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뮤지컬 음악과 영화 음악에 나타난 음화법 사용에 대한 고찰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78

석사학위논문

현대 뮤지컬 음악과 영화 음악에 나타난

음화법(音畵法) 사용에 대한 고찰

상명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컴퓨터음악전공

김 민 영
2 0 0 8 학년도
현대 뮤지컬 음악과 영화 음악에 나타난

음화법(音畵法) 사용에 대한 고찰

지도교수 정 순 도

이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상명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컴퓨터음악전공

김 민 영

2008 년 월
김 민 영의
석사 학위 논문 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8 년 월
목 차

악보목차 ··································································· iii

표목차 ······································································ v

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방법 ····························································· 2

C. 연구의 제한점 ························································ 3

II 음화법(音畵法)의 배경 ················································ 4

A. 음화법이란? ·························································· 4

B. 시대적 흐름에 따른 음화법의 사용 ······························· 5

1. 중세 음악에 나타난 음화법 ······································ 5

2. 르네상스 음악에 나타난 음화법 ·································· 7

3. 바로크 음악에 나타난 음화법 ····································· 8

4. 고전주의 음악에 나타난 음화법 ·································· 13

5. 낭만주의 음악에 나타난 음화법 ·································· 14

6. 20세기 음악에 나타난 음화법 ····································· 17

III 현대 뮤지컬 음악과 영화 음악에 사용된 음화법 ················ 21

- iv -
A. 뮤지컬 음악에 사용된 음화법 ····································· 21

1. ‘레미제라블’과 ‘오페라의 유령’의 음악에 나타난 음화법 정리 21

1.1 악기의 특성과 연주 기법에 의한 음색의 효과 ··············· 23

1.2 음정의 변화와 협화, 불협화 음정의 특성 ····················· 27

1.3 박자의 특성 ······················································· 31

1.4 조성의 특성과 전조의 역할 ····································· 33

1.5 반복의 의한 효과 ················································· 37

1.6 가사그리기 기법 ·················································· 39

1.7 라이트 모티브의 사용 ··········································· 41

B. 영화 음악에 사용된 음화법 ········································ 42

1. ‘오멘’과 ‘실미도’ 음악에 나타난 음화법 정리 ·················· 42

1.1 악기의 특성과 연주 기법에 의한 음색의 효과 ··············· 44

1.2 음정의 변화와 협화, 불협화 음정의 특성 ····················· 49

1.3 조성의 특성과 전조의 역할 ····································· 51

1.4 다이나믹의 역할 ················································· 53

1.5 반복의 의한 효과 ················································ 55

1.6 리듬의 역할 ······················································· 57

IV 결론 ···································································· 60

참고문헌 ··································································· 62

- v -
Abstract ··································································· 64

악 보 목 차

<악보 1> 토마스 윌키스의 ‘베스타가 언덕을 내려올 때’ 中 ······· 7

<악보 2> 헨델의 메시아 3곡 ‘골짜기마다 돋우어지며’ 中 ········· 9

<악보 3> 비발디 사계 中 봄 제1주제 ································ 12

<악보 4> 비발디 사계 中 봄 제2주제 ································ 12

<악보 5> 비발디 사계 中 봄 제3주제 ································ 13

<악보 6> 림스키 코르샤코프의 ‘왕벌의 비행’ ······················· 16

<악보 7> 메시앙 ‘7편의 하이카이’ 中 3악장 ························ 19

<악보 8> 레미제라블 ‘What have I done?’ 中 23

<악보 9> 레미제라블 ‘At the end of the day’ 中 24

<악보 10> 레미제라블 ‘Master of the house’ 中 25

<악보 11> 오페라의 유령 ‘Think of me' 中 26

<악보 12> 레미제라블 ‘What have I done?’ 中 27

<악보 13> 레미제라블 ‘One day more’ 中 28

<악보 14> 레미제라블 ‘Who am I?’ 中 29

<악보 15> 오페라의 유령 ‘I remember/Stranger than you..’ 中 30

<악보 16> 레미제라블 ‘At the end of the day’ 中 31

<악보 17> 오페라의 유령 ‘Angel of music' 中 32

- vi -
<악보 18> 레미제라블 ‘At the end of the day’ 中 33

<악보 19> 레미제라블 ‘Castle on the cloud’ 中 34

<악보 20> 레미제라블 ‘On my own’ 中 35

<악보 21> 오페라의 유령 ‘I remember/Stranger than you..’ 中 36

<악보 22> 레미제라블 ‘What have I done?’ 中 37

<악보 23> 오페라의 유령 ‘The music of the night’ 中 38

<악보 24> 레미제라블 ‘Bring him home’ 中 39

<악보 25> 레미제라블 ‘Empty chairs empty tables’ 中 40

<악보 26> 레미제라블 ‘Turning’ 中 40

<악보 27> 오페라의 유령 ‘Overture' 中 41

<악보 28> 오멘의 ‘Ave Satani' 中 45

<악보 29> 오멘의 ‘Ave Satani' 中 여성 합창 글리산도 46

<악보 30> 오멘의 ‘Ave Satani' 中 muted Horn 46

<악보 31> 오멘의 ‘Ave Satani' 中 Violin의 고음 46

<악보 32> 오멘의 ‘The Bed' 中 47

<악보 33> 영화 [실미도] 中 세줄 타기 훈련에서의 음악 48

<악보 34> 영화 [실미도] 中 사격 훈련장에서의 음악 48

<악보 35> 영화 [실미도] 中 음정의 변화 50

<악보 36> 영화 [실미도] 中 불협화음 50

<악보 37> 영화 [실미도] 中 E minor 전조1 51

- vii -
<악보 38> 영화 [실미도] 中 E minor 전조2 52

<악보 39> 영화 [실미도] 中 B minor 전조 53

<악보 40> 영화 [실미도] 中 다이나믹 54

<악보 41> 오멘의 ‘The Demis of Mrs. Baylock’ 中 56

<악보 42> 오멘의 ‘Ave Satani' 中 56

<악보 43> 실미도 中 셋잇단음표1 57

<악보 44> 실미도 中 셋잇단음표2 58

<악보 45> 실미도 中 셋잇단음표와 긴 음 59

- viii -
표 목 차

<표1> 바로크 초기의 음화법 규칙 정리 ······························ 10

- ix -
논 문 개 요

시대마다 음악에 담긴 의미를 표현하려는 표현기법이 발전되었고, 그


기법에 의해 음악은 소리 이상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종교 의식, 서민들
의 생활모습, 인간의 감정, 자연의 묘사, 시대적 상황 등 모든 의미들을

담아 음악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작곡가들은 그에 맞는 음악 기법들을 사


용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기법들을 ‘음화법’이라는 단어로 사용하고 있다.

현대에 접어들면서 음악은 각종 문화 예술과 함께 의미를 전달하는 역


할로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공연예술, 영상예술 등 작품의 의미를 효
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음악의 창조는 필수적이 되었다. 그래서 본 논문

은 시대별로 음화법의 발전으로 알아보고, 현대 뮤지컬 음악과 영화 음악


을 분석하여 그 의미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나타내었는지 연구 하고자 하
였다.

먼저 중세시대부터 20세기까지 나타난 음화법에 대해서 살펴봄으로 각


시대별로 음악과 사회.문화가 함께 어우러져 음악에서 그 시대에 다양한
의미들을 표현해 내려는 새로운 음악 표현 기법들이 생겨났음을 알아보았

다. 그리고 현대 뮤지컬 음악과 영화 음악을 연구함으로 지금은 어떤 음


화법들이 사용되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그 음화법들의 사용으로 어떤 효
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중세시대에는 음악이 카톨릭 성당의 예배 의식 안에서 발전이 되었다.


그레고리오 성가인 단선율 성악 노래가 이 시대 음악의 대표였다. 이때부

- x -
터 작곡가들은 언어의 특성과 선율을 잘 조합시키는 것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고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에 오면서 이것이 ‘가사 그리기 기법’

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에 들어오면서 음악은 단


선율이 아닌 다성음악으로 발전되었고, 여러 악기의 사용이 시작되었으며,
작곡가들은 가사 그리기 기법과 함께 음악 안에서 감정이 표현되어지고,

외적인 현상이 묘사되는 것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고전주의 시대에 와서는 오케스트라가 발전 되면서 각 악기의 음색과,
연주 기법으로 음색에 대해 더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었고, 짜임새, 조성,

리듬, 화성. 셈여림, 악기법, 템포, 등의 활달한 변화와 발전으로 인해 음


화법의 가능성은 더 풍부해졌고, 그로 인한 효과 역시 더욱 증폭되었다.
낭만주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작곡가들은 자기 표현과 개성을 중시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형성 된 음악의 틀을 하나씩 깨트리기 시작했다. 불협


화음의 사용과 반음계적 화성 사용, 민족주의 적인 요소의 사용 등으로
작곡가들은 더욱더 섬세하게 음악에 담긴 감정과 의미들을 표현할 수 있

었다.
20세기에 들어가면서 음악적인 기본 틀들은 거의 다 깨지기 시작하였
다. 라이트모티브가 확립되었고, 전자음악이 발달되었다.

이렇게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음화법은 발전 되었고, 지금 현재 우리가


접하고 있는 각종 문화 예술 안에서의 음악은 어떤 음화법을 사용하여 우
리에게 그 의미들을 전달하고 있는지 현대의 뮤지컬 음악들과 영화 음악

들을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현대의 음화법은 조성과 박자의 특성, 전조와 변박, 악기의 음색과 주
법, 가사그리기 기법, 리듬과 선율의 반복과 변화, 주제 변화와 주제 반복

에 의한 기법, 음정와 변화와 셈여림의 변화에 의한 기법들이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음화법 사용 방법에 따라 장면이 전화되고, 미래가

- xi -
암시되고, 전체의 분위기를 구성. 관리하였다. 대사를 강조하기도 하고, 상
황을 설명해 주기도 하며, 등장인물의 성격을 묘사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긴장. 불안. 공포. 행복. 기쁨. 환희, 슬픔. 절망. 희망 등 감정을 나타내 주
기도 하였다.
이러한 음화법의 종류와 효과들은 중세시대부터 지금까지 하나씩 발전

되고, 변화되온 것들의 산물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더욱더


음악예술이 사람들의 삶과 문화 가운데서 사실적으로 다가가고, 사람들과
함께 호흡할 수 있도록 음화법들에 대해 연구하고, 그로 인한 효과들을

관찰하여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xii -
I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시대를 초월하여 음악예술은 조화와 균형을 추구해왔다. 창조적인 음악


가들은 작품의 주제와 맞는 적절한 표현기법을 사용함으로 자신이 만들어
내는 작품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노력하였다.

시대마다 새로운 사조들이 나타나고 사라졌다. 시대마다 표현기법의 차


이가 있었다. 그러나 작품에 대한 의미전달이라는 소정의 목표를 달성하

기 위해 창조적인 음악가들은 자신이 가진 역량을 다 동원하였다.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음악가들은 악기사용의 변화, 화성적인 진행의 변화, 연주
적인 기법의 변화, 선율적인 변화 등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하였다.

음악에 담긴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어진 방법들이 시대에 따라


각각의 이름으로 불려지지만 여기서는 모든 것을 ‘음화법’이라는 단어로
통일시켜 이야기하고자 한다.

'음화법'이라는 단어의 사용은 바로크시대부터 사용되어졌다. 그러나 단


어의 사용이 바로크시대이지 음화법이 생겨난 시대가 바로크시대라는 말
은 아니다. 기록되어진 음악시대 훨씬 이전부터, 인간이 소리를 사용하기

시작한 순간부터 음화법은 사용되어지고 있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음악가들은 음악이 담고 있는 의미에 따라 느낌, 색채,
분위기, 에너지, 이미지 등에 대한 자신의 나름대로의 깨달음과 이해를 가

- 1 -
지고 또한 대중의 상식에서 수용이 가능한 범위에서 음악을 만들어 냈다.
음화법은 바로크시대, 르네상스시대, 등등 시대를 초월하여 사용되어졌다.

음화법은 헨델, 비발디, 드뷔시 등등 많은 작곡가를 불문하고 사용되어졌


으며 또한 클래식 뮤지컬, 영화음악, 장르를 뛰어넘어 사용되어졌다. '음화
법'은 과거와 현재의 음악을 이어주는 하나의 고리 역할을 하며 현재의

음악을 만드는 데에도 표현기법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이


중요한 표현기법이 과거에 어떠한 방법으로 사용되어졌고 변화되어졌는지
에 대한 개괄적 언급과 더 나아가 심도 있게 현재의 뮤지컬과 영화음악을

중심으로 어떻게 사용되어졌는지를 고찰하였다.

B. 연구 방법

시대와 작곡가와 장르를 초월한 음화법에 대한 고찰은 범위가 넓다.


음화법은 과거와 현재에 기법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과거에 개괄적인 음

화법 사용에 대한 언급이 필요하다. 그리고 현시대의 음악에서는 대중에


게 잘 알려진 뮤지컬 음악과 영화음악에 대한 심도 있는 곡 분석과 연구
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연구의 수월함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시대구분에 따른 개괄적인 음화법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중세,

르네상스, 바로크, 고전주의, 낭만주의, 20세기 음악에 나타난 음화법을 살


펴봄으로 음화법의 시대적 사용에 대한 내용들을 고찰, 정리하였다.

둘째, 현 시대의 음악으로는 대중들에게 알려진 뮤지컬 음악 (레미제라


블, 미스사이공, 오페라의 유령, 로미오와 줄리엣)과 영화음악(오멘, 스타

- 2 -
워즈, 쉰들러리스트, 실미도)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현시대의 음화법 사
용에 대한 내용들을 분석, 고찰하였다

셋째, 각 시대적인 음화법 사용에 대한 고찰과 뮤지컬과 영화음악에 대


한 분석 고찰을 통해 음화법에 대한 종합적인 정리와 비평을 하였다.

C. 연구의 제한점

이 논문을 진행함에 있어서 음화법에 대한 자료가 거의 전무하다는 사


실을 알게 되었다. 또한 뮤지컬 음악을 연구함에 있어서 뮤지컬은 DVD나
비디오로 공연이 나와있는 경우가 극히 드물어 예전에 보았던 악보와 함

께 공연을 기억하며 연구해야했다. 그리고 뮤지컬과 영화 모두 전곡을 담


은 총보를 구하기가 어려워서 많은 경우 보컬과 피아노 또는 피아노로만
편곡된 악보들을 사용해야 했고, 그것도 없는 경우가 많아 분석함에 있어

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음악은 소리이다. 그러나 논문의 특성상 글에는 소리를 담을 수 없다
는 것이 아쉬움을 남게 한다.

- 3 -
II 음화법의 배경

A. 음화법(音畵法)이란?

음화법은 한자로 소리 음(音). 그림 화(畵). 법 법(法). 으로 쓰여진다. 이

는 즉 ‘소리를 그림처럼 나타내는 법’을 의미하는 것이다.


중세시대부터 지금까지 수많은 작곡가들은 음악을 사용하여 이념과 감
정, 가사를 표현 또는 재현시키려고 노력하였다.

중세시대에는 언어가 가지는 톡특함을 음악. 즉 석율적으로 살리려고


노력하였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작곡가들이 가사의 내용을 음화적으로 표
출하려는 의욕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가사 그리기(word painting), 반음

계, 화성, 장식음, 리듬과 짜임새의 대비 등을 통해 가사를 마치 눈앞에


보듯이 생생하게 표현하는 음악을 '뮤지카 레제르바타'(musica reservata)
라 하였으며 조스켕 데 프레에 의해 확립되었다. 바로크 시대에 들어와서

는 슬픔, 기쁨, 분노 등의 감정들을 음악으로 묘사하는 감정이론, 가사의


의미나 감정 등을 표현하기 위해 특별한 음형적 규칙을 규정하고 반음계,
선율, 화성 등을 사용하여 의미들을 나타내는 음형이론이 나타났다. 고전

주의를 거쳐 낭만주의 시대에는 바그너에 의하여 곡의 주제를 되풀이함으


로 극의 진행을 암시하고, 악곡의 통일하며 각각의 인물이나 사물에 특정
주제 음악을 주어서 그 인물의 상황이나 내면을 그려주는 라이트모티브

기법이 확립되었다. 20세기에 들어와서도 음악과 언어. 감정을 결합시키려

- 4 -
는 작곡가들의 노력은 계속 되었고, 컴퓨터의 발달과 대중매체의 발달로
이러한 필요와 욕구는 더욱 증가되었다.

이러한 모든 음악적 표현을 이 논문에서는 통틀어 ‘소리를 그림처럼 나


타내는 법’. 즉 ‘음화법’이라는 단어로 사용하고자 한다.

B. 시대적 흐름에 따른 음화법의 사용

1. 중세 음악(450~1450)에 나타난 음화법

중세에는 카톨릭 성당이 음악을 지배했다. 음악가들은 거의 성당을 위

해 음악을 만들었고, 수도원들은 특정 기도나 예배 의식 때마다 그에 따


른 노래를 불렀다. 그래서 중세 음악은 대부분 성악 음악이며 악기는 주
로 반주를 위해 사용되었다. 그 중 오르간이 가장 많이 쓰였는데 중세 음

악의 대부분이 성당에서의 음악이므로 현대에 와서 합창과 오르간을 이용


할 때 이로 인하여 종교적인 느낌, 특히 성당을 연상케 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렇게 예배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성가가 그레고리오 성가이다. 그레고


리오 성가는 반주가 없는 단선율 성가로서 선율은 교회선법1)을 사용하여
라틴어의 성격과 가사의 내용에 의지하여 만들어졌다. 성서를 바탕으로,

특히 시편의 내용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그레고리오 성가는 가사 중심의


성악 음악이었다. 외형적으로 볼 때는 마디와 규칙적인 리듬이 없어서 무

1)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장·단음계가 성립하기 이전의 선법으로서 중세·르네상스시대


에 서양음악의 기초를 이룬 음계이다. 7개의 서로 다른 음들과 제 1음을 옥타브
중복하는 제 8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회선법은 정격선법과 변격선법으로 나뉘는
데 정격선법은, 'D'음에서 시작하는 도리아선법(Dorian mode), 'E'음에서 시작하는
프리지아선법(Phrygian mode), ‘F'음에서 시작하는 리디아선법(Lydian mode), ’G'
음에서 시작하는 믹소리디아선법(Mixolydian mode)이 있고, 변격선법은 정격선법
의 4도 아래의 음에 '히포(Hypo)'를 붙여, 히포도리아선법, 히포프리지아선법, 히포
리디아선법 그리고 히포믹솔리디아선법이라 하여 모두 8개의 선법을 이룬다.

- 5 -
질서하게 보일 수 있으나 네우마2)를 구성하고 있는 음들이 자연스럽게
가사와 연결되어 멜로디의 흐름과 가사가 절묘하게 연결되고 있다. 또한

도약 진행은 거의 없고 순차 진행으로 이루어져 있고, 가창이 가능한 범


위의 음역만 사용되어 많은 것에 제한되어 있는 듯 보인다. 그러나 장식
음을 사용하여 여러 모양으로 변화를 주어 정적인 요소와 동적인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다. 그레고리오 선율에는 특별한 감정이나 이야기를 서술


하는 효과를 주려고 노력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라틴어의 운율과 억양을
살려 선율을 만들어 노래한 그레고리오 선율은 르네상스 시대에 들어서서

가사 내용에 선율로 그림을 그린 ‘가사 그리기’ 기법에 첫 발판이 되었다.


수세기동안 작곡가들은 그레고리오 성가의 선율들을 기초로 새로운 곡들
을 썼다. 그레고리오 성가는 성가 자체로도 중요하지만, 음악적으로 좀 더

발전된 형태인 수많은 다성 음악의 재료로 사용되었다는 의미 또한 크


다.3)
700년에서 900년 사이에 이르러 그레고리오 성가에 하나 혹은 그 이상

의 새로운 선율을 덧붙이기 시작했다. 이를 오르가눔이라 부른다. 이로서


선율중심의 음악에서 화음이 생기기 시작한 것이다. 또한 작곡가들은 미
약하지만 종교 음악이 아닌 세속 가곡도 작곡했는데 연인의 사랑, 풍자적

인 시 등의 풍부한 소재를 다루었고 14세기 이탈리아에서 최초의 다성약


식인 마드리갈이 작곡되었다. 마드리갈은 전원적이고 연가적이며 풍자적
인 가사로 되어있으며 감성적인 가사로 인하여 르네상스 시대부터 본격적

인 음화법의 시작의 모태가 되었다.

2) 중세(8~15세기) 음악에서의 기보상의 기호. 성가를 낭창(朗唱)할 때 기억의 보조수


단으로서 손으로 선율의 움직임을 도식화한 데서 고안되어 15세기경에 완성되었
다.
3) Roger Kamien (1993). 『서양음악의 유산I』. 김학민(역)(서울: 예솔). p.p.120

- 6 -
<악보1> 토마스 윌키스의 ‘베스타가 언덕을 내려올 때’ 中

2. 르네상스 음악(1450~1600)에 나타난 음화법

르네상스 시대에 들어오면서 말과 음악 사이에 밀접한 관련이 이루어지


게 되었다. 가사가 의미하는 이미지를 선법, 선율, 리듬 등 여러 가지 음
악기법으로 나타내는 ‘가사 그리기(word painting)'기법이 사용되기 시작

한 것이다.음화법이란 용어는 바로크시대에 본격적으로 나오기 시작했으


나, 의미상으로 볼 때는 이 가사 그리기 기법이 음화법의 시작이라 볼 수
있는 것이다. 16세기의 음악 이론가인 차를리노(Zarlino)는 “말이 울음이

- 7 -
나 고통, 마음의 상처, 한숨, 눈물 등을 표현할 때, 화성으로 하여금 슬픔
을 가득 채우게 하라”라고 기술하고 있는데4) 이것은 르네상스 시대의 작

곡가들이 가사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을 보여


주고 있다. 가사 그리기 기법으로 인하여 같은 리듬을 반복하던 중세의
음악양식에서 탈피하여 자유로운 리듬을 사용하는 촉진제가 되었다.

가사 그리기 기법의 예를 들자면 ‘달리기’라는 말에서는 빠른 음표들이


연속으로 나오고, ‘죽음’이란 단어에서는 불협화음이, ‘올라감’이란 말에선

선율이 상행을, ‘내려옴’이란 말에선 선율을 하행을 그린다.


조스캥 데 프레는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 작곡가 중 한사람으로 그의
작품은 르네상스 음악어법의 정점을 나타내고 있다.5) 그의 작품은 크게

모테트.샹송.미사곡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중에 특히 모테트6)에서 무지카


레세르바타(musica reservata)7)가 주로 사용되어졌다. 화성 진행의 방법으
로 슬픔을 표현하고, 강조를 위해 긴장감을 주는 음악을 사용했으며, 가사

가 죽음을 말할 때는 선율을 가장 낮은 음역까지 끌어 내렸다. 그 외에도


자신의 음악에 캐논 기법과 대위법을 적용시켰으며, 음악 형식에 있어서
보다 더 자유로운 형식들을 사용하였다.

3. 바로크 음악(1600~1750)에 나타난 음화법

4) Roger Kamien (1993). 『서양음악의 유산I』. 김학민(역)(서울: 예솔). p.p.141

5) Donald H. van Ess (2000).『서양음악사 -음악양식의 유산-』. 안정모(역)(서울: 다


라). p.p116
6) 중세의 르네상스 시대를 전성기로 한 중요한 성악곡의 한 분류.
7) 가사의 의미가 음악에 함축되어 있다는 뜻으로, 음악이 가사에 더욱 밀착되어 가
사의 의미를 음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형식. 음화(Tone painting)라고도 한다.

- 8 -
바로크 시대에도 여전히 가사는 음악을 지배했고, 르네상스 시대보다
더욱 더 고양된 감정과 극적인 대조감을 나타내려 노력했다. 바로크 초기

에는 언어마다 일정한 음의 형태를 갖게 되었다. 음악을 통해 특정 단어


의 의미를 나타내려 했는데 예를 들면 높은 음은 ‘빛’. ‘태양’. ‘하늘’. ‘날
아감’ 등의 표현에 사용되었고, 낮은 음은 ‘밤’. ‘땅’. ‘깊음’ 등의 표현에

사용되었다. 또한 침착한 선율진행과 긴 음표는 ‘느린’. ‘긴’. ‘늦다’ 등의


표현에 사용되었고, 반음계적 진행은 ‘달콤함’. ‘울다’. ‘죽다’. ‘한숨’. ‘침묵
하다’ 등의 표현에 사용되었다.

<악보 2> 헨델의 메시아 3곡 ‘골짜기마다 돋우어지며’ 中

이 곡에는 가사그리기 기법이 사용되었는데 'every mountain and hill

made low'에 붙은 악구는 every mountain and hill에서는 상행을, made


low에서는 하행의 선율이 그려지고 있다.

'the crooked straight'에서는 ‘굽은 것’이라는 뜻의 crooked는 장2도 상하

행으로, 굽은 것을 표현하였고, ‘곧은’이라는 뜻의 straight는 B음 한음으


로 끌어주었다.

- 9 -
르네상스 시대와 바로크 시대의 음악은 음악적으로 다소간 차이는 있으
나 둘 다 ‘가사와 음악의 조화’와 ‘감정의 표현’, ‘외면적인 것의 묘사’에
대한 관심이 있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바로크 초기에 와서는 이러한 것

들이 규칙을 이루어 어떤 음악적 표현에 따라 일정한 언어나 감정, 외면


적인 것의 묘사를 갖게 되었는데 다음과 같다.

<표 1> 바로크 초기의 음화법 규칙 정리

‘올라가다’,‘높은 곳’,‘산’등의 내용과


선율의 상승진행 ‘주는 부활하셨다’,‘주는 높임을 받으셨다’ 등의
내용에 사용됨.
‘땅’,‘지옥’,'멸시‘,’종살이‘,’내려오다‘등의 내용에
선율의 하강진행
사용됨.
한 단어나 선율의
강조를 할 때 사용됨.
연속적 반복
음을 생략하는 것. ‘비었다’,‘기다림’등에 사용됨.
모든 성부가 쉼. (침묵) ‘죽음’의 표현에 사용됨.
한 선율 부분이
동일한 형태로 음정을
‘찬양하라’,‘높이라’,‘노래하라’등을 표현하는데
바꾸어 층계처럼
사용됨.
상승하는 것.
(Sequence)
아주 높임 ‘하나님’,‘하늘’ 등을 표현하는데 사용됨.
아주 낮춤 ‘지옥’등을 표현하는데 사용됨.
증.감 음정 사용 ‘타락’,‘흔들림’,‘혐오’등의 표현에 사용됨.
‘눈물’,‘비참함’,‘고통’ 등의 표현에 사용됨.
반음계적 진행 사용
마드리갈에서는 ‘달콤함’의 표현에도 사용됨.
선율이나 가사의
‘한숨’을 표현하는데 사용됨.
흐름이 쉼표에 의해

- 10 -
중단되는 것.

바로크 시대에 오페라가 등장했다. 오페라의 등장으로 인해 음악이 주


로 가사를 묘사해주던 것에서 더 나아가 극의 분위기와 성격, 극적 행위
까지 묘사해주게 되었다. 오페라는 서곡(overture)이라고 하는 관현악곡으

로 시작한다. 서곡은 앞으로 전개될 오페라에 포함된 음악 재료들을 한데


모아 만들어 청중을 극 전체의 분위기 속에 젖어들게 하기 위한 짧은 음
악적 진술이라 할 수 있다.8) 이 오페라의 서곡을 시작으로 현대에 와서까

지 영화나 뮤지컬등에서 이 서곡의 역할을 하는 main title이 만들어지고


있다. 그래서 각각의 영화나 뮤지컬의 main title만 들어도 그 영화나 뮤
지컬의 내용을 의례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바로크 시대에는 바이올린 족의 악기들에 기초한 오케스트라가 발전되


었다. 그래서 바하와 헨델, 비발디 등의 작곡가들은 오케스트라 악기들에
의한 음색들을 고려해 음악의 효과를 얻어내기 시작했다. 특히 클라우디

오 몬테베르디는 피치카토나 트레몰로와 같은 새로운 관현악 효과를 도입


하여 분노나 전쟁 등의 느낌을 불러일으켰다.
바로크 시대의 작고가 안토니오 비발디는 그의 작품 『사계』에서 봄과

여름, 가을, 겨울,의 각 계절과 연관된 특징을 음악으로 그렸다. 『사계』


중 봄을 살펴보면 바이올린의 높은 음에서의 트릴로 새소리를 나타내고
있고, G#음과 A음의 단2도 반복으로 냇물을 묘사하고 있으며, 상행의 빠

른 스케일로 천둥을 나타내고 있다. 비발디는 악기의 연주기법과 음색을


사용하여 ‘봄’이라는 계절의 특징을 잘 그려내었다.

8) Roger Kamien (1993). 『서양음악의 유산I』. 김학민(역)(서울: 예솔). p.p.194

- 11 -
<악보 3> 비발디 사계 中 봄 제1주제
바이올린의 높은 음에서의 트릴이 새소리를 묘사한다.

<악보 4> 비발디 사계 中 봄 제2주제


단2도 반복으로 졸졸 흐르는 냇물을 묘사한다.

- 12 -
<악보 5> 비발디 사계 中 봄 제3주제
현악 트레몰로와 빠른 스케일이 천둥과 번개를 묘사한다.

르네상스 시대까지는 음화법의 사용 방법이 가사 그리기 기법에 국한되


어 있었다. 그러나 바로크 시대에 와서는 오페라의 탄생과 오케스트라의

형성으로 인하여 음화법의 사용 방법이 더 확장되었음을 볼 수 있다.

- 13 -
4. 고전주의 음악(1750~1820)에 나타난 음화법

고전주의 시대에 와서는 음악에 있어 다양성과 대조가 강조되었다. 한


곡 안에서 다양한 느낌들과 리듬 패턴이 나오고, 당긴음과 쉼, 긴 음에서

짧은 음으로의 변화 등이 대조되어 나타났다. 오케스트라도 현악, 목관,


금관, 타악기의 4개 부분으로 표준화 되어 악기의 음색에 대해 더 다양하
게 사용할 수 있었고, 각 악기별 음색의 변화도 자주 주었다.

또한 하나의 동기를 가지고도 선율과 리듬, 셈여림과 악기의 변화를 통


하여 동기를 발전시키거나 변형시키고, 희극적인 느낌이나 비극적인 느낌
으로 바꾸기도 하였다.

고전주의 시대의 오케스트라 음악에 가장 크게 기여한 분야는 교향곡이


었다. 교향곡을 통해서 작곡가들은 오케스트라가 연주할 수 있는 가장 넓
은 음색과 샘여림, 음역을 구사하였다. 그리고 4개의 악장. 즉 활달한 빠

른 악장인 1악장, 느린 악장인 2악장, 춤곡의 3악장, 밝은 느낌의 4악장의


전형적 형태로 각 악장간의 템포와 분위기의 대조로 극적인 감정을 가능
케 하였다.

이렇게 고전주의 시대에 와서는 짜임새, 조성, 리듬, 셈여림, 악기법, 템


포, 동기 등의 변화와 발전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이로 인해 음악이 더
풍부해졌다. 음악에 나타난 감정과, 음악의 언어는 더욱더 방대해지고, 풍

부해질 수 있었던 시기이다.

5. 낭만주의 음악(1820~1900)에 나타난 음화법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은 무엇보다도 작곡가의 개성과 자기 표현이 강조

- 14 -
된 시기이다. 작곡가들은 자신의 개성과 자기 표현을 위해 음색을 중요시
하였고, 예전보다 훨씬 더 폭 넓고 다양하게 음악의 음색을 변화시켰다.

오케스트라에 악기를 더 포함 시키고, 관악기에 밸브를 추가하였으며, 목


관 악기 제조법의 개량 등 새로운 소리와 정확한 연주를 위해 많은 변화
를 시도하였다.

음색과 더불어 낭만주의 음악가들은 반음계적 화성이라는 새로운 화음


을 개발하여 화음을 자유롭게 구사하였다. 또한 화성은 곧 색채라 생각하
며 불협화음을 자유롭게 사용하였고 협화음으로 해결되는 것을 연장시켜

긴장과 이완의 느낌을 만들어냈다.


낭만주의 음악의 큰 변화 중 하나는 음악에 있어서의 민족주의이다. 낭
만주의 음악가들은 자신의 고국의 민요, 역사, 춤을 사용해서 민족 고유의

음악을 만들었다. 이로 인하여 다채로운 각 나라의 악기들과 재료들이 사


용되기 시작했고, 각 나라의 선율이 쓰여지기 시작했다. 이로 인하여 음악
을 들으면 그 나라의 분위기가 연상되어지는 음악적 화법이 생겨난 것이

다.
이 시기에는 시, 이야기, 생각 등과 연관된 표제음악이 발전하였다. 음
악에 붙은 표제에 대한 감정, 인물, 줄거리 등이 음악에서 묘사되었다.

표제음악 중 림스키 코르샤코프의『왕벌의 비행』을 살펴보겠다.


『왕벌의 비행』은 림스키 코르샤코프가 1900년에 작곡한 오페라 ‘술탄
황제의 이야기’ 중의 제2막 제1장에서 연주되는 음악이다. 제목 그대로 호

박벌떼가 백조의 주위를 날아다니는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 반음계 진행


으로 빠르고 공격적이며 쉬지 않고 백조를 공격하는 모습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8분음표로 한번 씩 나오는 반주부는 수백 마리의 벌떼가 무리 짓

는 모습과, 공격하는 모습을 잘 그려주고 있다.

- 15 -
<악보 6> 림스키 코르샤코프의 ‘왕벌의 비행’

- 16 -
낭만주의 시대에 강력한 영향력을 끼쳤으며 20세기의 새로운 음악으로
치닿게 한 바그너는 음화법에도 많은 공헌을 한 작곡가이다. 그는 문학과

음악, 연극을 통합하여 ‘음악극’이라는 새로운 형식을 창출하였다. 또한


음악극이 음악과 연극, 무용, 미술이 혼합된 ‘총체예술’이 될 것을 꿈꿨
다.9) 즉 바그너에게 음악은 음악 자체보다는 극적 표현을 위한 것이었다.

그는 라이트 모티브를 확립하였는데 이것은 음악적 주제나 동기를 가지고


서곡과 극 중에 되풀이 사용함으로써 극의 진행을 암시하고, 악곡의 통일
을 취하는 수법. 그리고 곡 중의 주요인물이나 사물, 특정한 감정 등을 상

징하는 동기를 만드는 기법으로 현재 모든 총체예술에서 사용되어지고 있


는 기법이다.
바그너는 오페라에서 오케스트라의 규모를 확대시켰고, 오케스트라를

색채스럽게 사용함으로 극의 내용과 등장인물의 생각이나 느낌등을 그려


내고자 했다. 또한 오케스트라의 연주로 홍수나 불길 등 시각적 무대 효
과를 음으로 나타내기도 했다.

그는 반음계적 화성, 불협화적 화성을 사용함으로 감정적인 긴장감을


만들어냈고, 조성의 움직임이나, 화음의 움직임으로 색채를 만들어내는 등
관중을 극에 감정이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낭만주의 후기의 작곡

가인 바그너에 의해 총체 예술의 음화법이 정리되어졌고, 새로운것들이


창출되어졌다.

6. 20세기 음악(1900~1950)에 나타난 음화법

지금까지 각 시대마다 일반적인 음악적 특징들이 나타났다. 그러나 20

세기에 와서는 그러한 한 시대의 일반적인 특징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

9) Roger Kamien (1993). 『서양음악의 유산I』. 김학민(역)(서울: 예솔). p.p.530

- 17 -
다. 이 시대에 행해지는 갖가지 실험과 점점 더 다양해지는 양식들은 과
거와 같이 하나의 통일된 양식을 도출해내기위한 일시적인 과도기 현상이

아니라, ‘다양성’ 그 자체가 20세기 음악을 특징짓는 요소라고 할 수 있


다.10) 20세기 이전까지는 그들이 살았던 시대에 따라 음악적인 양식들이
어느 정도 정해져 있었고, 통일되어 있었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와서는

더 이상 시대적 통일이 없기에 작곡가들은 작품의 거의 모든 부분을 자신


의 창의력과 상상력에 의존하여야 했다. 그들은 그 어느 때보다도 폭넓은
취사 선택권을 가지고 창작에 임했으며, 결과적으로 더욱더 실험적인 작

품을 창작 할 수 있게 되었다.11) 음악가들은 지금까지의 모든 관습적인


작곡 기법에서 벗어나 비 관습적인 리듬과, 음색, 선율, 짜임새를 추구하
기 시작했다. 조성이 사라지고, 불협화 음정과 협화음정의 구별 자체가 사

라졌으며, 소음도 음색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음악가들의 음악


언어들은 점점 불규칙해지면서 대중들에게는 서서히 멀어져갔다. 즉 이전
의 음악전통과의 급격한 단절과 함께 청중과 음악과의 거리도 단절된 것

이다. 이러한 음악적 흐름 안에서 음악이 청중들에게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 작곡가들도 있었다. 그 중 대표적인 인물이 힌데
미트이다. 힌데미트는 20세기의 대부분의 음악들은 의사소통의 기능을 상

실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는 ‘음악을 위한 음악’ 이라는 당시 음악사


조에 정면으로 대립되는 ‘쓸모있는 음악’. 즉 ‘실용음악’을 주창하였다.12)
그래서 그는 음악애호가들에 의해 실제로 연주될 수 있거나 기능성을 지

닌 실용음악들을 작곡했다.

10) 김문자.노영해.박미경.이석원.허영한 공저 (1998). 『들으며 배우는 서양음악사』.


(서울: 심설당). p.p.689
11) 김문자.노영해.박미경.이석원.허영한 공저 (1998). 『들으며 배우는 서양음악사』.
(서울: 심설당). p.p.690
12) 김문자.노영해.박미경.이석원.허영한 공저 (1998). 『들으며 배우는 서양음악사』.
(서울: 심설당). p.p.720

- 18 -
20세기의 작곡가들 중 쉔베르그나 알반 베르그, 베베른 같은 작곡가들
은 인간의 내면적인 심리들과 캐릭터들을 음정과 선율 등의 음악어법을

연구하여 표현하였다. 그 중 알반 베르그의 오페라 「보첵」은 20세기 초,


조성과 무조성을 결합하여 20세기 후반의 인간 고뇌와 갈등을 묘사한 표
현주의의 대표적 오페라 작품이다. 베르그의 「보첵」은 극적인 구성에

그만의 특별한 어법으로 음악적인 언어를 부여하였다. 특히 그는 음악과


가사를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바그너의 라이트 모티브의 영향을 받아 주제
적 동기들을 사용했다. 이 라이트 모티브들은 「보첵」에 계속 나오면서

인물 혹은 상황을 암시하고, 인물들의 심리적인 내면을 묘사해주며 음악


적으로 통일성을 더해주고 있다.
20세기 전반기와 후반기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 메시앙은 새로운 소리,

새로운 리듬과 화성, 음악과 삶 사이의 새로운 관계를 끊임없이 발견해냈


다.13) 그는 각종 새의 울음소리를 듣고 기보하여 그의 작품에 반영하였으
며, 거꾸로 진행시킬 수 없는 리듬, 비대칭적 리듬, 계속저음적 리듬 등

복합적이고 조직적인 리듬기법을 발전시켰다. 색채적 표현을 위한 화음을


연구하여 사용했으며, 또한 12음 기법에서 피치를 다루는 방법을 다른 음
악적 요소들 (음가, 강약, 음색 등)에까지 확대 적용함으로써 <총렬주의>

라는 개념을 탄생시켰다. 14)

<악보 7> 메시앙 ‘7편의 하이카이’ 中 3악장 - 피아노의 새소리 표현.

20세기의 두드러진 특징 가운데 하나는 과학의 급격한 발전이다. 특히

13) DJ. Grout (2002). 『서양음악사』. 서우석 외(역) (서울: 심설당). p.p.823
14) 김문자.노영해.박미경.이석원.허영한 공저 (1998). 『들으며 배우는 서양음악사』.
(서울: 심설당). p.p.809

- 19 -
1950년대 이후에는 전자매체의 발전에 관심을 가진 작곡가들이 기존의 전

통악기를 사용하지 않는 음악을 모색했고, 폭넓은 의미에서의 전자음악


시대로 들어가게 되었다.15) 프랑스 작곡가 쉐퍼를 중심으로 여러 음향을
녹음, 편집하여 음악을 만들었고, 슈톡하우젠에 의해 순수하게 전자음만을

활용하여 음악이 만들어졌으며, 슈톡하우젠의 <소년의 노래>에서는 전자


음향과 일반 음향을 결합하였다. 또한 실제연주와 전자음악을 결합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1960년대 들어 컴퓨터의 발전으로 인하여 컴퓨터가 작곡에 다양한 방식


으로 활용되었고, 미디의 개발로 더더욱 활성화 되었고 편리해졌다. 이렇
게 하여 지금 현대에 와서는 더욱더 편리하고 쉽게 다양한 대중매체와 음

악이 함께 사용되어질 수 있게 된 것이다.

15) 홍정수.김미옥.오희숙. 공저 (2006). 『두길 서양음악사』. (서울: 나남) p.p.538

- 20 -
III 현대 뮤지컬 음악과 영화 음악에 사용된 음화법
A. 뮤지컬 음악에 사용된 음화법

1. ‘레미제라블’과 ‘오페라의 유령’의 음악에 나타난 음화법 정리

뮤지컬 레미제라블, 오페라의 유령의 분석을 기준으로 현대 뮤지컬 음


악에 나타나는 음화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악기의 연주 기법에 의한 음색의 효과로 의미를 전달하였다. 레미제라

블에서는 스트링의 짧은 트릴로 떨림과 긴장의 효과를 주었고, 오보에의


얇은 음색과 미끄러지는 연주 기법으로 여관집 부부의 교활함을 표현해
주었다. 또 날카로운 금관악기의 글리산도로 순탄치 않을 미래를 암시하

였다.

- 21 -
음정의 변화를 통하여 효과를 내주었다. 레미제라블에서 장발장은 새로
운 삶을 시작하겠다는 자신의 굳은 결의를 옥타브 높아진 음정으로 노래

하였으며, 과거를 회상하며 초조한 마음을 노래할 때에는 첼로가 감5도의


불완전 음정을 연속으로 연주하여 불안한 심리와 갈등 잘 나타내주었다.
또 민중들이 one more day를 반복할 때 4도-6도-8도의 음정 도약으로 힘

차고 강한 의지가 나타났다. 오페라의 유령에서는 트라이톤과 완전5도의


도약의 반복으로 크리스틴의 마음의 긴장과 이완을 그렸다.
라이트모티브 사용에 의해 암시의 효과를 나타냈다. 오페라의 유령에서

유령이 나올 때 마다 함께 나오는 동기로 인해 유령이 나오지 않아도 음


악만 나오면 어디선가 유령이 있음을 알 수 있게 하였다.
가사그리기 기법을 사용하여 특정 단어를 잘 표현해주기도 했다. 레미

제라블에서 God on high의 가사 중 high에서 음정을 한 옥타브 올려서


표현하였다. 또 마리우스는 ‘더 이상 없다’ 라고 말하는 부분에서 곡의 가
장 낮은 음까지 하행하여 슬픔과 죄책감을 잘 표현하였다.

박자에 의해 상황을 표현해 주었다. 레미제라블에서는 민중들의 역동적


느낌을 주기 위해서 3박자 계통의 음악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오페라의
유령에서는 특정 인물에게 특정 박자를 부여함으로 각 인물을 잘 표현해

주었다.
조성의 특성과 전조에 의해 상황을 표현해주었다. minor 조성으로 암울
함과. 사회의 불만, 외로움 등을 표현하였고, major 조성으로 희망, 기쁨

을 나타내었다. 또한 minor에서 major로의 전조, #조에서 b조로의 전조를


통해 슬픔에서 희망으로, 상상에서 현실로 노래가 그려졌다.
마지막으로 오페라의 유령에서 오디션 장에서 오페라 하우스로, 유령의

가면을 벗기는 장면으로 장면이 전환 될 때 박자, 조성, 악기의 구성이 변


함으로 장면의 전환을 표현해 주었다.

- 22 -
1.1 악기의 특성과 연주 기법에 의한 음색의 효과

장발장이 자신의 과거를 버리고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단어인 'begin'을

노래할 때 금관악기가 A`-A``음까지 글리산도16)로 거칠게 올라간다. 금관


악기의 거친 글리산도가 장발장 삶의 새로운 시작을 알림과 동시에 앞으
로 쉽지만은 않을 새 인생을 짐작할 수 있게 표현해 주고 있다.

<악보 8> 레미제라블 ‘What have I done?’ 中

16) 글리산도 [glissando] : 글리산도란 높이가 다른 두 음 사이를 급속한 음계에 의해


미끄러지듯이 연주 하는 방법이다.

- 23 -
레미제라블에서 가난한 민중들의 분노를 담은 노래인 ‘At the end of
the day’에서는 노래의 단락이 끝날 때마다 스트링이 짧은 트릴을 연주한

다. 빠른 템포 안에서 중간 중간 단2도의 두 음을 짧은 트릴로 연주하여


떨림과 긴장의 느낌을 주는데 이는 민중들의 삶의 불안과 긴장을 나타내
주는 역할을 한고있다.

<악보 9> 레미제라블 ‘At the end of the day’ 中

- 24 -
레미제라블에서 유일하게 희극적인 요소를 가진 ‘Master of the house’
는 여관집 부부의 교활한 속셈과, 술집다운 분위기가 잘 드러난 곡이다.
저음에서 A음과 E음을 8분음표로 걷듯이 연주하는 튜바의 흐리멍텅한

소리와 금관악기의 지르는 듯한 소리 그리고 사람들의 합창은 술집의 분


위기를 잘 나타내주고 있다. 특히 스타카토 반주 사이에서 나오는 오보에
의 미끄러지는 듯한 짧은 선율은 여관집 부부의 교활함을 잘 표현해주고

있다.

<악보 10> 레미제라블 ‘Master of the house’ 中

- 25 -
오페라의 유령 ‘Think of me'는 크리스틴의 오디션 장면으로 피아노 반
주와 함께 조용히 흘러나오면서 시작된다. 16마디 후 12/8박자로 한마디

가 변박되면서 풀 오케스트라의 연주로 바뀌고, Eb major의 전조와 함께


한니발 공연으로 전환이 된다. 피아노 연주에서 풀 오케스트라로 연주가
바뀌면서 장면도 오디션에서 공연으로 바뀌는 효과가 뛰어나다.

<악보 11> 오페라의 유령 ‘Think of me' 中

- 26 -
1.2 음정의 변화와 협화, 불협화 음정의 특성

장발장은 ‘What have I done?’에서 자신의 과거를 괴로워하며 세상과


자신을 미워하다가 과거의 장발장을 버리고 새로운 시작을 결심한다. 결

심하는 순간 음악에서는 가사의 음정이 한 옥타브 높아진다. 한 옥타브


높아진 음정으로 인하여 소리가 더 강해지고 힘차게 증폭되는데 이는 새
로운 인생을 결심한 장발장의 굳은 결의를 잘 표현해 주고 있다.

<악보 12> 레미제라블 ‘What have I done?’ 中

- 27 -
레미제라블에 등장하는 모든 사람들이 다함께 부르는 ‘One day more’
는 각 인물들이 가지고 있는 주제들을 모두 이 곡에 담아 함께 부르고 있

다. 그 모든 것들이 내일이면 드러날 것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는 합창곡


이다.
마지막 one day more을 3번 노래하는 부분에서 4도 - 6도 - 8도로 2도

씩 협화음정으로 도약하여 점점 힘차고, 도약되어지고, 강하게 노래되어짐


으로 내일을 희망하는 인물들의 의지를 잘 그려주고 있다.

- 28 -
<악보 13> 레미제라블 ‘One day more’ 中

레미제라블의 ‘Who am I?’에서는 새로운 삶을 사는 장발장이 자베르로


부터 예전에 가석방 되었다가 달아난 죄수임을 의심받게 된다. 이때 자신

의 과거를 숨기고 계속 장발장으로 살 것인지, 자수하고 죄인으로 돌아갈


것인지 갈등하는 노래이다.
이 곡의 첫 부분은 자베르로부터 의심받게 되자 갈등하는 장발장의 고

백으로 시작된다. 하프와 함께 연주되는 첼로 선율이 감5도의 불완전 음


정의 연속으로 장발장의 불안함을 잘 그려주고 있다.

<악보 14> 레미제라블 ‘Who am I?’ 中

- 29 -
오페라의 유령에서 ‘I remember/Stranger than you dreamt it’은 처음

부분은 크리스틴의 회상하는 노래이다. Vn.과 Vl.이 Bb음과 C음을 계속


반복하며 기억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표현해주고 있다. 회상하는 크리스틴
의 선율을 분석하면 멜로디 안에 트라이톤과 완전5도의 도약이 반복적으

로 나오는데 이는 회상하는 크리스틴의 마음의 긴장과 이완을 그리고 있


다.

<악보 15> 오페라의 유령 ‘I remember/Stranger than you dreamt it’ 中

- 30 -
1.3 박자의 특성

레미제라블의 ‘At the end of the day’에서는 12/8박자라는 4박자 계열

과 빠른 템포와 8분음표로 이루어진 동일한 리듬의 진행으로 사회에 대한


그들의 불만과 삶에 대한 불안함을 그려내고 있다.

<악보 16> 레미제라블 ‘At the end of the day’ 中

- 31 -
오페라의 유령의 ‘Angel of music'은 음악의 천사에 대해 크리스틴이
맥에게 이야기하는 노래이다. 이들의 노래에서는 6/8박자인 3박자 계열을

사용하다가 뒷부분에 오페라의 유령이 노래하는 부분에서는 4/4박자로


변박하여 4박자 계열을 사용했다. 특정 인물에게 특정 박자를 부여함으로
각 인물들을 박자의 느낌으로 잘 표현해주고 있는 것이다.

<악보 17> 오페라의 유령 ‘Angel of music' 中

- 32 -
1.4 조성의 특성과 전조의 역할

레미제라블 ‘At the end of the day’에서는 가난한 민중들이 사회에 대


한 불만을 쏟아내다가 중간에 희망을 꿈꾸는 부분이 나온다. 이 때 음악

은 불만을 쏟아내던 f minor에서 F major로 조성을 바꾸어 희망을 그리


고 있다. 단조와 장조의 특성을 이용하여 불만과 슬픔에서 희망의 가사
내용을 그려주고 있는 것이다.

- 33 -
<악보 18> 레미제라블 ‘At the end of the day’ 中

레미제라블의 ‘Castle on the cloud’는 코제트가 여관집에서 하녀로 일


하면서 자신의 슬픔과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혼자 쓸쓸히 부르는 노래이

다. a minor의 단조를 사용함으로 슬픔을 잘 표현해주고 있고, 차가운


음색의 하프시코드와 하프의 반주로 연약한 코제트의 외로움을 잘 표현해
주고 있다.

<악보 19> 레미제라블 ‘Castle on the cloud’ 中

- 34 -
레미제라블 ‘On my own’은 코제트와 사랑을 나누는 마리우스를 지켜

보아야만 하는 에포닌의 노래로. 마리우스에 대한 자신의 사랑의 마음을


담은 노래이다.
에포닌은 처음에 상상 속에서 마리우스와 사랑을 하지만 곧 상상에서

나와 현실을 직시한다. 이때 노래는 상상 속에서의 사랑을 D major인 #


조로 현실을 직시하고 가슴아파 하는 부분에서는 Bb major인 b조로 전조
가 된다. #조의 밝은 느낌과 b조의 어두운 느낌을 잘 이용한 것이다.

<악보 20> 레미제라블 ‘On my own’ 中

오페라의 유령 ‘I remember/Stranger than you dreamt it’에서는 크리

스틴이 유령의 가면을 벗기는 순간 4/4박자로 변박되면서 빠르기가 빨라

- 35 -
진다. 또한 B minor 전조되면서 장면의 전환을 알린다. 현악기의 빠른 트
레몰로가 사용되어 극적인 상황을 잘 표현해주고 있으며, B minor 화음

을 강조한 8분음표의 연속 진행은 분노한 유령의 심정을 잘 그려주고 있


다.

<악보 21> 오페라의 유령 ‘I remember/Stranger than you dreamt it’ 中

- 36 -
1.5 반복의 의한 효과

레미제라블의 ‘What have I done?’은 너무나 오랫동안 감옥에 있었던


장발장이 그동안 죄인으로 살았던 과거를 잊고 새 사람이 되겠다고 다짐
하는 노래이다.

- 37 -
이 곡의 처음 부분에 장발장이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며 괴로워하는 가
사가 나온다. 이때 반주 부분에서 16분음표의 일정한 리듬의 연속과 3도

-1도의 음정이 크게 6도-5도로 반복 되면서 급하고 불안한 느낌을 조성하


여 과거로부터 벗어나고 싶어 하는 장발장의 마음을 잘 표현해 주고 있
다.

<악보 22> 레미제라블 ‘What have I done?’ 中

오페라의 유령 ‘The music of the night’은 유령이 크리스틴에게 자신의


음악에 대해 말해주는 노래이다. 같은 멜로디를 계속 반복하는 방법으로
크리스틴을 점점 자신의 음악으로 빠져들게하고 있다.

- 38 -
<악보 23> 오페라의 유령 ‘The music of the night’ 中

1.6 가사그리기 기법

레미제라블의 ‘Bring him home’를 보면 God on high의 가사 중 ‘높

- 39 -
은’을 뜻하는 high라는 단어에서 음정을 한 옥타브 올려서 표현해주었다.

<악보 24> 레미제라블 ‘Bring him home’ 中

레미제라블 ‘Empty chairs empty tables’는 함께 혁명을 꿈꾸던 친구


들이 다 죽고 혼자 살아남아 죄책감을 느끼는 마리우스가 부르는 노래이
다. 마리우스는 친구들과 함께 혁명을 꿈꾸고 이야기하던 카페에서 빈 의

자와 빈 식탁을 바라보며 ‘더 이상 함께 노래할 친구들을 없다’ 라고 말


하는데, 이 부분에서 선율은 하강하다가 이 곡의 가장 낮은음인 C#음으
로 끝나면서 ‘없다’라는 가사를 잘 표현해주고 있다.

<악보 25> 레미제라블 ‘Empty chairs empty tables’ 中

- 40 -
레미제라블 ‘Turning’은 ‘매년 돌고 돈다. 변하는 것 없이 돌고 돈다.’을

노래하는 곡이다. ‘turning’이라는 제목과 가사의 내용처럼 멜로디도 돌림


노래로 계속 도는 듯한 느낌을 주고 있다.

<악보 26> 레미제라블 ‘Turning’ 中

1.7 라이트 모티브의 사용

- 41 -
오페라의 유령에서 처음 시작을 알리는 곡. overture에 나오는 이 동기

는 유령이 오페라를 지배하듯 이 뮤지컬을 지배한다. 그래서 유령이 나올


때마다 이 동기가 나와 라이트모티브17)의 역할을 해준다.

<악보 27> 오페라의 유령 ‘Overture' 中

17) 라이트모티프 [Leitmotiv] : 악극이나 표제음악 등에서 곡 중의 주요인물이나 사


물, 특정한 감정 등을 상징하는 동기, 즉 주제적 동기를 취하는 악구(樂句)를 이르
는 말.

- 42 -
B. 영화 음악에 사용된 음화법
1. ‘오멘’과 ‘실미도’ 음악에 나타난 음화법 정리

영화 오멘과 실미도를 분석하여 현대 영화 음악에 나타나는 음화법을


정리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영화음악은 그 음악을 나타내는 주제음악이 있어서 영화의

시작에 그 음악이 나옴으로서 영화를 암시하는 역할을 한다. 영화 전반에


서 주제음악이 발전되고, 변형되는 형태로 통일성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영화 음악의 모습이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영화의 주제음악

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각 상황에 따른 음악적인 요소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오멘’은 공포영화이다. 그래서 이 영화에서는 공포적인 분위기를 살리

기 위해 음악을 여러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음악의 구성은 영화의 전체적


인 줄거리에 맞춰지기 보다는 각 사건과 장면에 의미를 두고 짜여졌다.
오멘은 적그리스도의 내용을 다루는 종교적인 영화이므로 카톨릭에서 흔

히 사용되는 혼성합창, Organ, Chimes등의 악기를 사용함으로 종교적인


색채를 나타내었다. 또한 각 악기마다 특수주법을 사용하여 기괴한 음색
을 만들어내고 있는데 혼성합창은 멜로디를 부르는 것 외에도 목소리로

글리산도의 효과를 내거나, 중얼거리는 속삭임 등을 사용하였고, muted


Horn을 강하게 연주하여 날카로운 소리를 만들었으며, Vn의 고음에서 찌
르는듯한 소리와 고음에서부터 내려오는 글리산도, 하프의 빠른 글리산도,

Flute에 플러터 텅잉(Flutter Tonguing)주법, String의 고음에서의 하모닉


스와 트레몰로, 피치카토 등의 주법, 관악기의 약음기 사용 등의 악기의
음색은 이 영화에서 긴장감과 공포감을 훌륭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 영화의 특징 중 하나는 음악의 전반에 걸쳐서 불협화음의 사용이 두

- 43 -
드러진다는 것이다. 긴장감과 공포감을 위하여 단2도, 장7도, 단9도 등의
음정을 사용하거나 한곡에 두 개 이상의 조성을 이용하는 다조성의 방법,

12음 음계의 사용으로 불안과 공포감을 표현 하고 있다.


오스티나토 리듬은 이 영화에서 거의 합창곡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
는데 이러한 리듬의 반복은 다이나믹의 변화와 음역의 확장, 리듬의 나뉘

어짐과 함께 곡이 절정으로 향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실미도’는 한국 최초로 천만 관객을 동원한 영화로 한국의 대표적인
블로버스터 영화이다. 남성적이고 전투적인 이 영화의 음악은 대부분 관

현악 편성으로 되어있다. 악기의 구성, 조성의 변화, 음역의 확대, 다이나


믹의 변화, 박진감 넘치는 셋잇단음표의 리듬 등의 음악적 요소를 사용함
으로서 영화에서 주로 다뤄지는 전투나 훈련의 장면, 강한 의지와 굳은

결단, 불안감등의 심리상태를 잘 묘사해주고 있다.


Timpani나 Cymbal, Gong등의 타악기가 나와 리듬감을 더욱 강화시켜
훈련 상황을 더욱더 긴장감 있게 만들어주며, 군악대의 행진곡 분위기를

연상케 하는 Timpani의 트레몰로와 Snare drum의 사용함으로 남성들의


힘찬 분위기를 나타내 주고 있다. 단2도와 감7도, 증3화음 등의 불협화음
으로 긴장감과 적막감을 표현해 주었으며, 점점 도약되는 음정으로 극도

의 긴장감 있는 분위기를 그려주고 있다. 또한 불길하고 우울한 장면이


나올 때는 minor의 조성으로 전조가 되고 있다.
전체적으로 셋잇단음표의 박진감 넘치는 리듬을 사용함으로 패기가 넘

치는 부대원들의 모습과 그들의 강한 의지를 음악적으로 나타내주고 있


다.

1.1 악기의 특성과 연주 기법에 의한 음색의 효과

- 44 -
영화 [오멘]은 종교적 내용(적그리스도)을 다룬 공포영화이다. 오프닝

타이틀인 ‘Ave Satani'에서는 이 영화가 종교적인 내용임을 혼성합창과


Organ, Chimes의 사용으로 알려주고 있다. 중세에는 카톨릭 성당이 음악
을 지배하여서 음악가들은 거의 성당을 위해 음악을 만들었고 예배의식에

따른 노래를 불러야했다. 그래서 중세시대의 음악은 대부분 성악이었고,


대부분 Organ이 반주의 역할을 하였다. 그래서 지금까지도 함창이나
Organ은 종교적인 색채를 진하게 가지고 있는 악기로 여겨진다. 영화 [오

멘]은 적그리스도를 다룬 내용이므로 종교에서 사용되는 악기와 합창을


통해 종교적인 색채를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다. 혼성합창은 멜로디를 부
르는 것 외에도 목소리로 글리산도의 효과를 내거나, 중얼거리는 속삭임

등을 사용하여 공포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악보 28> 오멘의 ‘Ave Satani' 中

- 45 -
- 46 -
[오멘]은 공포영화이다. 그래서 음악이 공포적인 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만들어졌다. 공포적인 효과를 내는 많은 요소들 중 특히 독특한 악기 편

성과 특수주법의 사용 등 악기의 음색을 통해 긴장감과 공포감을 훌륭하


게 표현했다. ‘Ave Stani’에서는 여성 합창의 글리산도 소리와 muted
Horn을 강하게 연주하여 날카로운 소리로 공포적인 사운드를 만들었고,

A'가 시작되면서 높은 음역대의 움직임이 많은 Violin이 등장하여 고음에


서의 찌르는 듯한 소리들로 인해 영화의 소름끼치는 분위기를 보여주고
있다.

<악보 29> 오멘의 ‘Ave Satani' 中 여성 합창 글리산도

<악보 30> 오멘의 ‘Ave Satani' 中 muted Horn

<악보 31> 오멘의 ‘Ave Satani' 中 Violin의 고음

오멘의 ‘The Bed’에서는 Violin과 하프의 빠른 글리산도로 평범치 않은


기괴한 사운드를 들을 수 있다. 그 외에 Flute에 플러터 텅잉(Flutter

- 47 -
Tonguing)주법, Vn의 고음에서부터 내려오는 글리산도, String의 고음에
서의 하모닉스와 트레몰로, 피치카토 등의 주법, 관악기의 약음기 사용 등

의 악기의 음색은 긴장감과 공포감을 훌륭하게 표현했다.

<악보 32> 오멘의 ‘The Bed' 中

영화 [실미도]에서 Timpani나 Cymbal, Gong 등의 타악기가 계속해서


나온다. 타악기 음색의 일반적인 특성은 진취적이고, 남성적이며, 분위기

의 고조의 역할을 하는데 이는 실미도의 내용과 잘 어우러지기 때문이다.


영화 중 세줄 타기 훈련 장면에서는 부대원들의 훈련이 더욱더 강도 높
아지고, 긴장감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때 음악은

Timpani와 Cymbal이 교대로 나오면서 강약의 리듬감을 더욱 강화시켜주


어 이러한 훈련 상황을 더욱 긴장감 있게 나타내주고 있다.

<악보 33> 영화 [실미도] 中 세줄 타기 훈련에서의 음악

[실미도]의 훈련 장면 중 사격 훈련장에서 총소리와 함께 나오는 음악

- 48 -
은 Timpani의 트레몰로와 Snare drum의 강한 악센트로 더욱 힘 있는 분

위기를 나타내 주고 있다.


이 음악의 끝부분으로 갈수록 Snare Drum의 리듬이 강조된다. 이것은 군
악대의 행진곡 분위기를 연상케 하는 Snare Drum의 전진적 리듬은 훈련

병들의 남성적 강인함과 훈련에 임하는 그들의 비장함을 표현하는데 도움


을 준다.

<악보 34> 영화 [실미도] 中 사격 훈련장에서의 음악

1.2 음정의 변화와 협화, 불협화 음정의 특성

영화 [오멘]의 특징 중 하나는 음악의 전반에 결쳐 나타나는 불협화음의

사용이 두드러진다는 것이다. 긴장감과 공포감을 위하여 단2도, 장7도, 단

- 49 -
9도 등의 음정을 사용하거나 한곡에 두 개 이상의 조성을 이용하는 다조
성의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고, 12음 음계의 사용으로 인한 진행으로 해결

되지 않는 불안감과 긴장감을 느끼게 하였다.

영화 [실미도]에서는 영화의 처음 시작에서 북한의 무장공비들이 산을

타고 몰래 남한에 침투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 때 긴장감과 적막감이 흐


르는 영화의 시작을 단2도와 감7도 등의 불협화음으로 이루어진 긴 지속
음이 현 파트에서 느린 템포의 아주 여리게 연주함으로서 적막감 속의 긴

장감을 잘 표현해 주고 있다.

또한 [실미도] 영화의 중반에서 몰래 빠져나온 2명의 대원이 민간인을

강간하는 장면이 나온다. 개 짓는 소리와 여러 사람의 발소리에 창밖을


내다본 강간범 중 한명이 자신들을 잡으러 온 중사와 부대원들을 보고 놀
라는 장면이 있다. 여기서 음악은 Vn1에서 ‘A’음을 지속적으로 연주하여

불안과 떨림을 표현하였으며, 베이스의 ‘A’음이 스타카토의 같은 리듬으


로 반복되어지는 가운데 Vn2와 Viola에서 16분음표로 ‘A’음을 반복하다
가 단2도, 단3도, 완4도, 완5도, 단6도로 점점 도약이 되어 극도의 긴장감

있는 분위기를 그려주고 있다.

<악보 35> 영화 [실미도] 中 음정의 변화


이렇게 음정의 도약으로 긴장감이 서서히 고조되다가 베이스는 옥타브
음정으로 확대되고, Vn2와 Viola에서 증3화음의 불협화음이 연주되어 강

간범들의 긴장은 더욱 크게 고조됨을 그려주고 있다.

- 50 -
<악보 36> 영화 [실미도] 中 불협화음

1.3 조성의 특성과 전조의 역할

[실미도]에서 북한으로 출정한 부대원들을 바라보는 김 준위에게 한 기


간병이 연락을 알리는 장면이 나온다. 연락을 알리는 장면은 불길함을 내

포하고 있는데 이때 음악은 E minor로 전조되어 불길한 분위기를 한층

- 51 -
더 고조시켜주고 있다.

<악보 37> 영화 [실미도] 中 E minor 전조1

[실미도]에서 부대원들의 훈련 중에 대원 한 명이 추락하면서 죽게 되


는 사고가 발생한다. 이후, 시체를 화장시키는 장면에서 음악은 E minor
로 전조되는데, minor의 조성과 느린 템포로의 변화가 침울하고 슬픈 분

위기를 만들어 주고 있다.


<악보 38> 영화 [실미도] 中 E minor 전조2

[실미도]에서 강간범 2명이 자신들을 잡으러 온 부대원들을 보고 서로

- 52 -
죽기로 결심한다. 한명을 죽고, 한명은 부대원들에게 잡힌다. 그 후 부대
원들 앞에서 죽음을 맞게 되는 강간범의 모습과 그 앞에 선 강인찬의 분

노와 슬픔이 복합적으로 그려지면서 음악 역시 이러한 분위기를 위해


minor인 B minor로 전조되고, Violin.1의 선율이 애절하게 연주되어 장면
을 그려주고 있다.

<악보 39> 영화 [실미도] 中 B minor 전조

1.4 다이나믹의 역할

[실미도]에서 물속에서 훈련중이던 부대원들이 숨이 막히는 고통을 이

- 53 -
겨내지 못하고 물 밖으로 나가는 훈련병들의 숨 가쁜 상황을 음악은 다이
나믹의 변화로 표현해주고 있다. 장면에서 심벌의 트레몰로와 크레센도가

나온 후 바로 강한 다이나믹으로 모든 악기가 총동원되어 나옴으로 훈련


속에서의 훈련병들의 처절한 죽음과의 싸움을 그려내주고 있는 것이다.

<악보 40> 영화 [실미도] 中 다이나믹


1.5 반복의 의한 효과

[실미도]에서는 ♪♪♩♩의 리듬이 라이트 모티브처럼 일정하게 반복되


어 실미도 전체의 긴장된 분위기와 불안함, 남자들의 패기를 통일성 있게

나타내주고 있다.

[오멘]에서는 잔인한 살해 장면에서 오스티나토18) 리듬을 사용했다. 오

- 54 -
- 55 -
스티나토 리듬은 다른 공포영화의 음악에도 커다란 특징으로 자리 잡고
있는데 이는 계속적인 음형과 리듬의 반복으로 인해 듣는 사람으로 하여

금 긴장감을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이 영화의 “The Demis of Mrs. Baylock"이란 음악은 베이락 부인이 죽
음을 맞이하는 장면인데 이 장면에서 합창곡과 함께 오스티나토 리듬을

계속해서 사용했다. 주로 저음역대에서 반복되는 일정한 리듬 패턴은 연


속적으로 테마가 반복될 때마다 리듬이 점점 나뉘어지고, 악기들이 첨가
되면서 절정으로 향하는 긴장감을 표현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악보 41> 오멘의 ‘The Demis of Mrs. Baylock’ 中

[오멘]의 영화음악에서는 곡의 절정을 이루는 것에 있어 여러 가지 구


조의 변화를 사용하였다. 그 중 ‘Ave Satani'는 4마디로 이루어진 합창의
테마가 계속해서 반복 되면서 여기에 악기와 리듬, 음역, 다이나믹 등의

변화로 인해 곡의 절정으로 이끌어져 가고 있다.

<악보 42> 오멘의 ‘Ave Satani' 中

18) 어떤 일정한 음형(音型)을 같은 성부(聲部)에서 같은 음높이로 계속 되풀이하는


수법, 또는 그 음형.

- 56 -
1.6 리듬의 역할

[실미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셋잇단음표의 박진감 넘치는 리듬을 사용함


으로 패기가 넘치는 부대원들의 모습과 그들의 강한 의지를 음악적으로

나타내주고 있다.
영화 중 부대원들은 혹독한 훈련을 이겨내고 만세를 부르며 기뻐하고,
더욱 강렬한 결전의 의지를 다지는 내용에서 음악 역시 셋잇단음표를 사

용하여 표현해주고 있다.

<악보 43> 실미도 中 셋잇단음표1

[실미도]에서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바다 위를 힘차게 나아가는 부대원


들의 장면에서도 역시 셋잇단음표를 사용하여 진취적이고, 강한 의지의

- 57 -
부대원들을 잘 그려주고 있다.

<악보 44> 실미도 中 셋잇단음표2

- 58 -
[실미도]에서 보트를 향해 뛰어가는 부대원들의 모습은 강한 Cymbal과

Gong의 울림과 함께 시작되며 셋잇단음표와 Trumpet, Trumbone의 강한


악센트를 동반한 긴 음가가 박진감 넘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악보 45> 실미도 中 셋잇단음표와 긴 음

IV 결론

지금까지 음화법의 시작과 역사적 흐름에 대해 돌아보고, 현대 뮤지컬

- 59 -
음악과 영화 음악을 분석하여 음화법의 사용 방법과 효과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시대별로 차이는 있지만 음악으로 가사, 감정, 상황 등 그 의미를 표현
하는 방법에는 어느정도 통일 된 기법들이 있었다.

악기가 주는 음색, 그리고 악기의 주법에 의한 음색의 변화를 사용한


기법. 장.단조의 조성의 특성을 사용하기도 하고, #조성과 b조성의 특성을
사용한 기법, 전조를 통한 기법. 3박과 4박의 특성을 이용한 기법. 변박을

이용한 기법. 특정 단어에 맞는 선율을 그려주는 가사 그리기 기법. 리듬


의 반복과 변화를 이용한 기법. 라이트모티브 기법. 선율의 상행과 하행,
순차진행과 도약진행이 주는 기법. 다이나믹에 의한 기법들이 이 논문 연

구에 발견한 음화법 사용의 기법들이다.


이러한 음화법의 사용 방법에 따라 장면이 전화되고, 미래가 암시되고,
전체적인 분위기와 배경을 설명해준다. 대사를 강조하기도 하고, 상황을

- 60 -
설명해 주기도 하며, 등장인물의 성격을 묘사하기도 한다. 그리고 긴장.
불안. 공포. 행복. 기쁨. 환희, 슬픔. 절망. 희망 등 감정을 나타내 주기도

한다.
이 모든 것들은 어느날 갑자기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중세시대부터 지
금까지 하나씩 발전되고, 변화되온 것들의 결과였다.

지금 현대 시대에는 뮤지컬, 영화, 드라마, CF 등 음악이 들어가지 않는


예술은 거의 없다. 사람들은 생활 속과 문화 속의 거의 대부분에서 음악
을 들으며 생활하고 있는 시대인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 더욱더 음악예술이 사람들의 삶과 문화 가운데서 사실


적으로 다가가고, 사람들과 함께 호흡할 수 있도록 음화법들에 대해 체계
적으로 연구하고, 그로 인한 효과들을 관찰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61 -
참 고 문 헌

<사전>

『음악용어사전』, 세광 음악 출판사, 1992


naver 백과사전

<단행본>

Danald H. van Ess. 『서양음악사 -음악의 유산-』. 안정모(역)


서다라. 2000
DJ. Grout. 『서양음악사』. 서우석 외(역) 심설당. 2002

Roger Kamien. 『서양음악의 유산』. 김학민(역) 예솔. 1993


김기철. 『아이러브뮤지컬』. 효형출판사. 2002
김문자.노영해.박미경.이석원.허영한. 『들으며 배우는 서양음악사』.

심설당. 1998
신인선. 『음악세계 서양음악사 20세기 음악』. 음악세계 2006
설도윤. 『오페라의 유령, 가면을 벗다: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에 관한 모

든 것』. 숲.2005
한상준. 『영화음악의 이해』. 한나래출판사. 2000
홍정수.김미옥.오희숙. 『두길 서양음악사』. 나남. 2006

- 62 -
<학위논문>

강효욱.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에 나타난 앤드류 로이드 웨버의 음


악적 특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김정림. “Alban Berg의 오페라 Wozzeck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박재은. “영화 음악이 영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0

이현양. “영화 <오멘>의 음악 분석에의한 Jerry Goldsmith의 음악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2004
한윤경. “Olivier Messiaen의 <7편의 하이카이(Sept Haikai)> 분석 연구

-I, II, IV, VI악장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황지선. “영화 <실미도>의 음악분석에 의한 음악의 기능적 측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2006

황지영. “음악의 기능적 측면을 중심으로 본 한국 영화음악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Web Site>

http://blog.naver.com/riamind
http://blog.naver.com/babsuni99

http://blog.naver.com/fullscore

- 63 -
Abstract

A Study of the 'Sound-Picture Law'


through the modern musical and film music

Kim Min Young


Major in Computer Music
Department of Music

Graduate School of
Sang-Myung University

Expression techniques have being developed for the presenting of the


meaning in music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Music became a roll
than sounds by the techniques.

Composers used the expression techniques to express a religious


ceremony, a state of human life, human emotion, description of nature,
era's condition etc. It refers to the these techniques as 'sound-picture

law'.
At the present day, it is necessary to make music for delivery of the
meanings in performing art and screen art.

In this thesis, I studied about the development of 'sound picture


law' by each ages. also, I investigated that the 'sound picture law' in
the modern musical music and the film music.

In the middle age, music was prosperous in the ceremony of

- 64 -
catholic church. The composers in this time was concerned about to
harmonized between verbal character and melody.

In the renaissance and the baroque, this concernment was developed


as 'word painting'. in theses times, music was developed from
monophony to polyphony. composers started to be concerned about
the 'word painting', the expression of emotions and the description of
external appearance.
In the classic age, due to development of Orchestra music, various
quality of a tone was used by each musical instrument.
In the romanticism age, Composers made much account of their
expressions and personalities. so they started to brake the previous
frames of music that had been formed.
At the present day, 'sound picture law' is being used as tonality,
character of beat, modulation, irregular time, tone & playing of
musical instrument, word painting, change of rhythm & melody,
motive variation & repetition, change of interval and change of stress.
According as the 'sound picture law', a scene is changed, a hint for
the future is given, words are emphasized, character of player is
described, and emotions like that strain, anxiety, fear, happiness, joy,
sorrow, despair, hope etc were presented. These kinds of 'sound
picture law' and effects have been developed from the middle age to
at this time. In conclusion, it is required of the study of 'sound
picture law' and the investigation of effectives of 'sound picture law'
for approach to the human life and culture surely.

- 6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