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남
이대남(한국 한자: 二代男)은[1] "20대 남성"(한국 한자: 二十代男性)의 줄임말로, 대한민국에서 20대 남성을 지칭하는 신조어이다. 2010년대 후반 일부 언론에 처음 등장하여 투표권을 가진 남성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페미니즘에 대해 부정적인 경향을 가진 보수 성향이 두렷한 2020년대 초반 기준의 남성을 지칭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2] 정치적, 사회적 반의어로는 이십대여자의 줄임말인 "이대녀"(二代女)가 있다.[3][4]
배경
편집2018년 말, 문재인 정부 집권 1년 차 지지율이 하락한 이후 '이대남'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언론은 20대의 큰 성별 격차에 주목하였다. 20대 한국 남성의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은 30% 미만으로 떨어졌다. 이는 보수적 성향이 강한 노년층을 포함한 모든 연령대 중 가장 낮은 수치였다. 반면 20대 여성의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은 63.5%로, 연령별 남녀 집단 중 가장 높았다.[5]
한귀영의 이대남 현상을 조사한 분석에 따르면, 20대 남성은 주관적 이념 성향과 대통령 업무 수행 평가에서 가장 보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6] 이대남이라는 단어의 사용은 2021년 재보궐선거 서울시장 선거에서 20대 남성의 오세훈 득표율이 70%를 넘으면서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경향
편집이대남은 페미니즘에 대해 부정적인 경향을 보인다. 이들은 수전 팔루디의 1991년 저서 《백래시》에 등장하는 "분노한 젊은 남성들"과 비교되어 왔다.[7] 이대남은 남성혐오에 강하게 반대한다.[8]
2021년 국가인권위원회의 조사에 따르면 20대 남성의 70퍼센트가 여성을 위한 적극적 조치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 많은 이대남은 성별 할당제가 차별적이라고 믿는다.[10] 또한 2021년 통계에 따르면, 20대와 30대 남성("이대남")은 40대와 50대 남성("386 세대 남성")보다 성소수자 권리에 대해 덜 수용적이지만, 60대 이상 남성보다는 더 수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11]
대한민국 정치와 이대남
편집이대남 현상은 미국의 정치적 언어에서 말하는 "분노한 백인 남성"과 유사한 '사회적 반발'의 한 형태로 설명되어 왔으나, 이는 종종 정치적 보수주의나 포퓰리즘(좌익과 우익 양측 모두 포함)으로 이어진다. 한국의 중도 우파 언론인 중앙일보는 당시 국민의힘 대표였던 이준석이 이대남의 표를 얻기 위해 반페미니즘 조사를 활용한다고 보도했다.[12]
한국의 진보 성향 문재인 정부는 이전 보수 정부보다 더 페미니즘적인 정책을 실행했고, 20대 남성들은 이에 대해 심한 반감을 가졌다.[13] 2022년 한국 대선의 주요 후보였던 보수 국민의힘의 윤석열과 진보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은 이대남의 표를 얻기 위해 페미니즘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취했다.[3]
중도 보수-자유주의 국민의당의 안철수는 윤석열과 이재명이 성차별적인 이대남에게 아부하기 위해 여성혐오를 조장한다고 비판했다.[14] 특히 한국의 우파와 사회 보수주의자들은 페미니즘을 적극적으로 공격함으로써 이대남을 그들의 주요 지지 기반으로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다.[13][15][16]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idaenam”. 《HuffPost Korea》. 2022년 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7월 6일에 확인함.
- ↑ Sooah, Kim (2021). “Men in their Twenties Angry at Feminism : Discourse Analysis of “Megal and the Finger Controversy””.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53): 443–475. doi:10.15686/fkl.2021..53.443. ISSN 1229-4632.
- ↑ 가 나 최은희 (2021년 11월 26일). “이대남 찾으러 간 윤석열·이재명…‘이대녀’는 누가 챙길까”. 《쿠키뉴스》. 2024년 7월 6일에 확인함.
- ↑ 이윤정 (2022년 3월 9일). “'출구조사 20대 표심' 남성은 윤석열, 여성은 이재명···10명 중 6명꼴 '몰표'”. 《경향신문》. 2023년 3월 22일에 확인함.
- ↑ 김아사 (2019년 1월 5일). “[아무튼, 주말] 이대남의 항변 "우리를 여성 혐오자라고 착각하지 마라"”. 《조선일보》. 2023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한귀영 (2021년 12월). “20대 남성의 보수화 논의, 그 역사와 함의”. 《한국정치평론학회》 29: 165.
- ↑ “한국의 '이대남'과 미국의 '브로플레이크' ... '백래시의 시간'이 왔다” [Korea's "Idaenam" and America's "broflake" ... "Time for Backlash" is here.]. 《프레시안》. 2021년 5월 25일. 2021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정치권이 키운 '이대남' 프레임, 결국 GS25 사태 불러일으켜”. 《투데이신문》. 2021년 5월 6일. 2021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이대남 70% "여성할당제 반대"”. 《The Financial News》. 2021년 8월 25일. 2021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이대남의 항변 "우리를 여성 혐오자라고 착각하지 마라"”. 《The Chosun Ilbo》. 2019년 1월 5일. 2021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성소수자인식지표 – 2021년] 성소수자를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 – 성소수자에 대한 인식”. 2021년 7월 14일.
- ↑ 성지원 (2021년 11월 22일). “'안티페미' 목청 올리는 이준석 정치적 영토 '이대남' 챙기기?”. 《중앙일보》. 2024년 7월 6일에 확인함.
- ↑ 가 나 S. Nathan Park (2021년 6월 23일). “Why So Many Young Men in South Korea Hate Feminism”. 《Foreign Policy》.
- ↑ “안철수 "尹·洪, 이대남 눈치보며 여성공약 ... 이재명, 편가르기"”. 《JoongAng Ilbo》. 2020년 10월 11일. 2021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 “The Little Symbol Triggering Men in South Korea's Gender War”. 《New York Times》. 2021년 7월 30일.
- ↑ 김주희 (2021년 11월 13일). “혐오를 이용하는 치졸한 정치, 이제는 멈추자”. 《프레시안》. 2024년 7월 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