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초 관계
집합론에서 정초 관계(整礎關係, 영어: well-founded relation)는 (무한히 재귀적이지 않은) 집합의 원소 관계로서 나타낼 수 있는 이항 관계이다. 정초 관계가 주어진 집합 위에서는 초한 귀납법(超限歸納法, 영어: transfinite induction)과 초한 재귀(超限再歸, 영어: transfinite recursion)를 사용할 수 있다. 초한 귀납법은 모든 원소가 어떤 성질을 만족시킴을 증명할 때 사용한다. 초한 귀납법에 따르면, 어떤 술어가 모든 원소에 대하여 참임을 보이려면, 주어진 원소 ‘이전’의 모든 원소들에 대하여 참임을 가정한 채로, 그 주어진 원소에 대하여 참임을 보이면 충분하다. 이는 자연수에 대한 수학적 귀납법을 일반화한다. 초한 재귀는 정초 관계가 주어진 집합을 정의역으로 하는 함수를 정의하는 방법이다. 초한 재귀에 따르면, 주어진 원소의 함숫값을 그 ‘이전’의 원소들의 함숫값들로부터 결정하는 방법(#초한 귀납법에서의 함수 )이 정해졌을 때, 모든 원소에 대한 함숫값은 유일하게 결정된다.
정의
[편집]집합 위의 이항 관계 에 대하여 다음 다섯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이항 관계를 정초 관계라고 한다.[1]:98, Definition III.3.1
- 임의의 부분 집합 에 대하여, 인 가 존재한다.
-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 이 존재하지 않는다.
- 임의의 에 대하여,
-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렬 전순서 집합 과 단사 함수 가 존재한다.[2]:352, Appendix B
- 임의의 에 대하여,
- (모스토프스키 붕괴 정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 과 단사 함수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 (모스토프스키 붕괴 정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추이적 집합 과 전단사 함수 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마지막 두 조건은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의 정칙성 공리를 필요로 한다.
성질
[편집]집합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이는 에 대한 상수열은 이므로 정초 관계의 정의를 위반하기 때문이다.
집합 위의 정초 관계 및 부분 집합 에 대하여, 의 제한 역시 위의 정초 관계이다.
초한 귀납법
[편집]집합 위의 정초 관계 가 주어졌을 때, 다음과 같은 초한 귀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임의의 술어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이 성립한다고 하자.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다.
그렇다면, 가 성립한다.
증명:
집합 위의 정초 관계 가 주어졌을 때, 를 정의역으로 하는 함수를 초한 재귀를 통해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다음과 같다. 임의의 집합 및 함수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함수 가 존재한다.
여기서 은 함수의 제한이다.
증명:
다음 세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들의 집합 를 생각하자.
- 임의의 및 에 대하여, 라면,
- 임의의 에 대하여,
그렇다면, 다음 사실들을 보일 수 있다.
- 임의의 에 대하여,
- 증명: 초한 귀납법을 사용하여, 이며, 라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이다.
-
- 증명: 초한 귀납법을 사용하여, 이며 라고 가정하자. 이며, 이며, 라고 정의하자. 그렇다면, 이며, 따라서 이다.
이제,
라고 하자. 그렇다면 는 원하는 조건을 만족시킨다. 또한, 첫 번째 사실에 따라 이러한 는 유일하다.
예
[편집]정초 집합
[편집]집합 에서, 원소 관계 가 위의 정초 관계라면, 를 정초 집합(整礎集合, 영어: well-founded set)이라고 한다.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ZF)의 정칙성 공리(正則性公理, 영어: axiom of regularity)에 따르면 모든 집합은 정초 집합이다.
정초 모임
[편집]사실, 정칙성 공리에 따라 모든 모임은 정초 모임이다 (즉, 공집합이 아닌 모든 부분 모임은 원소 관계에 대한 극소 원소를 갖는다).
증명:
보다 일반적으로, 모임 및 이항 관계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임의의 부분 집합 에 대하여, 인 가 존재한다.
- 임의의 부분 모임 에 대하여, 인 가 존재한다.
(물론, 두 번째 조건은 모임에 대하여 전칭을 가하므로 ZF 내에서 형식화할 수 없다.)
증명:
정렬 원순서 집합
[편집]원순서 집합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3]:116, Remark 5
순서수
[편집]순서수의 정렬 전순서 모임 위에서는 흔히 다음과 같은 (조금 더 약한) 초한 귀납법이 사용된다. 임의의 술어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만약 라면, 이다.
- 극한 순서수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다.
- 특히, 이다.
그렇다면, 이다.
순서수의 정렬 전순서 모임 위에서는 흔히 다음과 같은 특수한 꼴의 초한 재귀가 사용된다. 임의의 집합 및 함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가 존재한다.
(순서수의 모임은 고유 모임이지만, 초한 귀납법과 초한 재귀는 정초 관계가 주어진 모임 위에서도 성립한다.)
각주
[편집]- ↑ Kunen, Kenneth (1980). 《Set theory: an introduction to independence proofs》. Studies in Logic and the Foundations of Mathematics (영어) 102. North-Holland. ISBN 978-0-444-86839-8. MR 597342. Zbl 0534.03026. 2016년 9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23일에 확인함.
- ↑ Kechris, Alexander Sotirios (1995). 《Classical descriptive set theo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56. New York, NY: Springer. doi:10.1007/978-1-4612-4190-4. ISBN 978-0-387-94374-9. ISSN 0072-5285. MR 1321597. Zbl 0819.04002.
- ↑ Forster, Thomas (2003). “Better-quasi-orderings and coinduction”.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영어) 309 (1–3): 111–123. doi:10.1016/S0304-3975(03)00131-2. ISSN 0304-3975.
외부 링크
[편집]- “Well-founded relation”.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Noetherian induction”.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Transfinite recursion”.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isstein, Eric Wolfgang. “Transfinite induction”.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ll-founded relation”. 《nLab》 (영어).
- “Definition: foundational relation”. 《ProofWiki》 (영어).
- “Definition: well-founded”. 《ProofWiki》 (영어). 2015년 6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23일에 확인함.
- “Definition: strongly well-founded relation”. 《ProofWiki》 (영어).
- “Condition for well-foundedness”. 《ProofWiki》 (영어). 2019년 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23일에 확인함.
- “Definition: well-founded set”. 《ProofWiki》 (영어).
- “Well-founded recursion”. 《ProofWiki》 (영어).
- “Well-founded induction”. 《ProofWiki》 (영어).
- “Well-founded relation determines minimal elements”. 《ProofWiki》 (영어). 2013년 3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23일에 확인함.
- “Restriction of foundational relation is foundational”. 《ProofWiki》 (영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Hamkins, Joel David (2014년 10월 20일). “Transfinite recursion as a fundamental principle in set theory” (영어). 2014년 1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