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꺼풀올림근
눈꺼풀올림근 | |
---|---|
정보 | |
이는곳 | 나비뼈 작은날개 아랫면 |
닿는곳 | 윗눈꺼풀판과 윗눈꺼풀의 피부 |
동맥 | 눈동맥의 근육가지, 눈확위동맥 |
신경 | 눈돌림신경 위갈래 |
작용 | 윗눈꺼풀을 올림 |
대항근 | 눈둘레근의 눈꺼풀부분 |
식별자 | |
라틴어 | musculus levator palpebrae superioris |
영어 | levator palpebrae superioris muscle |
TA98 | A15.2.07.020 |
TA2 | 2052 |
FMA | 49041 |
눈꺼풀올림근(levator palpebrae superioris) 또는 안검거근(眼瞼擧筋), 상안검거근(上眼瞼擧筋)은 눈확의 근육으로, 윗눈꺼풀을 위로 올리는 역할을 한다.[1][2]
구조
[편집]눈꺼풀올림근은 시각신경구멍 바로 위인, 나비뼈 작은날개의 아랫면에서 일어난다. 그 후 눈꺼풀올림근은 넓고 얇게 변하면서 올림근널힘줄(거근건막, levator aponeurosis)이 된다. 올림근널힘줄은 윗눈꺼풀의 피부와 윗눈꺼풀판에 닿는다. 눈꺼풀올림근은 골격근이며, 평활근인 윗눈꺼풀판근은 눈꺼풀올림근에 붙은 채로 함께 윗눈꺼풀판에 닿는다.
혈액 공급
[편집]혈액 공급은 눈동맥의 가지들로부터 받는데, 특히 눈동맥 근육가지와 눈확위동맥이 눈꺼풀올림근에 혈액을 공급한다. 눈꺼풀올림근의 혈액을 들이는 정맥은 위눈정맥이다.
신경 분포
[편집]눈돌림신경의 위갈래가 눈꺼풀올림근의 운동 신경으로서 분포한다.[1][2][3] 눈꺼풀올림근의 아랫면에서 일어나는 평활근인 윗눈꺼풀판근은 위목신경절에서 나오는 신경절 이후 교감신경 축삭에 의해 지배된다.[2]
기능
[편집]눈꺼풀올림근은 윗눈꺼풀을 위로 올리는 작용을 한다.[1][2]
임상적 중요성
[편집]눈꺼풀올림근이나 눈꺼풀올림근에 분포하는 신경이 손상되면 윗눈꺼풀이 아래로 떨어지는 안검하수(눈꺼풀처짐)의 원인이 된다.[4][5] 눈꺼풀올림근에 분포하는 눈돌림신경이 눈꺼풀올림근을 적절히 자극하지 못하면, 근육의 힘이 중력을 이기지 못하게 되면서 눈꺼풀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눈돌림신경의 병변이 안검하수를 일으킬 수 있다.[5]
안검하수는 눈꺼풀올림근에 인접한 근육인 윗눈꺼풀판근이나, 윗눈꺼풀판근에 분포하는 교감신경의 손상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교감신경의 손상은 호너 증후군 등에서 발생하며 부분적인 안검하수로 나타난다. 상술한 두 개의 서로 다른 안검하수의 원인을 감별하는 것은 중요하다. 두 종류의 안검하수는 서로 다른 특징적인 임상적 소견을 각각 동반하므로 일반적으로는 문제 없이 구별할 수 있다.
눈꺼풀올림근의 마비로 인한 안검하수는 윗눈꺼풀판근의 마비로 인한 경우보다 더 두드러지게 안검하수가 드러난다.
추가 이미지
[편집]-
윗눈꺼풀의 시상단면
-
눈꺼풀올림근
-
눈꺼풀올림근
-
바깥눈근육과 눈확의 신경. 깊은 해부.
-
바깥눈근육과 눈확의 신경. 깊은 해부.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Liu, Grant T. (2003년 1월 1일), Samuels, Martin A.; Feske, Steven K., 편집., “Chapter 6 - Disorders of the Eyes and Eyelids”, 《Office Practice of Neurology (Second Edition)》 (영어) (Philadelphia: Churchill Livingstone), 35–69쪽, doi:10.1016/b0-44-306557-8/50008-3, ISBN 978-0-443-06557-6, 2020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Standring, Susan, 편집. (2016). 〈"Extraocular muscles: levator palpebrae superioris"〉.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41판. Philadelphia. 670쪽. ISBN 9780702052309. OCLC 920806541.
- ↑ Jackson, Timothy L., 편집. (2008년 1월 1일), “Chapter 1 - OCULOPLASTICS”, 《Moorfields Manual of Ophthalmology》 (영어) (Edinburgh: Mosby), 1–54쪽, doi:10.1016/b978-1-4160-2572-6.50006-x, ISBN 978-1-4160-2572-6, S2CID 241607885, 2020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Trobe, Jonathan D. (2008년 1월 1일), Trobe, Jonathan D., 편집., “Section 13 - Eyelid Disorders”, 《Neuro-ophthalmology》 (영어) (Edinburgh: Mosby), 229–239쪽, doi:10.1016/b978-0-323-04456-1.50016-9, ISBN 978-0-323-04456-1
- ↑ 가 나 Hejtmancik, J. F.; Cabrera, P.; Chen, Y.; M’Hamdi, O.; Nickerson, J. M. (2017년 1월 1일), Conn, P. Michael, 편집., “Chapter 19 - Vision”, 《Conn's Translational Neuroscience》 (영어) (San Diego: Academic Press), 399–438쪽, doi:10.1016/b978-0-12-802381-5.00031-2, ISBN 978-0-12-802381-5, 2020년 11월 1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