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한국 백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 {{글로벌2}}, 주석
2번째 줄: 2번째 줄:


== 고려백자 ==
== 고려백자 ==
고려 때에는 백자는 [[고려청자]]에 압도되어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였는데, 대개 소문(素文 : 무늬가 없는 것)·음각·양각·상감의 4종류로 구분해 볼 수 있다.
고려 때에는 백자는 [[고려청자]]에 압도되어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였는데, 대개 소문(素文)<ref>무늬가 없는 것</ref>·음각·양각·상감의 4종류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현재 고려백자 몇 개가 박물관이나 개인의 소장으로 전하고 있는데 빛깔은 백색·유백색·대황유백색(帶黃乳白色)·담청색·담감람색(淡橄欖色) 등이 있다.
현재 고려백자 몇 개가 박물관이나 개인의 소장으로 전하고 있는데 빛깔은 백색·유백색·대황유백색(帶黃乳白色)·담청색·담감람색(淡橄欖色) 등이 있다.


== 조선백자 ==
== 조선백자 ==
조선에 이르러서는 명나라 백자의 영향과 흰 것을 사랑하고 숭상하던 일반적 풍조에 따라 초기부터 후기 전반까지 꾸준히 발전되었다. 물론 초기에는 고려에서 시작된 [[화문 자기]](花文磁器 : 삼도수(三島手))에 눌려서 주류를 이룩하지는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용재총화》에도 나오듯이 당시 백자는 진귀품으로 궁중에서만 사용되고 있었다.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전국에 자기소(磁器所)가 136군데 있다는 기록이 보이는데, 백자가 기술적으로 완성되기는 이때가 아닌가 여겨진다. 같은 기록에 도기소(陶器所)는 185군데라고 하였다. [[조선 세조|세조]] 때에는 청료(靑料 : 자료(磁料)의 일종)의 수입(輸入)이 어려우므로 백자는 주기(酒器) 이외에는 사용을 금지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예종(睿宗) 때에는 한국에서도 청료를 채취하도록 하였다 한다.
조선에 이르러서는 명나라 백자의 영향과 흰 것을 사랑하고 숭상하던 일반적 풍조에 따라 초기부터 후기 전반까지 꾸준히 발전되었다. 물론 초기에는 고려에서 시작된 [[화문 자기]](花文磁器)<ref>삼도수(三島手)</ref>에 눌려서 주류를 이룩하지는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용재총화》에도 나오듯이 당시 백자는 진귀품으로 궁중에서만 사용되고 있었다.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전국에 자기소(磁器所)가 136군데 있다는 기록이 보이는데, 백자가 기술적으로 완성되기는 이때가 아닌가 여겨진다{{모호}}. 같은 기록에 도기소(陶器所)는 185군데라고 하였다. [[조선 세조|세조]] 때에는 청료(靑料)<ref>자료(磁料)의 일종</ref>의 수입(輸入)이 어려우므로 백자는 주기(酒器) 이외에는 사용을 금지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예종(睿宗) 때에는 한국에서도 청료를 채취하도록 하였다 한다.


이후 전국적으로 그 제조가 성행하였는데, [[임진왜란]]으로 위축되어 버리고, 백자는 화문 자기풍으로 변하여 근대에 이른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의 백자는 완벽을 자랑하는 중국 백자와는 달리 대청색(帶靑色)·대회백색(帶灰白色)·유백색(乳白色)의 것으로 그 색체에서도 특색을 지님은 물론, 기교면에서도 번잡에서 초탈(超脫)한 소박미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사람의 마음을 정적(靜寂)으로 이끄는 매력이 있다. 고려 백자에 비해 정련(精鍊)된 기묘한 멋은 없다고 하나 조대호방(粗大豪放)한 특색을 지니고 있다. 임진왜란 이후 [[일본]]에 전파되어 일본 백자의 모태가 되었다.
이후 전국적으로 그 제조가 성행하였는데, [[임진왜란]]으로 위축되어 버리고, 백자는 화문 자기풍으로 변하여 근대에 이른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의 백자는 완벽을 자랑하는 중국 백자와는 달리 대청색(帶靑色)·대회백색(帶灰白色)·유백색(乳白色)의 것으로 그 색체에서도 특색을 지님은 물론, 기교면에서도 번잡에서 초탈(超脫)한 소박미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사람의 마음을 정적(靜寂)으로 이끄는 매력이 있다. 고려 백자에 비해 정련(精鍊)된 기묘한 멋은 없다고 하나 조대호방(粗大豪放)한 특색을 지니고 있다. 임진왜란 이후 [[일본]]에 전파되어 일본 백자의 모태가 되었다.
19번째 줄: 19번째 줄:


== 문화재 ==
== 문화재 ==
기물(器物)의 종류에는 병·호(壺)·발(鉢 : 분(盆))·주발·주전자·베개(枕)·향로(香爐)·화분대(花盆臺)·필통(筆筒)·연적(硯滴)·기타 문방구 등이 있다. 현재 보물로 지정되어 전하는 것으로는 [[청화백자 매조죽문 호]](靑華白瓷梅鳥竹文壺 : 국보 제170호), [[청화백자 홍치이년명 송죽문 호]](靑華白瓷弘治二年銘松竹文壺 : 국보 제176호), [[청화백자 매죽문 호]](靑華白瓷梅竹文壺 : 국보 제219호, 222호), [[백자 박산향로]](白磁博山香爐 : 240호), [[청화백자 철사진사 양각국문 병]](靑花白磁鐵砂辰砂陽刻菊文甁 : 241호), [[청화백자 죽문 각병]](靑華白瓷竹文角甁 : 국보 제258호), [[청화백자 산수화조문 대호]](靑華白瓷山水花鳥文大壺 : 국보 제263호), [[청화백자 철사진사 국화문 병]](靑華白瓷鐵沙辰沙菊花文甁 : 국보 제294호), [[백자 상감 모란문매 병]](白磁象嵌牡丹文梅甁 : 345호 [[고려]]) 등이 있다.
기물(器物)의 종류에는 병·호(壺)·발(鉢)<ref>분(盆)</ref>·주발·주전자·베개(枕)·향로(香爐)·화분대(花盆臺)·필통(筆筒)·연적(硯滴)·기타 문방구 등이 있다. 현재 [[국보]] 지정되어 전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청화백자 매조죽문 호]](靑華白瓷梅鳥竹文壺 : 국보 제170호)
{{글로벌세계대백과}} <!-- 〈양반관료의 문화〉, 〈서민예술〉 -->

*[[청화백자 홍치이년명 송죽문 호]](靑華白瓷弘治二年銘松竹文壺 : 국보 제176호)

*[[청화백자 매죽문 호]](靑華白瓷梅竹文壺 : 국보 제219호, 222호)

*[[백자 박산향로]](白磁博山香爐 : 국보 240호)

*[[청화백자 철사진사 양각국문 병]](靑花白磁鐵砂辰砂陽刻菊文甁 : 국보241호)

*[[청화백자 죽문 각병]](靑華白瓷竹文角甁 : 국보 제258호)

*[[청화백자 산수화조문 대호]](靑華白瓷山水花鳥文大壺 : 국보 제263호)

*[[청화백자 철사진사 국화문 병]](靑華白瓷鐵沙辰沙菊花文甁 : 국보 제294호)

*[[백자 상감 모란문매 병]](白磁象嵌牡丹文梅甁 : 국보 345호)
== 참고 문헌 ==
{{글로벌세계대백과2|제목=〈양반관료의 문화〉}}
{{글로벌세계대백과2|제목=〈서민예술〉}}

== 주석 ==

<references/>
[[분류:도예]]
[[분류:도예]]
[[분류:한국의 문화재]]
[[분류:한국의 문화재]]

2009년 1월 22일 (목) 16:39 판

한국 백자(韓國白磁)는 고려 말기에 송나라 정요(定窯)의 영향을 받아 시작되었고, 조선시대에 이르러 전성기를 이루었다.

고려백자

고려 때에는 백자는 고려청자에 압도되어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였는데, 대개 소문(素文)[1]·음각·양각·상감의 4종류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현재 고려백자 몇 개가 박물관이나 개인의 소장으로 전하고 있는데 빛깔은 백색·유백색·대황유백색(帶黃乳白色)·담청색·담감람색(淡橄欖色) 등이 있다.

조선백자

조선에 이르러서는 명나라 백자의 영향과 흰 것을 사랑하고 숭상하던 일반적 풍조에 따라 초기부터 후기 전반까지 꾸준히 발전되었다. 물론 초기에는 고려에서 시작된 화문 자기(花文磁器)[2]에 눌려서 주류를 이룩하지는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용재총화》에도 나오듯이 당시 백자는 진귀품으로 궁중에서만 사용되고 있었다.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전국에 자기소(磁器所)가 136군데 있다는 기록이 보이는데, 백자가 기술적으로 완성되기는 이때가 아닌가 여겨진다[모호한 표현]. 같은 기록에 도기소(陶器所)는 185군데라고 하였다. 세조 때에는 청료(靑料)[3]의 수입(輸入)이 어려우므로 백자는 주기(酒器) 이외에는 사용을 금지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예종(睿宗) 때에는 한국에서도 청료를 채취하도록 하였다 한다.

이후 전국적으로 그 제조가 성행하였는데, 임진왜란으로 위축되어 버리고, 백자는 화문 자기풍으로 변하여 근대에 이른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의 백자는 완벽을 자랑하는 중국 백자와는 달리 대청색(帶靑色)·대회백색(帶灰白色)·유백색(乳白色)의 것으로 그 색체에서도 특색을 지님은 물론, 기교면에서도 번잡에서 초탈(超脫)한 소박미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사람의 마음을 정적(靜寂)으로 이끄는 매력이 있다. 고려 백자에 비해 정련(精鍊)된 기묘한 멋은 없다고 하나 조대호방(粗大豪放)한 특색을 지니고 있다. 임진왜란 이후 일본에 전파되어 일본 백자의 모태가 되었다.

청화 백자

청화 백자(靑華白磁)는 조선 후기에 발달한 백자의 일종이다.

조선 초에는 회회청(回回靑)이란 청색의 안료(顔料)를 아랍에서 중국을 거쳐 수입해온 관계로 청화백자는 극히 귀하였고, 민간에서 사용하는 것은 금지되었다.

조선 후기 정조 때 국내산 안료를 개발하여 쓰기 시작하면서부터 민간에서도 널리 사용하게 되어 청화백자가 크게 발달한 것이다. 푸른색만을 써서 산수·화조(花鳥)·초목 등을 붓으로 슬쩍 그려서 구운 청화백자는 청·홍·녹(綠) ·자(紫) 등 여러 색깔을 사용한 당시의 중국이나 일본의 색채 도자기와는 판이한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다. 이 속에는 한국적인 야취(野趣)에 넘치는 소박한 시감(詩感)이 깃들여 있다.

문화재

기물(器物)의 종류에는 병·호(壺)·발(鉢)[4]·주발·주전자·베개(枕)·향로(香爐)·화분대(花盆臺)·필통(筆筒)·연적(硯滴)·기타 문방구 등이 있다. 현재 국보로 지정되어 전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참고 문헌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양반관료의 문화〉〉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서민예술〉〉

주석

  1. 무늬가 없는 것
  2. 삼도수(三島手)
  3. 자료(磁料)의 일종
  4. 분(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