tektronix, MSO4034)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스


마트폰에서 블루투스를 통해 전달되는 명령패킷에
따라 IoT 기반의 청각 검사기 개발보드에서 순음 주
파수를 발생하도록 하여 100Hz, 500Hz, 800Hz, 1000

Hz, 1600Hz, 2500Hz, 8000Hz의 주파수에 대해 테스


트한 결과를 Fig. 8에서 보였다. 각 주파수별로 한
주기의 시간을 측정해 본 결과 10ms, 2ms, 1.25ms,

1ms, 628μs, 400μs, 125μs로 측정되어 순음청력검사

Fig. 7. GUI screen shot of pure tone audiometry.


에 사용될 자극신호로서 다양한 주파수 발생이 가능
함을 확인하였다.

3.2 순음 주파수 실험
3.3 최대출력음압 실험
순음청력검사를 위한 자극신호로 사용되는 순음
주파수는 주로 100 ∼
8000Hz 사이의 주파수를 사용 순음청력검사에서 자극음은 최대 120dB SPL 이
한다. 순음 주파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오실로스코프 상 발생되어야 하므로 주파수 500Hz, 800Hz, 1000

100Hz 500Hz

800Hz 1000Hz

1600Hz 2500Hz

8000Hz

Fig. 8. Result of pure tone frequency test.


IoT 기반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호환성을 갖는 순음청력 검사기 267

Hz, 1600Hz, 2500Hz 순음신호를 발생시키고 오디오 몇 dB SPL인지 변환한 결과 최대 출력 음압 레벨


코덱과 증폭기를 통한 최대 출력음압을 측정하였다. 목표치인 120dB SPL 이상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최대출력음압레벨을 확인하기 위하여 출력단에 소
    
 × ×  (2)
형 스피커(Knowles, GQ-30783)을 연결하고 발생된
  
순음은 더미헤드(dummy head)의 외이도 내부에 위  
   log     
  
(3)
치한 프로브 마이크로폰(probe microphone, ER-7C)

팁에 전달되도록 하였다. 전달된 순음의 최대 출력전


3.4 소프트웨어 의존성 실험
압(VOp-p)의 음압레벨이 몇 dB SPL인지 확인하기
위한 기준을 정하기 위해서 프로브 마이크로폰을 사 소프트웨어 의존성 극복을 목적으로 크로스 플랫
용하였다. 프로브 마이크로폰의 특성은 94dB일 때 폼을 사용하여 개발된 GUI을 실험하기 위하여 5종류
50mVrms 값을 가지므로, 기준전압(VBp-p)는 식(2) 의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Windows 시스템의 경우
에 의해 약 141.42 mVp-p로 계산된다. 오실로스코프 소프트웨어는 Windows 7 64bit를 사용하였고 하드
로 측정된 주파수별 최대 출력전압(VOp-p)은 Fig. 웨어는 AMD Fx(tm)6100 Six-Core 3.30GHz, 8GB

9 및 Table 2와 같다. RAM를 사용하였다. Mac 시스템의 경우는 MacOS

식(3)에 의하여 94dB SPL에 상응하는 기준전압 Sierra 10.12.4와 MacBook Pro Interl Core i7 2GHz,

(VBp-p) 대 출력전압(VOp-p)의 비로 출력전압이 8GB RAM을 사용하였으며, Linux 시스템의 경우에

500Hz 800Hz

1000Hz 1600Hz

2500Hz

Fig. 9. Maximum pure tone output test result.

Table 2. Maximum puretone output test result

Frequency (Hz) 500 800 1000 1600 2500

VOp-p(V) 4.04 4.12 4.20 3.88 5.00

Maximum puretone (dB SPL) 123.11 123.28 123.45 122.76 124.97


268 멀티미디어학회 논문지 제21권 제2호(2018. 2)

는 ubuntu 16.04 LTS 64bit와 Intel Core i5-3550 4. 결 론


3.3GHz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iOS 시스템의 경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사물인터넷 기술이
우에는 iOS 9.0과 iPhone 6S를 사용하였으며, An-
활성화 되면서 헬스케어를 위한 다양한 IoT 기반의
droid 시스템은 Android 5.1와 LG G4를 사용하였다.
헬스케어 디바이스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시대
Windows, Linux, MacOS, Android, iOS, 시스템에
적인 흐름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크로스 플랫폼을
서 동작하는 GUI 화면을 캡처영상을 Fig. 10에서 보
활용하여 소프트웨어 플랫폼 호환성을 높이고 하드
였다. 화면 상단을 보면 플랫폼별 확인이 가능하며
웨어 차이로 발생하는 음압레벨 보정이 필요없는 IoT
개발된 GUI가 각 플랫폼에 동작함을 알 수 있었다.
기반의 순음청력검사기를 구현하였다. 지금까지 순
다만 시스템 마다 블루투스 칩셋의 차이로 발생하는
음청력검사는 병원이나 보청기 판매점에서 주로 이
일부 호환 문제는 추가적인 튜닝작업이 필요하지만
루어졌으며, 최근에는 일반인들이 쉽게 청각검사를
대부분의 코드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문제없이 동작
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앱으로도 많이 개발되었다.
하였다. 향후 GUI 개발은 Windows, Linux, MacOS,
그러나 개발된 앱은 순음발생시 스마트폰의 하드웨
Android, iOS와 같은 플랫폼을 활용하여 난청인의
어적 의존성이 있어 다양한 스마트폰에 일괄적으로
특성에 맞춘 다양한 추가적인 검사 방법의 개발도
적용되기 어려우며 각 하드웨어에 따른 보정이 필수
가능하며 본 논문에서 구현한 개인용 검사 기능뿐만
적이다. 또한 스마트폰에 적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아니라 병원에서 사용하는 전문적인 기능까지 구현
플랫폼이 다양하여 각 플랫폼별로 소프트웨어를 개
이 가능하다.
발하여야 하므로 개발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Windows MacOS Linux

iOS Android

Fig. 10. GUI screen shot of various S/W platform.


IoT 기반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호환성을 갖는 순음청력 검사기 269

본 논문에서 구현된 순음청력검사기는 난청인의 tory Speech Audiometric System," The Tran-

나이, 난청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될 sactions of The Korean I nstitute of Electrical
수 있으므로 검사방법에 따라 요구되는 GUI들의 개 Engineers, Vol. 58, No. 3, pp. 645-654, 2009.
발이 가능하다. 특히 유아의 경우 자극 음에 대한 응 [ 6 ] C.H. Park, J.S. Park, H.Y. Suk, J.H. Han, M.Y.

답이 어렵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을 포함한 검사방법 Lee, S.D. Heo, and et al, “Development of a

이나 스마트폰을 활용한 게임적인 요소를 적용한 새 Pure Tone Evaluation App. for Android Smart

로운 검사방법의 개발도 가능하다. 또한 구현된 IoT Phone,” P roceeding of the F all Conference of

기반의 순음청력검사기를 사용하여 하드웨어 지식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and Ass-


이 부족한 앱 개발자들도 다양한 시나리오를 적용한 istive Technology Society of Korea, pp. 26-29,
순음청력검사용 앱 개발을 비교적 용이하게 할 수 2015.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결과는 IoT 기반 [ 7 ] K. Lee, S.I. Kang, G.S. Park, and S.M. Lee,

헬스케어 디바이스 개발 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Development of Smart Phone Application

의존성 극복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with User Fitting for Hearing Impaired in

Various Environment,” J ournal of Rehabilita-

REFERENCE tion Welfare Engineering and Assistive Te-


chnology, Vol. 9, No. 2, pp. 121-128, 2015.
[ 1 ] FDA Innovation for Digital Healthcare Inno- [ 8 ] PIC32MX470F512H-Microcontrollers and Pro-
vation, http://www.yoonsupchoi.com/2017/08/ cessors, ICROCHIP, http://www.microchip.
10/ digital-health-innovation-action-plan-2/, com/wwwproducts/en/PIC32MX470F512H,
(accessed Aug., 10, 2017). (accessed Oct., 10, 2017).
[ 2 ] J.N. Lee, G.H. Lee, S.D. Na, K.W. Seong, J.H. [ 9 ] BC127 Bluetooth 4.2 Module, https://www.
Cho, and M.N. Kim, "Noise Cacellation Algor- sierrawireless.com/products-and-solutions/
ithm of Bone Conduction Speech Signal Using embedded-solutions/wifi-bluetooth-mod-
Feature of Noise in Separated Band," J ournal ules/, (accessed Oct., 10, 2017).
of Korea M ultimedia Society, Vol. 19, No. 2, [10] Qt Bluetooth and Its State of the Union,
pp. 128-137, 2016. http://blog.qt.io/blog/2015/06/29/qt-blue-
[ 3 ] A.M. Goman, N.S. Reed, and F.R. Lin, “Add- tooth-and-its-state-of-the-union/, (accessed
ressing Estimated Hearing Loss in Adults in Oct., 07, 2017).

2060,” J AM A Otolaryngology N eck Surgery, [11] The Korean Audiological Society, H earing

Vol. 143, No. 7, pp. 733-734, 2017. Test Guidelines, Hakjisa Publishers, Seoul,
[ 4 ]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urvey on the [12] Korea Standards Association, Acoustics-P ure

Status of P ersons with D isabilities in 2014, Tone Air Conduction Threshold Audiometry
2015. for Hearing Conservation P urposes KS I ISO
[ 5 ] S.W. Shin, K.S. Kim, S.M Lee, W.J. Im, J.W. 6189:2014, 2014.
Lee, and D.J. Kim, "Development of Ambula-
270 멀티미디어학회 논문지 제21권 제2호(2018. 2)

강 성 호 성 기 웅
2002년 2월 국가평생교육진흥원 1998년 2월 경북대학교 전자공학
컴퓨터과학과(공학사) 과(공학사)
2018년 2월 경북대학교 대학원 의 2000년 2월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
용생체공학과(공학석사) 자공학과(공학석사)

2007년 현재 오큐브주식회사 전 2010년 2월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
무이사 자공학과 (공학박사)

관심분야 : 생체신호처리, 양이 보청기, 의학영상처리 2012년∼


현재 경북대학교병원 의공학과 임상조교수
관심분야 : 청각 전달 매커니즘, 이식형 보청기

이 정 현
2002년 2월 경북대학교 전자전기
조 진 호
공학부(공학사) 1977년 2월 경북대학교 공업교육
2004년 2월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 학과 졸업 (공학사)
자공학과 (공학석사) 1979년 2월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
2008년 2월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 자공학과 졸업(공학석사)
자공학과 (공학박사) 1988년 2월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
자공학과 졸업(공학박사)
2008년~2016년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의공학과 임상조
교수 1984년~현재경북대학교 IT대학 전자공학부 교수
2016년~현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조교수 관심분야 : 의용전자, 생체신호처리, 이식형 보청기
관심분야 : 생체텔레메트리시스템, 양이 보청기

김 명 남
1988년 2월 경북대학교 전자공학
과(공학사)
1990년 2월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
자공학과(공학석사)
1995년 2월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
자공학과(공학박사)

1996년~현재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주임교수


관심분야 : 생체신호처리시스템, 의학영상처리, 청각재
활기기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