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도론 에서 예고로프 정리 (Егоров定理, 영어 : Egorov’s theorem )는 가측 함수 에 대하여, 점별 수렴 과 균등 수렴 이 거의 일치한다는 정리이다.
측도 공간
(
X
,
F
,
μ
)
{\displaystyle (X,{\mathcal {F}},\mu )}
에서 (보렐 시그마 대수 를 갖춘) 분해 가능 거리 공간
(
Y
,
d
)
{\displaystyle (Y,d)}
으로 가는 일련의 가측 함수 의 열
f
n
:
X
→
Y
(
n
∈
N
)
{\displaystyle f_{n}\colon X\to Y\qquad (n\in \mathbb {N} )}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이 성립한다고 하자.
μ
(
X
)
<
∞
{\displaystyle \mu (X)<\infty }
f
n
{\displaystyle f_{n}}
은 거의 어디서나 점별 수렴 한다.
예고로프 정리 에 따르면, 임의의 양의 실수
ϵ
>
0
{\displaystyle \epsilon >0}
에 대하여, 다음 성질을 만족시키는 가측 집합
X
ϵ
∈
F
{\displaystyle X_{\epsilon }\in {\mathcal {F}}}
가 존재한다.[ 1] :73 [ 2] :72, Theorem 7.1.12
μ
(
X
)
−
μ
(
X
ϵ
)
<
ϵ
{\displaystyle \mu (X)-\mu (X_{\epsilon })<\epsilon }
f
n
{\displaystyle f_{n}}
은
X
ϵ
{\displaystyle X_{\epsilon }}
위에서 균등 수렴 한다.
임의의 가측 함수
f
,
g
:
X
→
Y
{\displaystyle f,g\colon X\to Y}
에 대하여,
(
X
,
F
)
→
(
Y
×
Y
,
B
(
Y
)
×
B
(
Y
)
)
{\displaystyle (X,{\mathcal {F}})\to (Y\times Y,{\mathcal {B}}(Y)\times {\mathcal {B}}(Y))}
x
↦
(
f
(
x
)
,
g
(
x
)
)
{\displaystyle x\mapsto (f(x),g(x))}
는 가측 함수 이며,
d
:
(
Y
×
Y
,
B
(
Y
×
Y
)
)
→
(
R
,
B
(
R
)
)
{\displaystyle d\colon (Y\times Y,{\mathcal {B}}(Y\times Y))\to (\mathbb {R} ,{\mathcal {B}}(\mathbb {R} ))}
역시 연속 함수 이므로 가측 함수이다. 가정에 따라
Y
{\displaystyle Y}
가 분해 가능 거리 공간 이므로, 제2 가산 공간 이며, (거리 위상 의 곱위상 에 대한) 보렐 시그마 대수
B
(
Y
×
Y
)
{\displaystyle {\mathcal {B}}(Y\times Y)}
는 곱 시그마 대수
B
(
Y
)
×
B
(
Y
)
{\displaystyle {\mathcal {B}}(Y)\times {\mathcal {B}}(Y)}
와 일치한다. 따라서
x
↦
d
(
f
(
x
)
,
g
(
x
)
)
{\displaystyle x\mapsto d(f(x),g(x))}
는 가측 함수 이다.
이제,
f
n
{\displaystyle f_{n}}
의 거의 어디서나 점별 극한이 되는 가측 함수
f
{\displaystyle f}
를 취하자. 임의의
ϵ
>
0
{\displaystyle \epsilon >0}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점별 수렴의 정의와 측도의 성질에 따라, 임의의
m
∈
Z
+
{\displaystyle m\in \mathbb {Z} ^{+}}
에 대하여,
0
=
μ
(
⋃
m
′
=
1
∞
⋂
n
=
1
∞
⋃
i
=
n
∞
{
x
∈
X
:
d
(
f
i
(
x
)
,
f
(
x
)
)
>
1
m
′
}
)
≥
μ
(
⋂
n
=
1
∞
⋃
i
=
n
∞
{
x
∈
X
:
d
(
f
i
(
x
)
,
f
(
x
)
)
>
1
m
}
)
=
lim
n
→
∞
μ
(
⋃
i
=
n
∞
{
x
∈
X
:
d
(
f
i
(
x
)
,
f
(
x
)
)
>
1
m
}
)
{\displaystyle {\begin{aligned}0&=\mu \left(\bigcup _{m'=1}^{\infty }\bigcap _{n=1}^{\infty }\bigcup _{i=n}^{\infty }\left\{x\in X\colon d(f_{i}(x),f(x))>{\frac {1}{m'}}\right\}\right)\\&\geq \mu \left(\bigcap _{n=1}^{\infty }\bigcup _{i=n}^{\infty }\left\{x\in X\colon d(f_{i}(x),f(x))>{\frac {1}{m}}\right\}\right)\\&=\lim _{n\to \infty }\mu \left(\bigcup _{i=n}^{\infty }\left\{x\in X\colon d(f_{i}(x),f(x))>{\frac {1}{m}}\right\}\right)\end{aligned}}}
이다. (함수
x
↦
d
(
f
i
(
x
)
,
f
(
x
)
)
{\displaystyle x\mapsto d(f_{i}(x),f(x))}
가 가측 함수 이므로 위 집합들은 모두 가측 집합 이다.) 따라서
μ
(
⋃
i
=
n
(
m
)
∞
{
x
∈
X
:
d
(
f
i
(
x
)
,
f
(
x
)
)
>
1
m
}
)
<
ϵ
2
m
{\displaystyle \mu \left(\bigcup _{i=n(m)}^{\infty }\left\{x\in X\colon d(f_{i}(x),f(x))>{\frac {1}{m}}\right\}\right)<{\frac {\epsilon }{2^{m}}}}
인
n
(
m
)
∈
N
{\displaystyle n(m)\in \mathbb {N} }
이 존재한다.
이제
X
ϵ
=
⋂
m
=
1
∞
⋂
i
=
n
(
m
)
∞
{
x
∈
X
:
d
(
f
i
(
x
)
,
f
(
x
)
)
≤
1
m
}
∈
F
{\displaystyle X_{\epsilon }=\bigcap _{m=1}^{\infty }\bigcap _{i=n(m)}^{\infty }\left\{x\in X\colon d(f_{i}(x),f(x))\leq {\frac {1}{m}}\right\}\in {\mathcal {F}}}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μ
(
X
∖
X
ϵ
)
<
ϵ
{\displaystyle \mu (X\setminus X_{\epsilon })<\epsilon }
이며, 임의의
m
∈
Z
+
{\displaystyle m\in \mathbb {Z} ^{+}}
에 대하여,
d
(
f
i
(
x
)
,
f
(
x
)
)
≤
1
m
(
∀
i
≥
n
(
m
)
,
x
∈
X
ϵ
)
{\displaystyle d(f_{i}(x),f(x))\leq {\frac {1}{m}}\qquad (\forall i\geq n(m),\;x\in X_{\epsilon })}
이다. 즉,
f
i
{\displaystyle f_{i}}
는
X
ϵ
{\displaystyle X_{\epsilon }}
위에서
f
{\displaystyle f}
로 균등 수렴한다.
만약
μ
(
X
)
<
∞
{\displaystyle \mu (X)<\infty }
조건이 없으면 이 정리는 거짓이다. 예를 들어, 함수
f
n
:
R
→
R
{\displaystyle f_{n}\colon \mathbb {R} \to \mathbb {R} }
f
n
:
x
↦
{
1
x
∈
[
n
,
n
+
1
]
0
x
∉
[
n
,
n
+
1
]
{\displaystyle f_{n}\colon x\mapsto {\begin{cases}1&x\in [n,n+1]\\0&x\not \in [n,n+1]\end{cases}}}
을 생각하자. 이는 점별로 0으로 수렴하지만, 임의의 유한 측도 르베그 가측 집합
S
{\displaystyle S}
에 대하여 이 함수열은
R
∖
S
{\displaystyle \mathbb {R} \setminus S}
에서 균등 수렴 하지 않는다.
이탈리아 의 수학자 카를로 세베리니 (이탈리아어 : Carlo Severini )가 1910년에 증명하였으나, 이탈리아어 논문에 출판하여 주목받지 못했다.[ 3] 이듬해 드미트리 예고로프 가 같은 정리를 재증명하여 유명 프랑스어 저널에 출판하였다.[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