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 거울 대칭
빅터 바티레프는 차원 볼록 다면체에 대한 극 쌍대성을 사용하여 거울 대칭에 대한 순수한 조합적 접근 방식을 제안했다.[1] 극 쌍대성의 가장 유명한 예는 플라톤 다면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정육면체는 정팔면체에 쌍대이고, 정십이면체는 정이십면체에 쌍대이다. -차원 볼록 다면체 의 차원 면과 쌍대 다면체 의 차원 면 사이에는 자연스러운 전단사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다. 거울 대칭에 대한 바티레프의 조합적 접근 방식에서 극 쌍대성은 특수한 대칭에 적용된다. 반사 다포체라고 불리는 차원 볼록 격자 다포체 .[2]
빅터 바티레프와 듀코 판 스트라튼[3]은 칼라비-야우 5차 삼중체의 유리 곡선 수를 계산하기 위한 필립 칸델라스 등의[4]방법을 이즈라일 겔판트, Michail Kapranov 및 Andrei Zelevinsky가 도입한[5] 일반화된 -초기하 함수를 사용하여 임의의 칼라비-야우 완전 교차점에 적용할 수 있음을 관찰 했다. (Alexander Varchenko의 대화[6] 참조), 여기서 는 반사 다포체 의 격자점 집합이다.
원환 대수다양체의 칼라비-야우 초곡면에 대한 조합 거울 쌍대성은 고렌슈타인 원환 파노 대수다양체의 칼라비-야우 완전한 교차점의 경우 Lev Borisov[7]에 의해 일반화되었다. 쌍대 원뿔과 극원뿔의 개념을 사용하면 반사 다포체의 극 쌍대성을 볼록 고렌슈타인 원뿔[8]의 쌍대성과 고렌슈타인 다포체의 쌍대성의 특별한 경우로 간주할 수 있다.[9][10]
- 동형사상을 기준으로, 임의의 고정된 자연수 에 대해 유한한 수 의 - 차원 반사 다포체들만이 존재한다 수 는 인 경우만 알려져 있다: , , , -동형사상을 기준으로 -차원 반사 단체들의 조합적 분류는 디오판틴 방정식의 모든 해 의 열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동형사상을 기준으로 4차원 반사 다포체들의 분류는 고렌슈타인 파노 대수다양체인 4차원 토릭 대수다양체의 초곡면을 사용하여 위상수학적으로 다른 많은 3차원 칼라비-야우 다양체를 구성하는 데 중요하다. 3차원 및 4차원 반사 다포체의 전체 목록은 물리학자 Maximilian Kreuzer와 하랄드 사르케가 Polymake의 특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얻었다.[11][12][13][14]
조합 거울 대칭에 대한 수학적 설명은 등각장론의 대수적 대응인 꼭짓점 연산자 대수를 통해 레프 보리소프에 의해 얻어졌다.[15]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Batyrev, V. (1994). “Dual polyhedra and mirror symmetry for Calabi–Yau hypersurfaces in toric varieties”. 《Journal of Algebraic Geometry》: 493–535.
- ↑ Nill, B. “Reflexive polytopes” (PDF).
- ↑ Batyrev, V.; van Straten, D. (1995). “Generalized hypergeometric functions and rational curves on Calabi–Yau complete intersections in toric varieties”. 《Comm. Math. Phys.》 168 (3): 493–533. arXiv:alg-geom/9307010. Bibcode:1995CMaPh.168..493B. doi:10.1007/BF02101841.
- ↑ Candelas, P.; de la Ossa, X.; Green, P.; Parkes, L. (1991). “A pair of Calabi–Yau manifolds as an exactly soluble superconformal field theory”. 《Nuclear Physics B》 359 (1): 21–74. doi:10.1016/0550-3213(91)90292-6.
- ↑ I. Gelfand, M. Kapranov, S. Zelevinski (1989), "Hypergeometric functions and toric varieties", Funct. Anal. Appl. 23, no. 2, 94–10.
- ↑ A. Varchenko (1990), "Multidimensional hypergeometric functions in conformal field theory, algebraic K-theory, algebraic geometry", Proc. ICM-90, 281–300.
- ↑ L. Borisov (1994), "Towards the Mirror Symmetry for Calabi–Yau Complete intersections in Gorenstein Toric Fano Varieties", arXiv:alg-geom/9310001
- ↑ Batyrev, V.; Borisov, L. (1997). “Dual cones and mirror symmetry for generalized Calabi–Yau manifolds”. 《Mirror Symmetry, II》: 71–86.
- ↑ Batyrev, V.; Nill, B. (2008). “Combinatorial aspects of mirror symmetry”. 《Contemporary Mathematics》 452: 35–66. doi:10.1090/conm/452/08770. ISBN 9780821841730.
- ↑ Kreuzer, M. (2008). “Combinatorics and Mirror Symmetry: Results and Perspectives” (PDF).
- ↑ M. Kreuzer, H. Skarke (1997), "On the classification of reflexive polyhedra", Comm. Math. Phys., 185, 495–508
- ↑ M. Kreuzer, H. Skarke (1998) "Classification of reflexive polyhedra in three dimensions", Advances Theor. Math. Phys., 2, 847–864
- ↑ M. Kreuzer, H. Skarke (2002), "Complete classification of reflexive polyhedra in four dimensions", Advances Theor. Math. Phys., 4, 1209–1230
- ↑ M. Kreuzer, H. Skarke, Calabi–Yau data, http://hep.itp.tuwien.ac.at/~kreuzer/CY/
- ↑ L. Borisov (2001), "Vertex algebras and mirror symmetry", Comm. Math. Phys., 215, no. 3, 517–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