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nsei_dent
Premium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돌아온 팀 Yonsei_Dent입니다. 현재 BTC는 중기 하락 채널 상단을 강하게 돌파한 뒤, 그 지점을 되짚는 리테스트 구간에 진입했습니다. 이 자리는 단기 강세 지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경계선입니다. 🔍 Key Levels (4H 차트 기준): 1. 상승 간 POC: $118k → 최근 상승 구간 내 거래량 중심 축. → 현재 가격 수준에 해당하며 지지가 나타난다면 강한 매수세가 여전히 남아있다 해석 가능. 2. PD Array Mid Level : $116.8k → ICT 기준 Premium & Discount zone의 중간 지점. PD Array 밸류 에어리어의 중심축...
7.29 분석에서 제시했던 👉 $113.2~$115.2k 눌림 진입 구간은 성공적으로 작동했습니다. 비트코인은 이후 반등을 보이며 상승 채널 상단 돌파를 다시 시도하려 하고 있습니다. ⸻ 🔍 Key Levels (1D 기준): • 저항 돌파 필요 구간: $115.7k → 해당 구간은 현재의 구조를 Double Bottom 구조로 본다면, Neckline 에 해당하는 주요 레벨에 해당합니다. → 강한 돌파 시 패턴을 기반으로 한 추가 상승 여력 확보 • 다음 저항 구간 : $116.8k → PD Array의 Mid - level에 해당. ⸻ 📐 구조적 흐름 요약: 1. 조정 후 약한 반등 → 눌림 롱 제시...
📈 7월 31일 분석에서 제시했던 '1차 지지 구간'인 👉 $3.30 ~ $3.60 (PD Array Mid & 샤크 0.5 레벨) 구간은 하모닉 + ICT 관점 모두에서 지지 유효성을 보여주었습니다. 수이는 1차 지지 구간에서의 Consolidation 이후, 강한 발산 흐름이 전개되며 기존 제시드렸던 시나리오가 구조적으로 완성되는 구간으로 진입 중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친 암호화폐 적인 정책 발표는 덤입니다. ⸻ 🔍 Key Levels (4H 기준): • 1차 지지 확인 완료 구간: $3.30 ~ $3.60 → 구조적 지지를 확인한 이후 매수 진입 성공 • PD Array Mid-level : $3.85 ~ → 첫...
SUI는 현재 강세 샤크 패턴을 형성한 이후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 구조를 따라 상승할 때 주의해야 하는 레벨은 0.5 레벨이나, 이미 그 위에서 지지를 어느 정도 확보한 모습입니다. 이에 따라 ICT Concept의 PD Array를 결합해 유의미한 진입 구간을 설정했습니다. 🔍 Key Levels (4H 기준): • PD Array Mid & 샤크 패턴 0.5레벨 중첩 구간: $3.30 ~ $3.60 → 이 구간은 오더블록의 구조적 지지 레벨입니다. → 하모닉 패턴 상으로도 주요 지지 레벨에 해당합니다. • 상단 오더블록: $4.23 ~ $5.23 → 공급 강도가 강한 레벨이나, 상승 채널을 유지하며...
안녕하세요. Yonsei_dent입니다. 트레이딩뷰에서는 아주 오랜만에 인사드리는 것 같습니다. 이번 Top-Down Analysis에서는 비트코인의 상승 반전의 근거 및 이후 지속 가능성 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1. BTCUSDT, W1 chart - 엘리어트 교정파의 완성, 새로운 동인파의 시작? BTCUSDT, W1 1) 이전까지의 엘리어트 파동 관점의 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난 주의 움직임에서 8월 중순의 전저점이자, C파의 종결점으로 이전까지 보았던 $25.1k Level이 돌파당하며, $24.9k Level까지의 하락이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24.9k의 하락 포인트를 C파의 종결점 으로...
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 오늘은 장단기 이동평균선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매매신호를 포착하려는 추세지표인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1. 서론 단기 모멘텀(Short-term momentum), 추세를 예측하여 거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적용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특히 이를 적용할 적절한 방법을 알지 못할 때, 난이도는 하급수적으로 상승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단기 이동평균선의 교차점 (골든크로스 or 데드크로스)을 매매신호로 보는 이동평균기법의 경우 시차...
안녕하세요. Yonsei_dent입니다. 이더리움의 경우 지속적으로 중장기적 Long 관점을 유지 중에 있었습니다. 이더리움의 차트 구조는 현재 다양한 타임프레임에서 bullish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나, 주요 저항 level을 확실히 알아두는 것은 언제나 필요하겠습니다. 오늘은 이더리움을 Top-Down 방식으로 분석하며 ETH Market Structure의 주요한 포인트에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합니다. 그럼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ETHUSDT, W1 Chart - 예측하였던 Bullish Movement가 나타나는 양상 1) 이더리움의...
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 최근 미 연방정부의 부채한도 협상이 난항을 겪으며 디폴트 (채무불이행) 위기가 고조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세계 경제가 들썩이고 있는데요, 과연 디폴트는 무엇이며 왜 중요한지, 단기적 시나리오는 어떻게 펼쳐질 수 있을 지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I. 디폴트 II. 부채한도 협상 III. 디폴트 시나리오 & 전망 IV. 결론 ----------------------------------- ----------------------------------- I. 디폴트 바이든 대통령은 연방 정부의 부채한도 협상을 위해, 일본...
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 III & IV 편에서는 엘리어트 파동 이론의 대표 파동 (Wave)인 동인파 : Motive wave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분량 관계 상 III 편에서는 개론에서 언급한 동인파의 하위 분류 : 충동파 (Impulse Wave) & 대각삼각 (Diagonal Triangle) 중 충동(충격)파 (Impulse Wave) 를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 <시리즈 목차> 🔔작업 진행 상황에 따라 목차 추가 / 수정 예정입니다 엘리어트 파동 이론 I : 개론 엘리어트 파동 이론 II : 구성 법칙...
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크립토 뿐 만 아니라 주식, 외환 (Forex)과 같은 다양한 시장에서 투자를 진행해보신 분들은 한번 쯤 “스퀴즈 : Squeeze” 라는 경제 용어를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특히 파생상품 (Derivative) 시장에서 선물 거래를 경험하신 경우, 공매수 (롱 : Long) / 공매도 ( 숏 : Short) 포지션에 기반한 롱 스퀴즈 / 숏 스퀴즈를 마주치는 경우가 종종 있었을 것입니다. 💡오늘 온체인 이해 시리즈에서는, 롱 / 숏 스퀴즈의 기본적 개념부터 시작하여 이를 펀딩피로 알려진 Funding Rate 지표와 연계해 간략히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 오늘은 추세 추종 (trend-following) 지표의 대표 주자인 Super Trend 지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원리와 내용이 간단하여 쉽게 읽으실 수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 드립니다.😁 ----------------------------------- I. Super Trend란? II. Super Trend의 적용 III. Super Trend Trading / Practice Example ----------------------------------- ----------------------------------- I. Super Trend란? ...
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오늘은 가상자산 시장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TOTAL 지표와, 시가총액 (Market Cap)을 기반으로 전체 시장의 지분 비율을 알려주는 Dominance 지표를 낱낱이 파헤쳐보도록 하겠습니다. ------------------ I. TOTAL 지표 1. TOTAL : Total Market Cap의 정의와 종류 2. Market Cap 지표에 유통 공급량 (Circulating Supply)이 미치는 영향 II. Dominance 지표 1. Dominance란? 2. BTC.D / ETH.D / ALT & OTHERS.D III. TOTAL & Dominance의 활용 & 한계 ...
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Wyckoff의 투자기술에 대한 연재 마지막 편입니다. Richard D. Wyckoff (1873-1934)는 기술적 분석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현재는 Dow, Gann, Elliott, Merrill과 더불어 기술적 분석의 5대 거장으로 불립니다. 거의 100년이 지난 지금, Wyckoff의 이론은 여전히 모든 마켓에 걸쳐 충분히 유효하다 볼 수 있습니다. 특히 큰 추세의 변화를 파악하거나 사이클을 읽는데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투자자라면 꼭 갖춰야 할 무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중요한 개념이기에 마지막까지 차근차근 자세히 알아볼 예정입니다. 그럼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잠재적 반전 구간 (Potential Reversal Zone : PRZ)을 파악할 수 있는 ABCD 패턴, 그 중에서도 ABCD의 3개의 Leg (AB, BC, CD) 중 CD Leg를 활용하는 C-D Leg Trend Trading 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피보나치 (Fibonacci) 시리즈를 먼저 읽어보신 후 본 글을 접하신다면 이해에 더욱 도움이 될 것입니다 :) ------------------------------------------------- < INDEX > I. C-D leg Trend Trading이란? II. BAMM : Bat Action...
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오늘은 일본에서 발생한 YCC 정책 조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 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배경지식 (국제정세와 일본의 정책) 먼저, 이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몇 가지 배경지식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과거 위 아이디어에서 ‘금리 기초’에 대해 다룬 적이 있으니 해당 아이디어를 먼저 공부해보시면 이해에 더 도움이 되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일본은 자민당이 정권을 잡은 2012년 이후 ‘아베노믹스’라고 일컬어지는 무제한 통화 완화 및 마이너스 금리 정책 을 지속해 왔습니다. 그런 결과로 2년 물 국채 금리 (기준금리 선행지표)는 일본에서 항상...
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Wyckoff의 투자기술에 대한 내용을 연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Richard D. Wyckoff (1873-1934)는 기술적 분석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현재는 Dow, Gann, Elliott, Merrill과 더불어 기술적 분석의 5대 거장으로 불립니다. 거의 100년이 지난 지금, Wyckoff의 이론은 여전히 모든 마켓에 걸쳐 충분히 유효하다 볼 수 있습니다. 특히 큰 추세의 변화를 파악하거나 사이클을 읽는데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투자자라면 꼭 갖춰야 할 무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중요한 개념이기에 언제나 그랬듯이 차근차근 자세히 알아볼 예정입니다. 그럼 이번 연재도 많은 관심...
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이번 강의부터 3편에 걸쳐 Wyckoff의 투자 기술에 대한 내용을 연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Richard D. Wyckoff (1873-1934)는 기술적 분석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현재는 Dow, Gann, Elliott, Merrill과 더불어 기술적 분석의 5대 거장으로 불립니다. 거의 100년이 지난 지금, Wyckoff의 이론은 여전히 모든 마켓에 걸쳐 충분히 유효하다 볼 수 있습니다. 특히 큰 추세의 변화를 파악하거나 사이클을 읽는데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투자자라면 꼭 갖춰야할 무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중요한 개념이기에 언제나 그랬듯이 차근차근 자세히 알아볼 예정입니다. 그럼...
안녕하세요 :) Yonsei_dent 입니다. Glassnode Insights 플랫폼의 주간 뉴스레터를 번역 / 분석해보는 시간이 찾아왔습니다. 가상자산 역사 상 최대 규모의 디레버리징 (Deleveraging) 여파로, BTC 실현총액 (Realized Capitalization)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2021년 5월 이후 유입분에 해당하는 양이 현재 감소한 상황으로, 온체인 활동 상 일부 상승 신호가 나타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큼 규모가 아직 충분치 못합니다. -------------------- -------------------- 0. 서론 및 간단 정리 & 오늘의 추천 메트릭 <49주차 결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