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정강근
뒤정강근 | |
---|---|
정보 | |
이는곳 | 정강뼈와 종아리뼈 |
닿는곳 | 발배뼈와 안쪽쐐기뼈 |
동맥 | 뒤정강동맥 |
신경 | 정강신경 |
작용 | 발목에서 발의 안쪽번짐과 발바닥굽힘을 일으킴 |
대항근 | 안쪽번짐의 대항근인 긴종아리근, 짧은종아리근 |
식별자 | |
라틴어 | musculus tibialis posterior |
영어 | tibialis posterior muscle |
TA98 | A04.7.02.051 |
TA2 | 2666 |
FMA | 51099 |
뒤정강근(tibialis posterior muscle) 또는 후경골근(後脛骨筋)은 다리의 근육으로 종아리뒤칸에 위치하며 가장 중앙에 놓여 있다. 사람의 종아리를 안정화하는 데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구조
[편집]뒤정강근은 가쪽으로는 종아리뼈의 뒤안쪽 경계에서 시작된다.[1] 또한 안쪽으로는 정강뼈와 종아리뼈 사이에 존재하는 뼈사이막에도 붙어 있다.[1]
뒤정강근의 힘줄(간혹 posterior tibial tendon으로 지칭)은 안쪽복사 뒤쪽을 통해 아래로 내려간다.[1] 힘줄은 발바닥(plantar), 주(main), 되돌이(recurrent) 성분으로 나눠지며 끝난다. 주된 부분은 발배뼈의 결절에 닿는다.[1] 더 작은 부분은 안쪽쐐기뼈의 발바닥 쪽 면에 닿는다. 발바닥부분은 둘째, 셋째, 넷째 발허리뼈, 중간쐐기뼈와 가쪽쐐기뼈, 입방뼈의 바닥에 닿는다. 되돌이부분은 발꿈치뼈의 목말받침돌기에 닿는다.
혈액 공급은 뒤정강동맥에 의해 이루어진다.
신경 분포
[편집]정강신경이 뒤정강근에 분포한다.
기능
[편집]뒤정강근은 종아리를 안정하게 하는 데에 중요한 근육이다. 또한 수축하여 발의 안쪽번짐을 일으키고 발목에서 발의 발바닥굽힘을 돕는다.[2] 안쪽 발의 아치를 지지하는 데에도 주된 역할을 한다. 뒤정강근 힘줄의 파열과 같은 뒤정강근의 기능 이상은 성인의 평발로 이어지거나, 안쪽번짐 기능이 소실되어 가쪽번짐이 저항 없이 일어나게 되어 외반변형의 원인이 될 수 있다.[3][4]
임상적 중요성
[편집]뒤정강근 먼쪽 힘줄의 손상은 드물며 운동 중에 발생할 수 있다.[2] 보통 발목 안쪽의 통증을 증상으로 나타낸다.[2] 탈구나 열상을 포함하고 있는 손상의 경우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종종 있다.[5]
추가 이미지
[편집]-
오른쪽 다리의 뼈. 뒤쪽의 그림.
-
오른쪽 발의 뼈. 발바닥 쪽의 그림.
-
목말종아리관절과 목말발꿈치관절을 통한 관상단면
-
다리 뒤쪽 깊은층의 근육. 뒤정강근이 빨갛게 표시되어 있다.
-
발바닥 셋째층의 근육들. 뒤정강근의 힘줄이 그림 왼쪽에 표시되어 있다.
-
다리 뒤쪽 깊은층의 근육들
-
다리 뒤쪽 깊은층의 근육들
-
다리 뒤쪽의 근육들
-
발바닥의 근육들
-
발목 근처의 발등. 깊은 해부.
-
발목 근처의 발등. 깊은 해부.
-
발목관절의 깊은 해부. 안쪽에서 본 모습.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Ma, Yun-tao (2011년 1월 1일), Ma, Yun-tao, 편집., “CHAPTER 14 - General Principles of Treating Soft Tissue Dysfunction in Sports Injuries”, 《Acupuncture for Sports and Trauma Rehabilitation》 (영어) (Saint Louis: Churchill Livingstone), 212–233쪽, doi:10.1016/b978-1-4377-0927-8.00014-2, ISBN 978-1-4377-0927-8, 2021년 2월 2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Hunt, Kenneth J. (2020년 1월 1일), Porter, David A.; Schon, Lew C., 편집., “10 - Posterior Tibialis Tendon Injury in the Athlete”, 《Baxter's the Foot and Ankle in Sport (Third Edition)》 (영어) (Philadelphia: Elsevier), 206–223쪽, doi:10.1016/b978-0-323-54942-4.00010-5, ISBN 978-0-323-54942-4, 2021년 2월 21일에 확인함
- ↑ Durrant, B., Chockalingam, N. and Hashmi, F., 2011. Posterior tibial tendon dysfunction: a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Podiatric Medical Association, 101(2), pp.176-186.https://doi.org/10.7547/1010176
- ↑ Bowring, B. and Chockalingam, N., 2010. Conservative treatment of tibialis posterior tendon dysfunction—A review. The Foot, 20(1), pp.18-26.https://doi.org/10.1016/j.foot.2009.11.001
- ↑ Lohrer, H.; Nauck, T. (2010년 5월 1일). “Posterior tibial tendon dislocation: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presentation of a case”.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44 (6): 398–406. doi:10.1136/bjsm.2007.040204.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뒤정강근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Diagram at washington.edu
- Diagram at latrobe.edu.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