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경과다
이 문서는 자연스럽지 않게 번역되었으며, 기계 번역을 통해 작성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2021년 3월) |
월경과다 | |
---|---|
다른 이름 | hypermenorrhea, menorrhagia |
진료과 | Gynecology |
증상 | bleeding more than usual |
합병증 | Anemia, |
위험 인자 | family history |
월경과다(月經過多, 영어: hypermenorrhea 또는 menorrhagia 또는 heavy menstrual bleeding, HMB)는 과도한 출혈이 있거나 월경기간이 긴 월경이다. 비정상 자궁 출혈 (AUB, abnomal uterine bleeding)의 일종이다.[1][2]
비정상적인 자궁 출혈은 생식 관의 구조적 이상, 무배란, 출혈 장애, 호르몬 문제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 또는 생식관암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초기 평가는 임신 상태, 폐경기 상태 및 출혈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의로는 출혈이 7일 이상 지속되거나 80mL 이상의 출혈이 발생하는 것이다.[3]
치료는 원인, 중증도 및 삶의 질에 따라 다르다.[4] 초기 치료에는 종종 피임약도 포함된다. Tranexamic acid, danazol, progesterone IUD 및 NSAIDs 도 도움이된다.[5] 수술은 다른 치료법으로 증상이 잘 조절되지 않는 사람들에게 효과적일 수 있다.[6] 1000명의 여성 중 약 53명이 비정상 자궁 출혈의 영향을 받는다.[7]
징후 및 증상
[편집]정상적인 월경주기는 21~35일이며, 출혈은 평균 5일, 총 혈류량은 25~80mL이다. 월경과다는 주기 당 총 혈량이 80ml 이상이다.[3][1] 월경 빈도, 월경 기간 또는 혈량의 편차는 비정상적인 자궁 출혈로 간주된다. 월경기간 사이의 출혈도 비정상적인 자궁 출혈이므로 추가 평가가 필요하다.
과도한 월경 출혈은 합병증의 초기 증상이 될 수 있다. 과도한 출혈은 피로, 숨가쁨 및 쇠약으로 나타나는 빈혈로 이어질 수 있다. 빈혈은 혈액 검사로 진단 할 수 있다.
원인
[편집]일반적으로 원인을 식별 할 수 없으며 치료는 특정 기전보다는 증상에 따라 진행된다. 그러나 배제해야 할 비정상 자궁 출혈의 알려진 원인이 있다. 출혈의 성격에 근거한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아래에 나열되어 있으며 그 다음으로 출혈의 드문 원인인 응고 장애가 있다.
알려진 원인
[편집]- 과도한 양의 월경이지만 정상적인 주기 :
- 무통 :
- 섬유종 (평활근종) — 자궁벽의 섬유종 이 중앙 강으로 돌출되어 자궁 내막 표면적을 증가시킬 경우 출혈이 증가한다.
- 응고 결함 (희귀) — 자궁 내막의 혈관에서 출혈이 일어나 정상적인 응고 과정으로 혈류를 제한하고 결국 지혈된다. 따라서 혈소판의 혈액 장애 (ITP) 또는 응고 (폰 빌레 브란트 병) 또는 항응고제 (와파린)의 사용이 처치 가능한 희귀한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혈소판 기능 검사는 혈소판 기능 이상을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자궁 내막 암 - 월경기간 사이 또는 폐경 후에도 불규칙한 출혈이 있을 수 있다. (폐경 후 출혈 또는 PMB)
- 자궁 내막 폴립
- 고통 스러움 (월경통과 관련됨) :
- 무통 :
- 짧은 주기 (21일 미만)이지만 정상적인 월경이다.
- 짧은 주기와 과도한 월경은 난소 기능 장애로 발생 할 수 있고, 종양에 의한 혈관 막힘으로 이차적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 다낭성 난소 증후군 .[3]
- 전신적 원인 : 갑상선 질환, 과도한 정서적 / 신체적 스트레스.
- 성병 감염
오메가6 및 프로스타글란딘
[편집]월경과다는 자궁 조직의 오메가-6 AA 증가와 관련이 있다.[8] 월경과다가있는 여성의 자궁 내막은 정상적인 월경을 가진 여성과 비교할 때 프로스타글란딘 (E2, F2alpha 등) 수치가 더 높다.[9] 프로스타글란딘은 오메가6 축적의 부산물이라고 생각된다.[10]
진단
[편집]NICE 지침에는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다. "월경과다 증상이 있는 1차 진료를 받는 많은 여성은 추가 검사나 조사 없이 치료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병력이나 검사에서 구조적 또는 자궁내막 병리를 시사하거나 초기 치료가 실패한 여성의 경우 진단기술을 통한 검사가 타당 할 수 있다. "[11] 진단은 대개 완전한 병력을 얻은 다음 신체 검사와 질 초음파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필요한 경우 임상검사 또는 자궁경 검사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의료 전문가가 비정상적인 자궁 출혈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진단 절차 목록이다.
- 출혈이 하부 생식 관 (질, 자궁 경부) 또는 직장에서 발생하지 않았는지 확인하기 위한 골반 및 직장 검사.
- 자궁 경부 종양을 배제하기 위한 자궁 경부 세포진 검사.
- 골반 초음파 검사는 구조적 이상을 식별하기 위한 1차 진단이다.[12]
- 고위험 자궁 내막 암 또는 비정형 증식 또는 악성 종양이 있는 여성의 자궁 내막 생검.[11]
- 자궁경 검사 (마취)
-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배제하기 위한 갑상선 자극 호르몬과 갑상선 자극호르몬 방출 호르몬[13]
치료
[편집]근본 원인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 이에 대해 치료를 할 수 있다. 초경과 갱년기의 월경과다는 있을 수 있는 자연스러운 일이다.
출혈의 정도가 경미하면 여성이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불길한 근본적인 원인이 없다는 확신뿐이다. 출혈로 인해 빈혈이 발생하면 철분제를 섭취해 정상적인 헤모글로빈 수치로 회복 할 수 있다.[1]
월경과다가 있고 병리가 확인되지 않거나, 3cm미만의 섬유종이 예상, 확정된 자궁선근증이 있는 여성을 위한 1차 치료 옵션은 레보 놀 게스트 렐 방출 자궁 내 시스템 (LNG-IUS)이다.[11] 임상 시험 증거로는 LNG-IUS가 월경과다 및 삶의 질 측면에서 다른 치료보다 더 좋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14]
일반적으로 경구용 복합 피임약 또는 프로게스테론 전용 알약을 몇 달 동안 복용할 수 있지만, 장기 치료를 위해 Depo Provera 접종 또는 최근 프로게스테론방출 자궁 내 시스템 (IUS)의 대안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estradiol valerate와 dienogest를 포함하는 경구 피임약이 tranexamic acid, NSAID 및 IUD보다 더 효과적 일수 있다.[15][16] 섬유종은 호르몬 치료에 반응 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외과적 제거가 필요할 수 있다. 호르몬 치료와 관련하여 NICE 가이드 라인은 "자궁 섬유종에 대한 MRI-유도 경피 집속 초음파에서 프로게스토겐 전용 알약, 주사 가능한 프로게스토겐 또는 프로게스토겐 주입에 대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라고 말한다.[11] 프로게스토겐 알약은 단기 또는 장기 복용시 LNG-IUS 또는 Tranexamic acid 만큼 출혈을 줄이는데 효과적이지 않다.[17]
NICE 지침에 따르면 여성의 경우(월경과다가 있고 확실하지 않은 병리나 섬유종이 3개 미만) 약학적 치료를 원하지 않고 생식력을 보존하고 싶지 않은 경우, 수술을 1차 치료로 고려할 수 있다. 옵션으로는 자궁 적출술과 2세대 자궁 내막 절제가 있다. 2세대 자궁 내막 절제보다 자궁 적출술이 더 효과적이다.[11]
혈전 용해 효소를 억제하여 출혈을 줄이는 Tranexamic acid 치료는 NSAIDs와 같은 항염증 치료보다 효과적이지만 LNG-IUS보다 덜 효과적이다.[18] 트라넥삼산제(Tranexamic acid tablets)는 혈액손실을 최대 50%까지 줄일 수 있다.[19] 이것은 이전에 언급된 호르몬 약물과 같이 복용할 수 있다.[20]
NSAIDs는 또한 월경 과다 출혈을 평균 20-46% 감소시키는 데 사용된다.[9] 이를 위해 NSAIDs는 월경주기의 5일간만 투여되는데 가장 흔한 소화 불량을 제한한다.[21]
과다한 월경 출혈에 대한 확실한 치료법은 자궁 적출술(자궁 제거)을 시행하는 것이다. 시술의 위험을 수술 후 심부정맥 혈전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 줄여왔으며 전방 복부에서 하던것을 질 접근으로 바꿔 환자의 불편과 회복 시간을 크게 최소화했다. 그러나 광범위한 섬유종은 질 접근으로 제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작은 섬유종은 국소 제거(근종 절제술)로 치료할 수 있다. 또 수술 기법은 자궁 내막 절제(열소작술)이다.[22] 자궁 내막 절제의 효과는 아마도 LNG-IUS의 효과와 유사하지만 월경과다를 개선하기 위해 자궁 적출술이 LNG-IUS보다 나은지 나쁜지에 대한 증거는 불확실하다.[14]
약물
[편집]다음것들은 영국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에 의해 평가되었다.[12]
- 첫 줄
- 프로게스테론이있는 자궁 내 장치
- 두 번째 줄
- 항섬유소용해제 Tranexamic acid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NSAIDs
- 자궁 내막의 증식을 방지하기 위한 복합 경구 피임약
- 세 번째 줄
- 자궁 내막의 증식을 방지하기위한 경구 프로게스토겐 (norethisterone)
- 프로게스토겐 접종 ( Depo Provera )
- 다른 옵션
수술
[편집]- 확장 및 소파술 (D&C) 은 단순 과다한 월경 출혈의 경우 권장되지 않으며, 자연 유산이 불완전 할 경우에 한다.[23]
- 자궁 내막 절제술은 활동적 또는 최근 생식기 또는 골반 감염, 알거나 의심되는 자궁 내막 증식 또는 악성 종양이 있는 여성에게는 권장되지 않는다.[24]
- 자궁 동맥 색전술 (UAE) : 심각한 합병증의 비율은 근종 절제술 또는 자궁 적출술과 비슷하다. 그러나 자궁 동맥 색전술은 경미한 합병증의 위험이 증가하고 2~5년 이내에 재수술이 필요하다.[25]
- 자궁경 근종 절제술로 3cm 이상의 섬유종 제거
- 자궁 적출술
영국에서 과다한 월경 출혈에 대한 자궁 적출술의 횟수는 1989년과 2003년 사이에 거의 절반으로 줄었다.[26] 여기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더 나은 의학적 관리, 자궁 내막 절제, 특히 IUS[27][28]의 도입으로 지역 사회에 유입되고 전문의 의뢰가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한 연구에서는 여성의 최대 64%가 수술을 취소했다.[29]
합병증
[편집]장기간 월경과 양이 많은 월경의 집단 고통 외에도 시간이 지나면서 신체 철분 보유량 또는 혈액 보충 속도보다 혈액손실이 나게 된다면 빈혈로 이어진다.[4] 빈혈로 인한 증상으로는 숨가쁨, 피로, 쇠약, 따끔 거림과 손가락과 발가락의 저림, 두통, 우울증, 더 쉽게 감기에 걸림, 집중력 저하 등이 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FIGO classification system (PALM-COEIN) for causes of abnormal uterine bleeding in nongravid women of reproductive age”. 《International Journal of Gynaecology and Obstetrics》 113 (1): 3–13. April 2011. doi:10.1016/j.ijgo.2010.11.011. PMID 21345435.
- ↑ “Abnormal Uterine Bleeding: Current Classification and Clinical Management”. 《Obstetrics and Gynecology Clinics of North America》 44 (2): 179–193. June 2017. doi:10.1016/j.ogc.2017.02.012. PMID 28499529.
- ↑ 가 나 다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heavy menstrual bleeding in adolescents: the role of the hematologist”. 《Hematology》 30 (1): 390–398. 2018. doi:10.1182/asheducation-2018.1.390. PMC 6246024. PMID 30504337.
- ↑ 가 나 Committee on Practice Bulletins—Gynecology (July 2013). “Practice bulletin no. 136: management of abnormal uterine bleeding associated with ovulatory dysfunction”. 《Obstetrics and Gynecology》 122 (1): 176–85. doi:10.1097/01.AOG.0000431815.52679.bb. PMID 23787936.
- ↑ Bofill Rodriguez, M; Lethaby, A; Farquhar, C (2019년 9월 19일).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for heavy menstrual bleeding.”.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9: CD000400. doi:10.1002/14651858.CD000400.pub4. PMC 6751587. PMID 31535715.
- ↑ “Surgery versus medical therapy for heavy menstrual bleeding”.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CD003855. January 2016. doi:10.1002/14651858.CD003855.pub3. PMC 7104515. PMID 26820670.
- ↑ “Chronic gynecological conditions reported by US women: findings from the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1984 to 1992”.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6 (2): 195–9. February 1996. doi:10.2105/ajph.86.2.195. PMC 1380327. PMID 8633735.
- ↑ Joseph E. Pizzorno, Michael T. Murray and Herb Joiner-Bey (2015). 《The Clinician's Handbook of Natural Medicine》. doi:10.1016/C2010-0-67298-1. ISBN 9780702055140.
- ↑ 가 나 Bofill Rodriguez, M; Lethaby, A; Farquhar, C (2019년 9월 19일).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for heavy menstrual bleeding.”.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9: CD000400. doi:10.1002/14651858.CD000400.pub4. PMC 6751587. PMID 31535715.
- ↑ “Dysmenorrhea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etiology and management”. 《Journal of Pediatric and Adolescent Gynecology》 19 (6): 363–71. December 2006. doi:10.1016/j.jpag.2006.09.001. PMID 17174824.
- ↑ 가 나 다 라 마 NICE (2018). “Heavy menstrual bleeding (update).”. 《National Guideline Alliance (UK).》. PMID 29634173.
- ↑ 가 나 “CG44 Heavy menstrual bleeding: Understanding NICE guidance” (PDF).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UK). 2007년 1월 24일.
- ↑ “Menorrhagia and hypothyroidism. Evidence supports association between hypothyroidism and menorrhagia”. 《BMJ》 320 (7235): 649. March 2000. doi:10.1136/bmj.320.7235.649. PMC 1117669. PMID 10698899.
- ↑ 가 나 Bofill Rodriguez, M; Lethaby, A; Jordan, V (2020년 6월 12일). “Progestogen-releasing intrauterine systems for heavy menstrual bleeding.”.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6: CD002126. doi:10.1002/14651858.CD002126.pub4. PMC 7388184. PMID 32529637.
- ↑ “Levonorgestrel-releasing intrauterine system and endometrial ablation in heavy menstrual bleed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bstetrics and Gynecology》 113 (5): 1104–16. May 2009. doi:10.1097/AOG.0b013e3181a1d3ce. PMID 19384127.
- ↑ “Effective treatment of heavy menstrual bleeding with estradiol valerate and dienoges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bstetrics and Gynecology》 117 (4): 777–87. April 2011. doi:10.1097/AOG.0b013e3182118ac3. PMID 21422847.
- ↑ “Cyclical progestogens for heavy menstrual bleeding”.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9년 8월 14일. doi:10.1002/14651858.CD001016.pub3. PMC 6699663. PMID 31425626.
- ↑ “Antifibrinolytics for heavy menstrual bleeding”.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8년 4월 15일. doi:10.1002/14651858.CD000249.pub2. PMC 6494516. PMID 29656433.
- ↑ “Treatment of menorrhagia during menstruation: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ethamsylate, mefenamic acid, and tranexamic acid”. 《BMJ》 313 (7057): 579–82. September 1996. doi:10.1136/bmj.313.7057.579. PMC 2352023. PMID 8806245.
- ↑ “Tranexamic acid treatment for heavy menstrual bleed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bstetrics and Gynecology》 116 (4): 865–75. October 2010. doi:10.1097/AOG.0b013e3181f20177. PMID 20859150.
- ↑ A Shaw, Julia (2014년 9월 29일). “Menorrhagia Treatment & Management”. 《Medscape》. 2015년 1월 4일에 확인함.
- ↑ Bofill Rodriguez, M; Lethaby, A; Grigore, M; Brown, J; Hickey, M; Farquhar, C (2019년 1월 22일). “Endometrial resection and ablation techniques for heavy menstrual bleeding.”.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CD001501. doi:10.1002/14651858.CD001501.pub5. PMC 7057272. PMID 30667064.
- ↑ “Menorrhagia”. 《BMJ Clinical Evidence》 2015. September 2015. PMC 4574688. PMID 26382038.
- ↑ “The case against endometrial ablation for treatment of heavy menstrual bleeding.”. 《Curr Opin Obstet Gynecol》 30 (4): 287–292. 2018. doi:10.1097/GCO.0000000000000463. PMID 29708902.
- ↑ Gupta, Janesh K.; Sinha, Anju; Lumsden, M. A.; Hickey, Martha (2014년 12월 26일). “Uterine artery embolization for symptomatic uterine fibroid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2): CD005073. doi:10.1002/14651858.CD005073.pub4. ISSN 1469-493X. PMID 25541260.
- ↑ “Trends in number of hysterectomies performed in England for menorrhagia: examination of health episode statistics, 1989 to 2002-3”. 《BMJ》 330 (7497): 938–9. April 2005. doi:10.1136/bmj.38376.505382.AE. PMC 556338. PMID 15695496.
- ↑ “Clinical outcomes and costs with the levonorgestrel-releasing intrauterine system or hysterectomy for treatment of menorrhagia: randomized trial 5-year follow-up”. 《JAMA》 291 (12): 1456–63. March 2004. doi:10.1001/jama.291.12.1456. PMID 15039412.
- ↑ “Treatment of menorrhagia with the levonorgestrel intrauterine system versus endometrial resection”. 《Fertility and Sterility》 76 (2): 304–9. August 2001. doi:10.1016/S0015-0282(01)01909-4. PMID 11476777.
- ↑ “The effectiveness of the levonorgestrel-releasing intrauterine system in menorrhagia: a systematic review”. 《BJOG》 108 (1): 74–86. January 2001. doi:10.1016/S0306-5456(00)00020-6. PMID 11213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