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야 김부타스
보이기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Marija Gimbutas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
마리야 김부타스(영어: Marija Gimbutas, 리투아니아어: Marija Gimbutienė 마리야 김부티에네, 1921년 1월 23일 ~ 1994년 2월 2일)는 20세기 리투아니아 출신의 고고학자이다. 1960년대 지중해 주변 유고 및 마케도니아 지역 신석기 문화 발굴에 참여하면서 각종 고대 유물 속에서 선사시대 여신 문명의 존재를 밝혀내 여신학의 역사·학술적 배경을 제공해 주었다.[1][2][3]
생애
[편집]마리야 김부타스는 195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하버드 대학교과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에 재직하면서 구 소련과 동유럽의 고고학자료를 연구했다. 하버드 대학교의 유일한 여성 고고학자로서 10년 넘게 전쟁 유물을 분류하다가 크게 실망한 뒤 연구 분야를 인도-유럽 신석기 문화 이전의 시대인 '올드 유럽'으로 전환하였다.[4][5][6][7][8][9][10]
마리야 김부타스는 '고대 유럽'(Old Europe)이라는 개념을 만들어 유럽의 신석기 시대 및 청동기 시대를 연구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폭넓게 받아들여진 쿠르간 가설(Kurgan hypothesis)로도 유명하다. 쿠르간 가설은 흑해 북부에서 카스피해에 이르는 스텝 지역에서 발전한 '쿠르간 문명'(Kurgan Culture)의 사람들이 쓰던 언어가 인도유럽조어(PIE, Proto-Indo-European)였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11]
저서
[편집]- 마리야 김부타스 저. 고혜경 역. 《여신의 언어》. 한겨레출판사. 2016년. ISBN 978-89-8431-965-3
관련 서적
[편집]- 김신명숙. 《여신을 찾아서》. 판미동. 2018년. ISBN 979-11-5888-380-5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이은경. 김신명숙, “여성운동에도 ‘힐링’이 필요합니다”. 여성신문. 2013년 9월 2일.
- ↑ 이유진. ‘여신’ 불러낸 맹렬하고 논쟁적인 고전. 한겨레. 기사입력 2016년 4월 21일. 기사수정 2016년 4월 26일.
- ↑ 엄주엽. 우리 모두는 女神에게서 나왔네. 문화일보. 2018년 5월 18일.
- ↑ 김재희. 마리야 김부타스의 여신 발굴. 한겨레21. 2005년 7월 15일.
- ↑ 이고은. 제주엔 우주 창조 ‘여신’이 살고 있었네. 경향신문. 2010년 8월 6일.
- ↑ 최현미. ‘女神의 시대’ 유물 문양에 나타난 배려·평등·평화. 문화일보. 2016년 4월 22일.
- ↑ 김영태. 잠들어 있던 여신의 역사를 깨우다. 노컷뉴스. 2016년 4월 25일.
- ↑ 김찬곤. 빗살무늬토기, 과연 기하학적 추상무늬일까. 오마이뉴스. 기사입력 2018년 10월 5일. 기사수정 2019년 1월 31일.
- ↑ 공원국. (2)강대하고도 정교한 생명 창조의 힘으로, 여신들이 세상을 지배하다 (공원국의 세계의 절반, 유목문명사). 경향신문. 2019년 1월 29일.
- ↑ 공원국. (3)“여신문명 종말, 폭력적 유목민 탓”은 무죄추정 원칙서 어긋난다 (공원국의 세계의 절반, 유목문명사). 경향신문. 2019년 2월 12일.
- ↑ 홍익희. (브라만교·불교·힌두교는 한 뿌리①) 김부타스 ‘쿠르반 가설’와 ‘기마민족설’. 아시아엔. 2017년 5월 10일.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마리야 김부타스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