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뒤정강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뒤정강근
발목 주변 힘줄을 둘러싸는 윤활집. 안쪽에서 본 모습. 뒤정강근은 상단 중앙에 표시되어 있다.
정보
이는곳정강뼈종아리뼈
닿는곳발배뼈안쪽쐐기뼈
동맥뒤정강동맥
신경정강신경
작용발목에서 발의 안쪽번짐과 발바닥굽힘을 일으킴
대항근안쪽번짐의 대항근인 긴종아리근, 짧은종아리근
식별자
라틴어musculus tibialis posterior
영어tibialis posterior muscle
TA98A04.7.02.051
TA22666
FMA51099

뒤정강근(tibialis posterior muscle) 또는 후경골근(後脛骨筋)은 다리근육으로 종아리뒤칸에 위치하며 가장 중앙에 놓여 있다. 사람의 종아리를 안정화하는 데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구조

[편집]

뒤정강근은 가쪽으로는 종아리뼈의 뒤안쪽 경계에서 시작된다.[1] 또한 안쪽으로는 정강뼈와 종아리뼈 사이에 존재하는 뼈사이막에도 붙어 있다.[1]

뒤정강근의 힘줄(간혹 posterior tibial tendon으로 지칭)은 안쪽복사 뒤쪽을 통해 아래로 내려간다.[1] 힘줄은 발바닥(plantar), 주(main), 되돌이(recurrent) 성분으로 나눠지며 끝난다. 주된 부분은 발배뼈의 결절에 닿는다.[1] 더 작은 부분은 안쪽쐐기뼈의 발바닥 쪽 면에 닿는다. 발바닥부분은 둘째, 셋째, 넷째 발허리뼈, 중간쐐기뼈가쪽쐐기뼈, 입방뼈의 바닥에 닿는다. 되돌이부분은 발꿈치뼈목말받침돌기에 닿는다.

혈액 공급은 뒤정강동맥에 의해 이루어진다.

신경 분포

[편집]

정강신경이 뒤정강근에 분포한다.

기능

[편집]

뒤정강근은 종아리를 안정하게 하는 데에 중요한 근육이다. 또한 수축하여 발의 안쪽번짐을 일으키고 발목에서 발의 발바닥굽힘을 돕는다.[2] 안쪽 발의 아치를 지지하는 데에도 주된 역할을 한다. 뒤정강근 힘줄의 파열과 같은 뒤정강근의 기능 이상은 성인의 평발로 이어지거나, 안쪽번짐 기능이 소실되어 가쪽번짐이 저항 없이 일어나게 되어 외반변형의 원인이 될 수 있다.[3][4]

임상적 중요성

[편집]

뒤정강근 먼쪽 힘줄의 손상은 드물며 운동 중에 발생할 수 있다.[2] 보통 발목 안쪽의 통증을 증상으로 나타낸다.[2] 탈구나 열상을 포함하고 있는 손상의 경우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종종 있다.[5]

추가 이미지

[편집]

각주

[편집]
  1. Ma, Yun-tao (2011년 1월 1일), Ma, Yun-tao, 편집., “CHAPTER 14 - General Principles of Treating Soft Tissue Dysfunction in Sports Injuries”, 《Acupuncture for Sports and Trauma Rehabilitation》 (영어) (Saint Louis: Churchill Livingstone), 212–233쪽, doi:10.1016/b978-1-4377-0927-8.00014-2, ISBN 978-1-4377-0927-8, 2021년 2월 21일에 확인함 
  2. Hunt, Kenneth J. (2020년 1월 1일), Porter, David A.; Schon, Lew C., 편집., “10 - Posterior Tibialis Tendon Injury in the Athlete”, 《Baxter's the Foot and Ankle in Sport (Third Edition)》 (영어) (Philadelphia: Elsevier), 206–223쪽, doi:10.1016/b978-0-323-54942-4.00010-5, ISBN 978-0-323-54942-4, 2021년 2월 21일에 확인함 
  3. Durrant, B., Chockalingam, N. and Hashmi, F., 2011. Posterior tibial tendon dysfunction: a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Podiatric Medical Association, 101(2), pp.176-186.https://doi.org/10.7547/1010176
  4. Bowring, B. and Chockalingam, N., 2010. Conservative treatment of tibialis posterior tendon dysfunction—A review. The Foot, 20(1), pp.18-26.https://doi.org/10.1016/j.foot.2009.11.001
  5. Lohrer, H.; Nauck, T. (2010년 5월 1일). “Posterior tibial tendon dislocation: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presentation of a case”.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44 (6): 398–406. doi:10.1136/bjsm.2007.040204.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