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FriedC/연습장
우라시마 타로(일본어: 浦島 太郎)는 일본 설화(일본어: おとぎ話 오토기바나시[*])의 주인공으로, 일반적인 현대 버전에서는 바다거북을 구해준 대가로 보상을 받고 그 거북의 등을 타고 바다 밑의 용궁성(일본어: 竜宮城 류구우조우[*])으로 가게 되는 어부이다. 그곳에서 공주 오토히메의 환대를 받는다. 공주와 함께 불과 며칠을 보낸 것으로 생각했지만, 고향 마을로 돌아왔을 때 최소 100년이 지났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떠나올 때 오토히메가 준 금기의 구슬 상자(일본어: 玉手箱 다마테바코[*])를 열자 노인이 되고 만다.
이 이야기는 8세기의 문헌인 단고국의 《풍토기》, 《일본서기》, 《만엽집》 등에 기록된 우라시마코(일본어: 浦島子 또는 일본어: 浦の島子 우라노시마코[*]) 전설에서 유래했다.
무로마치 시대부터 에도 시대에 걸쳐 《우라시마 타로》 이야기는 《오토기조시》라는 이야기책 형태로 나타났으며, 정교하게 채색된 두루마리 그림과 그림책, 또는 대량 인쇄본으로 제작되었다. 이러한 문헌들은 내용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데, 일부 판본에서는 우라시마 타로가 학으로 변하는 것으로 이야기가 끝난다.
현대 버전에 나타나는 몇 가지 상징적인 요소들은 비교적 최근의 것이다. 거북을 타고 가는 모습은 18세기 초에야 등장했으며, 현대의 이야기에서는 용궁으로 물속을 통과해 가지만, 옛 버전에서는 배를 타고 호라이(중국어 정체자: 蓬萊, 한자음: 봉래)라 불리는 공주의 세계로 간다.
설화 또는 동화
편집대부분의 일본인들에게 익숙한 우라시마 타로 이야기는 메이지 시대의 아동문학 작가 이와야 사자나미가 쓴 이야기의 줄거리를 따른다. 사자나미의 이야기를 축약한 버전이 일본의 국정 교과서인 국정교과서에 실리면서 일반 대중의 학생들 사이에서 널리 읽히게 되었다. 현재 통용되는 우라시마 타로의 여러 버전들은 대체로 비슷한데, 이 국정교과서 시리즈에 실린 이야기를 바탕으로 각색했음이 분명히 드러난다.
줄거리
편집어느 날, 우라시마 타로라는 젊은 어부가 낚시를 하던 중 아이들이 작은 거북을 괴롭히는 것을 발견한다. 타로는 거북을 구해주어 바다로 돌려보낸다. 다음 날, 커다란 거북이 그에게 다가와 그가 구해준 작은 거북이 바다의 제왕인 용신의 딸이며, 용신이 감사 인사를 전하고 싶어 한다고 말한다. 거북은 마법으로 타로에게 아가미를 만들어 주고 바다 밑 용궁으로 데려간다. 그곳에서 그는 용왕과 이제는 아름다운 공주가 된 작은 거북, 오토히메를 만난다. 궁전의 사방에는 각기 다른 계절의 풍경이 펼쳐져 있었다. 타로는 오토히메와 함께 그곳에서 사흘을 지내지만, 곧 마을로 돌아가 나이 든 어머니를 뵙고 싶어져 떠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한다. 공주는 그가 떠나는 것이 아쉽지만 잘 다녀오라고 하며 다마테바코라는 신비한 상자를 준다. 오토히메는 그 상자가 그를 해로운 것으로부터 보호해줄 것이지만 절대로 열어서는 안된다고 당부한다. 타로는 상자를 들고 자신을 이곳까지 데려왔던 거북의 등에 올라타 곧 해변가에 도착한다.
집으로 돌아왔을 때 모든 것이 변해 있었다. 집은 사라지고 어머니도 보이지 않았으며, 아는 사람들도 찾을 수 없었다. 그는 사람들에게 우라시마 타로라는 사람을 아는지 물어보았다. 그들은 그런 이름의 사람이 오래전에 바다에서 사라졌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고 대답했다. 그는 자신이 바다 밑으로 떠난 날로부터 300년이 지났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비통한 심정에 정신없이 공주가 준 상자를 열어보니, 그 안에서 하얀 연기가 피어올랐다. 그는 갑자기 늙어 수염이 길고 하얗게 변하고 등이 굽어버렸다. 바다에서 공주의 슬프고도 달콤한 목소리가 들려왔다. "그 상자를 열지 말라고 했잖아요. 그 안에는 당신의 늙음이 담겨 있었는데..."
흔히 알려진 판본
편집국정교과서의 우라시마 이야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기본 텍스트는 1918년부터 1932년까지 널리 사용된 교과서인 《국어독본》 제3기에 실린 《우라시마 타로》(うらしま太郎)이다.
옛날에 직업이 명시되지 않은(최근의 교과서에서는 주로 어부로 나오는) 우라시마 타로라는 사람이 해변에서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거북을 발견했다. 그는 거북을 사서 바다로 돌려보냈다.
이틀이나 사흘이 지난 뒤, 그가 늘 하던 대로 배에서 낚시를 하고 있을 때 은혜를 갚고자 하는 거북이 나타나 자신의 등에 태워 바다 속 용궁으로 데려가겠다고 했다. 궁전에서 공주(오토히메)는 거북을 구해준 것에 대해 감사를 표했다.
며칠이 지난 후, 부모님 생각이 나서 향수병이 든 그는 오토히메에게 작별을 고했다. 공주는 그가 떠나는 것을 만류했으나 결국 이별의 선물로 다마테바코라는 신비한 상자를 주며 절대로 뚜껑을 열지 말라고 당부했다.
타로가 고향에 돌아왔을 때 모든 것이 변해 있었다. 집은 사라졌고, 부모님은 돌아가셨으며, 아는 사람들도 찾을 수 없었다. 공주의 경고를 잊어버린 그는 상자의 뚜껑을 열었다. 하얀 연기가 피어올라 그를 백발의 노인으로 만들어버렸다.
이 이야기는 1933년부터 1940년경까지 사용된 제4기 국어독본 교과서인 《사쿠라 독본》에 실린 십여 편의 이야기 중 하나로 남아 계속해서 널리 알려졌다. 이러한 이유로 《우라시마》는 이른바 일본의 "국민 동화" 중 핵심 이야기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학교 노래
편집이야기를 여러 가지 음악으로 편곡한 버전이 존재한다. 그중 가장 인기 있는 것은 1911년의 학교 노래 《우라시마 타로》(浦島太郎)로, "옛날 옛적에 우라시마는 구해준 거북에게 이끌려"(むかし、むかしうらしまは、助けた亀に連られて)라는 구절로 시작하며 《상급 초등 창가》(1911년)에 실려 있다. 이 노래의 작자는 오랫동안 알려지지 않았으나, 현재는 오코쓰 사부로가 작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 다른 학교 노래 《우라시마 타로》(うらしまたろう, 이시하라 와사부로 작사, 타무라 토라조 작곡)는 《유년 창가》(1900년)에 실렸다. 고어체로 쓰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우라는 이 버전이 더 친숙하다고 보았다.
오토기조시
편집19세기 교과서 버전이 나오기 훨씬 전에 이미 무로마치 시대의 《오토기조시》 버전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평론가들이 《오토기조시》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는 인쇄되어 널리 보급된 《오토기분코》에 실린 텍스트를 기본적으로 지칭한다.
오토기분코
편집《오토기분코》 버전에서는 우라시마 타로라는 젊은 어부가 낚시 줄에 걸린 거북을 풀어준다. 다음 날, 우라시마는 한 여인이 타고 있는 배를 만나는데 그 여인이 집으로 데려다 달라고 부탁한다. 그녀는 자신의 정체를 밝히지 않지만, 사실 그가 살려준 거북이 변신한 것이다. 우라시마가 그녀의 배를 저어 호화로운 저택에 도착하자, 그녀는 혼인을 제안한다. 그 저택은 용궁이었으며, 궁전의 사방에는 각기 다른 계절의 정원 풍경이 펼쳐져 있었다. 우라시마는 3년 후 고향으로 돌아가기로 결심하고 이별의 선물로 형견의 상자를 받는다. 고향에 도착했을 때 마을은 황폐해져 있었고, 그가 떠난 지 700년이 지났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는 열지 말라는 경고를 받은 상자를 열어보고 싶은 유혹을 이기지 못하고, 상자를 열자 보라색 구름 세 줄기가 나와 그를 노인으로 만들어버린다. 이야기는 우라시마 타로가 학으로 변하고, 그의 아내는 거북의 모습으로 돌아가며, 둘은 이후 신토의 묘진으로 숭배받게 된다는 것으로 끝난다.
변형과 분류
편집우라시마 타로 《오토기조시》의 현존하는 텍스트는 50개가 넘는다. 이러한 변형들은 유사성에 따라 크게 네 그룹으로 나뉜다. 《오토기분코》 텍스트는 4군에 속한다.
현대 버전과 가장 가까운 그룹
편집《오토기분코》 버전은 관례적으로 대표 텍스트로 여겨지지만 현대의 일반적인 아동 이야기책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주인공이 거북을 사서 구해주지도 않고, 거북을 타고 가지도 않는다.
1군 텍스트는 우라시마가 거북을 사서 구해준다는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현대 버전과 더 유사하다. 또한 이 그룹에서는 공주의 이름을 오토미메(또는 "거북의 오토히메")라고 명시하고 있는 반면, 《오토기분코》 그룹에서는 그녀의 이름이 언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현대 독자들에게 친숙한 다마테바코 또는 "구슬 상자"라는 표현도 다른 그룹이 아닌 1군의 본문에서 볼 수 있다(삽입된 시는 제외).
옥스퍼드 대학교 보들리언 도서관 소장의 그림 두루마리도 1군에 속한다.
하야시 코헤이는 1군 텍스트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1) 우라시마가 다른 사람들이 잡은 거북을 사서 구한다, 2) 호라이로 가는 배가 도착한다, 3) 사계절이 향수병을 자극하기보다는 달래준다, 4) 마을 사람들이 그의 장수를 인정하고 적절한 화장을 해준다, 5) 다마테바코에서 나온 연기가 호라이에 닿아 오토히메 공주가 비통해한다.
역사
편집우라시마 타로라는 완전한 이름은 15세기(무로마치 시대)까지 주인공에게 주어지지 않았으며, 《오토기조시》라고 알려진 삽화가 있는 대중소설 장르와 교겐 연극 각색에서 처음 등장했다.
이야기 자체는 8세기(나라 시대)의 훨씬 오래된 자료에서 찾을 수 있는데, 여기서 주인공은 "우라시마노코" 또는 "우라(노)시마코"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이는 발췌본으로 남아있는 단고국의 《풍토기》(《단고국 풍토기》), 《만엽집》, 《일본서기》와 같은 초기 자료에서 확인된다.
이들 텍스트의 최근 판본들은 "우라(노)시마코"라는 읽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지만, 일부에서는 이를 논쟁의 여지가 있다고 본다.
헤이안 시대에 이르러서야 "우라시마(노)코"라는 잘못된 읽기가 유행하게 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이는 '-코'("아이")라는 접미사가 원래는 성별에 관계없이 사용되었음에도 여성의 이름으로 여겨지게 되었기 때문이다. 교겐 극본 텍스트가 쓰여질 때, 등장인물의 이름은 우라시마 타로로 더 변화했는데, '-타로'("큰 아이")는 남성 이름에서 흔한 접미사였다. 또는 교겐의 전형적인 인물인 다로 가자(太郎 冠者)에서 이름을 차용했을 수도 있다.
용궁
편집《만엽집》의 시가는 불로의 나라의 여인뿐만 아니라 그녀의 아버지인 바다신(와타쓰미)도 언급한다. 이 바다신을 용신이나 용왕과 자동으로 동일시할 수는 없지만, 당나라 시대 중국 신화인 용의 아홉 자손의 영향으로 초기 버전에서도 거북 공주가 용왕의 딸이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우라시마가 방문한 이계는 《오토기조시》 버전이 나올 때까지 "용궁"(류구)이 아니었다. 《오토기조시》가 나온 뒤 여주인공은 용왕의 둘째 딸인 오토히메가 되었다.
상대적 연대
편집이러한 텍스트들의 상대적 연대에 대해서는 《풍토기》 버전을 가장 오래된 것으로 보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 주장은 《단고 풍토기》를 715년 직후로 보지만, 편찬자들은 내용이 동일했던 이요베노 우마카이의 더 이른 기록을 참조했다고 한다. 가토 슈이치는 이 우마카이가 비슷한 중국 이야기를 일본어로 각색했을 것이라고까지 제안했다.
단고 풍토기
편집이 버전에서 주인공은 "미즈노에의 우라시마코" 또는 "요사군 쓰쓰카와의 우라시마코"로 언급된다.
우라시마코는 오색 거북을 잡아 배에 두었는데, 그가 잠든 동안 그 생물은 아름다운 여인으로 변한다. 그녀는 자신을 불로인의 집안 사람이라고 밝히며, 불로인의 땅으로 그를 데려가겠다고 제안한다. 이곳은 호라이산(봉래산)이나 "도코요노쿠니"("시간이 없는 땅" 또는 "영원의 땅")일 수 있다.
그들은 먼저 일곱 명, 그다음 여덟 명의 아이들의 환영을 받는데, 이들은 플레이아데스 성좌와 황소자리(더 정확히는 히아데스 성단)를 나타내며 그를 "거북 공주의 남편"이라고 부른다. 나머지 내용은 대체로 전형적인 이야기와 같다.
3년이 지난 후, 그는 부모님과 고향이 그리워진다. 공주는 슬퍼하면서도 그에게 구슬 빗상자를 주며, 자신에게 돌아오고 싶다면 절대로 열지 말라고 한다. 그가 돌아와보니 집이나 가족의 흔적을 찾을 수 없었고, 오래전에 사라진 사람으로만 기억될 뿐이었으며, 살아있다면 300살이 넘었을 것이라고 했다. 약속을 잊은 그가 상자를 열자, 난초처럼 아름다운 형상이 구름과 함께 하늘로 날아가 버렸고, 그는 다시는 공주를 만날 수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래도 두 사람은 어떻게든(초자연적으로) 시를 주고받을 수 있었다. 이 시들은 음성적 만요가나로 기록되어 있다.
일본서기
편집《일본서기》에서 미즈노에의 우라시마코는 유랴쿠 천황 통치 22년 가을 7월의 기록에 언급된다. 애스턴의 번역은 이를 서기 478년으로 본다. 기록에 따르면 미즈노에의 우라시마코가 배에서 낚시를 하다가 여인으로 변한 거북을 잡았다. 그들은 바다로 들어가 봉래산(가나로는 도코요라고 표기)에 도착했고, 그곳에서 불로인들을 보았다.
"바다로 들어간다"는 구절이 암시하듯이, 여기서 구상된 봉래산은 해저 섬일 수 있다는 제안을 일본 문학 교수 오쿠마 기이치로가 했다.
만엽집
편집미즈노에의 우라시마 전설을 다룬 시가 《만엽집》에 나온다. 이 작품은 다카하시노 무시마로의 것으로 전해진다. 이 버전에서 불로의 땅(도코요)의 여인은 바다신(와타쓰미)의 딸로 등장한다.
- ↑ Hayashi (2001), 3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