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 내셔널]대구 곳곳 남아 있는 '왕건 탈출로'…지금은

중앙일보

입력

고려가 통일을 이루기 전 고려와 후백제는 치열한 싸움을 벌였다. 수없이 많은 전투 가운데 927년(태조 10) 대구 팔공산 일원에서 고려와 후백제가 벌인 동수대전(桐藪大戰·또는 공산전투)은 후삼국 통일전쟁의 3대 전투 중 하나로 꼽힐 정도로 유명하다.

팔공산 일원서 견훤과 전투 벌이고 대패한 왕건 #금호강~앞산~낙동강 따라 목숨 건 탈출 #탈출로 따라 살내·무태·파군재·반야월 지명 남아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돼 있는 태조 왕건의 초상화. [중앙포토]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돼 있는 태조 왕건의 초상화. [중앙포토]

동수대전이 널리 알려지게 된 배경은 고려군이 후백제와의 대전에서 무참히 패배하고 왕건만이 극적으로 탈출해서다. 절체절명의 위기 상황에서 왕건을 구하고 순절한 신숭겸 장군의 활약과 숭고한 희생정신이 불러오는 감동도 한몫했다.

이 전쟁에서 왕건은 신숭겸 등 기라성 같은 장수를 잃고 견훤군에 쫓기는 신세가 된다. 왕건은 팔공산에서 금호강~앞산~낙동강을 따라 탈출하며 대구 곳곳에 흔적을 남긴다. 그와 관련된 지명이 대구에 많은 이유다. 살내·무태·연경동·지묘동·파군재·독좌암·불로동·반야월·안심·은적사·안일사·왕굴 등 다양하다. 팔공산엔 이를 토대로 한 '왕건길'도 조성돼 있다.

대구 동구 팔공산에는 '왕건길'이라는 트래킹코스가 있다. 대구=김정석기자

대구 동구 팔공산에는 '왕건길'이라는 트래킹코스가 있다. 대구=김정석기자

◆살내=대구 북구 동서변동 금호강과 동화천이 합류하는 두물머리 근처. 이곳에는 '화살이 내(川)를 이뤘다'는 뜻의 '살내'가 있다. 전탄(箭灘·화살로 이뤄진 모래톱)이라고도 불린다. 왕건과 견훤이 강을 사이에 두고 서로 활을 쏴 하천이 온통 화살로 뒤덮였다는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지금으로 치면 대구 북구 서변동 월드메르디앙 아파트와 북구 동변동 유니버시아드선수촌 아파트 위치에서 동화천을 사이에 두고 대접전이 벌어진 셈이다.

대구 북구 서변동과 동변동 사이에 있는 동화천. '살내' 또는 '전탄'이라고 불리는 이곳은 왕건의 고려군과 견훤군이 맞붙은 곳이다. 대구=김정석기자

대구 북구 서변동과 동변동 사이에 있는 동화천. '살내' 또는 '전탄'이라고 불리는 이곳은 왕건의 고려군과 견훤군이 맞붙은 곳이다. 대구=김정석기자

◆무태=무태(無怠)는 왕건이 군사를 이끌고 지금의 대구 북구 서변동을 지나 연경동 방향으로 진군하던 중 군사들에게 "경계를 게을리하지 말고 태만하지 말라"고 당부했다고 해서 붙여진 지명이다. 무태는 현재 대구 북구 동·서변동을 일컫는다.

이 밖에 왕건이 동수대전에서 견훤에게 대패하여 도주하면서 부하들에게 "쉬지 말고 빨리 가자(無怠以促足·무태이촉족)"고 독촉했다는 데서 비롯됐다는 설, 왕건과 신숭겸 장군이 야행하면서 이 마을 아낙네가 야밤에도 부지런히 길쌈을 하고 있어 칭찬하며 게으름이 없다(動織組而無怠平·동직조이)고 한 데에서 연유했다는 설이 있다.

왕건이 견훤군에게 대패한 동수전투를 그린 부조. 대구 동구 파군재삼거리에 세워진 신숭겸 장군 동상 뒤에 있다. 대구=김정석기자

왕건이 견훤군에게 대패한 동수전투를 그린 부조. 대구 동구 파군재삼거리에 세워진 신숭겸 장군 동상 뒤에 있다. 대구=김정석기자

◆연경동=왕건은 무태에서 숙영을 하고 북구 연경동(硏經洞)에서 동구 지묘동 방향으로 향했다. 연경동은 '선비들이 글 읽는 소리가 들렸다'고 해서 붙인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현재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보금자리주택단지로 조성돼 있다.

◆지묘동=지묘(智妙)는 '지혜로운 묘책'이라는 뜻이다. 신숭겸이 왕건의 갑옷으로 갈아입은 채 어가를 타고 적으로 돌진, 대신 죽음으로써 왕건을 구한 전략에서 비롯된 지명이다. 왕건을 무사히 구하는 과정에서 많은 장수가 죽었다. 동수대전에서 신숭겸, 김락 등 8명의 충성스러운 장수가 순절했다고 해서 후일 '공산'을 '팔공산(八公山)'이라고 부르게 됐다.

대구 동구 지묘동에 있는 신숭겸 장군 유적지. 신숭겸 장군은 동수대전에서 왕건을 대신해 순절한 충신이었다. 대구=김정석기자

대구 동구 지묘동에 있는 신숭겸 장군 유적지. 신숭겸 장군은 동수대전에서 왕건을 대신해 순절한 충신이었다. 대구=김정석기자

◆파군재=파군재는 동구 불로동에서 동화사와 파계사로 가는 길목에 있다. '군대가 깨졌다'는 의미다. 왕건은 파군재에서 견훤군에 무참히 패배했다. 파군재 삼거리에는 현재 신숭겸 장군의 동상이 서 있고 뒤로는 동수대전 전투 장면이 그려진 부조가 있다.

대구 동구 파군재삼거리에 있는 신숭겸 장군의 동상. 대구=김정석기자

대구 동구 파군재삼거리에 있는 신숭겸 장군의 동상. 대구=김정석기자

◆일인석=일인석은 팔공산 안쪽 염불암에 있다. 팔공산을 향해 도주하던 왕건이 바위에 앉아 퇴로를 궁리하던 중 한 승려가 다가와 "이 자리는 한 사람만이 앉을 수 있는 곳인데, 그대는 누구인가"라고 물으니 왕건이 "내가 바로 왕이다"고 말했다고 한다. 승려는 절을 하고 "북쪽으로 가면 견훤군이 기다리고 있으니 남쪽으로 되돌아가라"고 했다고 전해진다. 왕건이 이 바위에 혼자 앉아 있었다고 해서 일인석이라 부른다.

◆독좌암=대구 동구 봉무동 노인회관 북쪽 5m 지점 개천가에 있다. 왕건이 일인석에 앉아 있다가 다시 파군재를 넘어 봉무동에 있는 독좌암이란 바위에 홀로 앉아 쉬었다는 데서 유래했다. 독좌암 앞에는 독암서당이 자리하고 있다.

대구 동구 봉무동에 있는 독암서당. 독암서당 뒤편에 있는 독좌암은 왕건이 홀로 앉아 쉬었다는 데서 유래했다. 대구=김정석기자

대구 동구 봉무동에 있는 독암서당. 독암서당 뒤편에 있는 독좌암은 왕건이 홀로 앉아 쉬었다는 데서 유래했다. 대구=김정석기자

◆불로동=불로동(不老洞)은 독좌암을 거쳐 남동쪽으로 향한 왕건이 지나간 마을이다. '노인은 없고 아이들만 있다' 해서 붙인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불로동에는 200여 개의 거대한 고분군이 있다. 왕건이 견훤에게 패해 도주하다 문득 뒤를 돌아보니 체력이 떨어지는 늙은 병사들은 다 낙오하고 젊은 병사들만 겨우 따라오고 있다고 해서 불로동이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견해도 있다.

◆해안·안심·반야월=왕건이 견훤군의 포위망을 벗어난 뒤 '얼굴을 펴고(解顔) 안심(安心)했다'는 데서 비롯된 지명이라는 설이 있다. 해안은 현재 대구 동구 방촌동 지역이다. 반야월은 왕건이 지금의 해안을 거치고 보니 밤은 반야(한밤)이고 달이 떠 있었다고 해서 반야월이라는 지명이 생겼다. 대구도시철도 1호선 해안역·반야월역·안심역이 여기에서 이름을 따왔다.

대구 동구 옛 반야월역 역사. 2008년 폐역되고 2010년 대구 동구 신서동으로 이전됐다. 현재는 작은도서관으로 운영 중이다. [사진 문화재청]

대구 동구 옛 반야월역 역사. 2008년 폐역되고 2010년 대구 동구 신서동으로 이전됐다. 현재는 작은도서관으로 운영 중이다. [사진 문화재청]

◆은적사=대구 남구 앞산공원 인근에 있는 사찰이다. 은적(隱跡)은 숨는다는 뜻으로 왕건이 숨었던 절이라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은적사 대웅전 옆에는 사람 한 명이 들어갈 만한 조그만 굴이 있는데 왕건이 이 굴에서 사흘간 머물렀다고 한다.

◆안일사=왕건은 사흘간 머물렀던 은적사보다 더 안전한 은신처를 원했다. 안일사(安逸寺)는 은적사보다 깊은 골짜기에 있어 왕건이 '편안하게 머물렀다'고 해서 안일사가 됐다는 설이 전해진다. 안일사에서 500m 거리에 위치한 왕굴은 왕건이 안일사까지 추격해 온 견훤을 피해 숨어들었던 풍화동굴이다.

대구=김정석 기자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굿모닝 내셔널 더보기 

굿모닝내셔널

굿모닝내셔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