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eda4f1d

Browse files
Seo-yulbconfiden2
andcommitted
[ko] Update outdated files dev-1.26-ko.1 (M143 - M148)
Apply suggestions from code review Co-authored-by: Sanghong Kim <[email protected]>
1 parent c4b3d67 commit eda4f1d

File tree

6 files changed

+69
-63
lines changed

6 files changed

+69
-63
lines changed

content/ko/docs/tasks/access-application-cluster/configure-access-multiple-clusters.md

Lines changed: 40 additions & 19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2,7 +22,8 @@ card:
2222

2323

2424
{{< warning >}}
25-
신뢰할 수 있는 소스의 kubeconfig 파일만 사용해야 한다. 특수 제작된 kubeconfig 파일은 악성코드를 실행하거나 파일을 노출시킬 수 있다.
25+
신뢰할 수 있는 소스의 kubeconfig 파일만 사용해야 한다.
26+
특수 제작된 kubeconfig 파일은 악성코드를 실행하거나 파일을 노출시킬 수 있다.
2627
신뢰할 수 없는 kubeconfig 파일을 꼭 사용해야 한다면, 셸 스크립트를 사용하는 경우처럼 신중한 검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2728
{{< /warning>}}
2829

@@ -40,12 +41,12 @@ card:
4041

4142
## 클러스터, 사용자, 컨텍스트 정의
4243

43-
당신이 개발 작업을 위한 클러스터와 스크래치 작업을 위한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44+
당신이 개발 작업을 위한 클러스터와 테스트 작업을 위한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4445
`development` 클러스터에서는 프런트 엔드 개발자들이 `frontend`라는 네임스페이스에서
4546
작업을 하고 있고, 스토리지 개발자들은 `storage`라는 네임스페이스에서 작업을 하고 있다.
46-
`scratch` 클러스터에서는 개발자들이 default 네임스페이스에서 개발하거나 필요에 따라 보조
47+
`test` 클러스터에서는 개발자들이 default 네임스페이스에서 개발하거나 필요에 따라 보조
4748
네임스페이스들을 생성하고 있다. development 클러스터에 접근하려면 인증서로 인증을 해야 하고,
48-
scratch 클러스터에 접근하려면 사용자네임과 패스워드로 인증을 해야 한다.
49+
test 클러스터에 접근하려면 사용자네임과 패스워드로 인증을 해야 한다.
4950

5051
`config-exercise`라는 디렉터리를 생성한다. `config-exercise` 디렉터리에
5152
다음 내용을 가진 `config-demo`라는 파일을 생성한다.
@@ -59,7 +60,7 @@ clusters:
5960
- cluster:
6061
name: development
6162
- cluster:
62-
name: scratch
63+
name: test
6364

6465
users:
6566
- name: developer
@@ -71,7 +72,7 @@ contexts:
7172
- context:
7273
name: dev-storage
7374
- context:
74-
name: exp-scratch
75+
name: exp-test
7576
```
7677
7778
구성 파일은 클러스터들, 사용자들, 컨텍스트들을 기술한다. `config-demo` 파일은 두 클러스터들과
@@ -82,11 +83,15 @@ contexts:
8283

8384
```shell
8485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set-cluster development --server=https://1.2.3.4 --certificate-authority=fake-ca-file
85-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set-cluster scratch --server=https://5.6.7.8 --insecure-skip-tls-verify
86+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set-cluster test --server=https://5.6.7.8 --insecure-skip-tls-verify
8687
```
8788

8889
사용자의 세부사항들을 구성 파일에 추가한다.
8990

91+
{{< caution >}}
92+
쿠버네티스 클라이언트 구성에 암호를 저장하는 것은 위험하다. 자격 증명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별도로 저장하는 것이 더 나은 대안이다. [client-go 자격증명 플러그인](/docs/reference/access-authn-authz/authentication/#client-go-credential-plugins)을 참고한다.
93+
{{< /caution >}}
94+
9095
```shell
9196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set-credentials developer --client-certificate=fake-cert-file --client-key=fake-key-seefile
9297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set-credentials experimenter --username=exp --password=some-password
@@ -103,7 +108,7 @@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set-credentials experimenter --username=
103108
```shell
104109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set-context dev-frontend --cluster=development --namespace=frontend --user=developer
105110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set-context dev-storage --cluster=development --namespace=storage --user=developer
106-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set-context exp-scratch --cluster=scratch --namespace=default --user=experimenter
111+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set-context exp-test --cluster=test --namespace=default --user=experimenter
107112
```
108113

109114
`config-demo` 파일을 열어서 세부사항들이 추가되었는지 확인한다. `config-demo` 파일을 열어보는
@@ -125,7 +130,7 @@ clusters:
125130
- cluster:
126131
insecure-skip-tls-verify: true
127132
server: https://5.6.7.8
128-
name: scratch
133+
name: test
129134
contexts:
130135
- context:
131136
cluster: development
@@ -138,10 +143,10 @@ contexts:
138143
user: developer
139144
name: dev-storage
140145
- context:
141-
cluster: scratch
146+
cluster: test
142147
namespace: default
143148
user: experimenter
144-
name: exp-scratch
149+
name: exp-test
145150
current-context: ""
146151
kind: Config
147152
preferences: {}
@@ -152,6 +157,11 @@ users:
152157
client-key: fake-key-file
153158
- name: experimenter
154159
user:
160+
# 문서 참고 사항 (이 설명은 명령 출력의 일부가 아니다.)
161+
# 쿠버네티스 클라이언트 구성에 암호를 저장하는 것은 위험하다.
162+
# 자격 증명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163+
# 자격 증명을 별도로 저장하는 것이 더 나은 대안이다.
164+
# 다음을 참고하자. https://kubernetes.io/docs/reference/access-authn-authz/authentication/#client-go-credential-plugins
155165
password: some-password
156166
username: exp
157167
```
@@ -210,19 +220,19 @@ users:
210220
client-key: fake-key-file
211221
```
212222

213-
이제 당신이 잠시 scratch 클러스터에서 작업하려고 한다고 가정해보자.
223+
이제 당신이 잠시 test 클러스터에서 작업하려고 한다고 가정해보자.
214224

215-
현재 컨텍스트를 `exp-scratch`로 변경한다.
225+
현재 컨텍스트를 `exp-test`로 변경한다.
216226

217227
```shell
218-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use-context exp-scratch
228+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use-context exp-test
219229
```
220230

221-
이제 당신이 실행하는 모든 `kubectl` 커맨드는 `scratch` 클러스터의
222-
default 네임스페이스에 적용되며 `exp-scratch` 컨텍스트에 나열된
231+
이제 당신이 실행하는 모든 `kubectl` 커맨드는 `test` 클러스터의
232+
default 네임스페이스에 적용되며 `exp-test` 컨텍스트에 나열된
223233
사용자의 자격증명을 사용할 것이다.
224234

225-
현재의 컨텍스트인 `exp-scratch`에 관련된 설정을 보자.
235+
현재의 컨텍스트인 `exp-test`에 관련된 설정을 보자.
226236

227237
```shell
228238
kubectl config --kubeconfig=config-demo view --minify
@@ -328,10 +338,10 @@ contexts:
328338
user: developer
329339
name: dev-storage
330340
- context:
331-
cluster: scratch
341+
cluster: test
332342
namespace: default
333343
user: experimenter
334-
name: exp-scratch
344+
name: exp-test
335345
```
336346

337347
kubeconfig 파일들을 어떻게 병합하는지에 대한 상세정보는
@@ -388,6 +398,17 @@ export KUBECONFIG="$KUBECONFIG_SAVED"
388398
$Env:KUBECONFIG=$ENV:KUBECONFIG_SAVED
389399
```
390400

401+
## kubeconfig에 의해 표시된 제목을 확인하기
402+
403+
클러스터 인증 후 어떤 속성(사용자 이름, 그룹)을 얻을 수 있는지 항상 명확하지는 않다.
404+
동시에 두 개 이상의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경우 훨씬 더 어려울 수 있다.
405+
406+
선택되어 있는 쿠버네티스 컨텍스트의 사용자 이름 등에 대한,
407+
주체 속성을 확인하기 위한 'kubectl' 알파 하위 명령 `kubectl alpha auth whoami`이 있다.
408+
409+
더 자세한 내용은 [클라이언트의 인증 정보에 대한 API 액세스](/docs/reference/access-authn-authz/authentication/#self-subject-review)
410+
를 확인한다.
411+
391412
## {{% heading "whatsnext" %}}
392413

393414
* [kubeconfig 파일을 사용하여 클러스터 접근 구성하기](/ko/docs/concepts/configuration/organize-cluster-access-kubeconfig/)

content/ko/docs/tasks/access-application-cluster/create-external-load-balancer.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98,6 +198,6 @@ spec:
198198

199199
## {{% heading "whatsnext" %}}
200200

201+
*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 연결하기](/ko/docs/tutorials/services/connect-applications-service/) 튜토리얼을 따라하기
201202
* [서비스](/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에 대해 알아보기
202203
* [인그레스](/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ingress/)에 대해 알아보기
203-
*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 연결하기](/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connect-applications-service/) 알아보기

content/ko/docs/tasks/access-application-cluster/list-all-running-container-images.md

Lines changed: 0 additions & 13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38,19 +38,6 @@ tr -s '[[:space:]]' '\n' |\
3838
sort |\
3939
uniq -c
4040
```
41-
42-
이 커맨드는 결과값으로 나온 모든 아이템 중에 `image` 라고 명명된 필드를
43-
모두 출력한다.
44-
45-
이와 다른 방법으로 파드 이미지 필드 값의 절대 경로를 사용할 수 있다.
46-
이것은 필드명이 반복될 때에도
47-
정확한 값을 출력하도록 보장한다.
48-
예) 결과값 중에 많은 필드들이 `name`으로 명명되었을 경우,
49-
50-
```shell
51-
kubectl get pods --all-namespaces -o jsonpath="{.items[*].spec.containers[*].image}"
52-
```
53-
5441
이 jsonpath는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5542

5643
- `.items[*]`: 각 결과값에 대하여

content/ko/docs/tasks/access-application-cluster/service-access-application-cluster.md

Lines changed: 23 additions & 26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0,26 +10,15 @@ weight: 60
1010
위해 사용하는 쿠버네티스 서비스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서비스는
1111
실행 중인 두 개의 인스턴스를 갖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드 밸런싱을 제공한다.
1212

13-
14-
15-
1613
## {{% heading "prerequisites" %}}
1714

18-
19-
{{< include "task-tutorial-prereqs.md" >}} {{< version-check >}}
20-
21-
22-
15+
{{< include "task-tutorial-prereqs.md" >}}
2316

2417
## {{% heading "objectives" %}}
2518

26-
27-
* Hello World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 두 개를 실행한다.
28-
* 노드 포트를 노출하는 서비스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29-
*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하기 위해 서비스 오브젝트를 사용한다.
30-
31-
32-
19+
- Hello World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 두 개를 실행한다.
20+
- 노드 포트를 노출하는 서비스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21+
-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하기 위해 서비스 오브젝트를 사용한다.
3322

3423
<!-- lessoncontent -->
3524

@@ -41,9 +30,11 @@ weight: 60
4130

4231
1. 클러스터 내 Hello World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자.
4332
위 파일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디플로이먼트를 생성하자.
33+
4434
```shell
4535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service/access/hello-application.yaml
4636
```
37+
4738
앞의 명령은
4839
{{< glossary_tooltip text="디플로이먼트" term_id="deployment" >}}
4940
오브젝트와 연관된
@@ -52,29 +43,34 @@ weight: 60
5243
{{< glossary_tooltip text="파드" term_id="pod" >}}를 갖고,
5344
각각은 Hello World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5445

55-
5646
1. 디플로이먼트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47+
5748
```shell
5849
kubectl get deployments hello-world
5950
kubectl describe deployments hello-world
6051
```
6152

6253
1. 레플리카셋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54+
6355
```shell
6456
kubectl get replicasets
6557
kubectl describe replicasets
6658
```
6759

6860
1. 디플로이먼트를 노출하는 서비스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61+
6962
```shell
7063
kubectl expose deployment hello-world --type=NodePort --name=example-service
7164
```
7265

7366
1.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67+
7468
```shell
7569
kubectl describe services example-service
7670
```
71+
7772
결과는 아래와 같다.
73+
7874
```shell
7975
Name: example-service
8076
Namespace: default
@@ -90,19 +86,24 @@ weight: 60
9086
Session Affinity: None
9187
Events: <none>
9288
```
89+
9390
서비스의 노드포트(NodePort) 값을 메모하자. 예를 들어,
9491
앞선 결과에서, 노드포트 값은 31496이다.
9592

9693
1. Hello World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파드를 나열한다.
94+
9795
```shell
9896
kubectl get pods --selector="run=load-balancer-example" --output=wide
9997
```
98+
10099
결과는 아래와 같다.
100+
101101
```shell
102102
NAME READY STATUS ... IP NODE
103103
hello-world-2895499144-bsbk5 1/1 Running ... 10.200.1.4 worker1
104104
hello-world-2895499144-m1pwt 1/1 Running ... 10.200.2.5 worker2
105105
```
106+
106107
1. Hello World 파드가 실행 중인 노드들 중 하나의 노드에 대해 공용
107108
IP 주소를 얻자. 이 주소를 얻는 방법은 어떻게 클러스터를 설치했는지에
108109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Minikube를 사용하면, `kubectl cluster-info`
@@ -117,12 +118,15 @@ weight: 60
117118
클라우드 공급자는 방화벽 규칙을 설정하는 다른 방법을 제공한다.
118119

119120
1. Hello World 애플리케이션 접근을 위해 노드 주소와 노드 포트를 사용하자.
121+
120122
```shell
121123
curl http://<public-node-ip>:<node-port>
122124
```
125+
123126
`<public-node-ip>`는 노드의 공용 IP 주소이고,
124127
`<node-port>`는 서비스의 노드포트 값이다.
125128
성공적인 요청에 대한 응답은 hello 메시지이다.
129+
126130
```shell
127131
Hello Kubernetes!
128132
```
@@ -133,12 +137,8 @@ weight: 60
133137
[서비스 설정 파일](/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을 사용해
134138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135139

136-
137-
138-
139140
## {{% heading "cleanup" %}}
140141

141-
142142
서비스를 삭제하기 위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자.
143143

144144
kubectl delete services example-service
@@ -148,11 +148,8 @@ weight: 60
148148

149149
kubectl delete deployment hello-world
150150

151-
152-
153-
154151
## {{% heading "whatsnext" %}}
155152

156-
157-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 연결하기](/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connect-applications-service/)
158-
대해 더 알아본다.
153+
튜토리얼
154+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 연결하기](/ko/docs/tutorials/services/connect-applications-service/)
155+
따라하기

content/ko/docs/tasks/administer-cluster/access-cluster-api.md

Lines changed: 1 addition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6 +1,7 @@
11
---
22
title: 쿠버네티스 API를 사용하여 클러스터에 접근하기
33
content_type: task
4+
weight: 60
45
---
56

67
<!-- overview -->

content/ko/docs/tasks/administer-cluster/certificates.md

Lines changed: 4 additions & 4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12 +1,12 @@
11
---
22
title: 인증서
33
content_type: task
4-
weight: 20
4+
weight: 30
55
---
66

77
<!-- overview -->
88

9-
클라이언트 인증서로 인증을 사용하는 경우 `easyrsa`, `openssl` 또는 `cfssl`
9+
클라이언트 인증서로 인증을 사용하는 경우 [`easyrsa`](https://github.com/OpenVPN/easy-rsa), [`openssl`](https://github.com/openssl/openssl) 또는 [`cfssl`](https://github.com/cloudflare/cfssl)
1010
을 통해 인증서를 수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1111

1212
<!-- body -->
@@ -18,7 +18,7 @@ weight: 20
1818
1. `easyrsa3`의 패치 버전을 다운로드하여 압축을 풀고, 초기화한다.
1919

2020
```shell
21-
curl -LO https://storage.googleapis.com/kubernetes-release/easy-rsa/easy-rsa.tar.gz
21+
curl -LO https://dl.k8s.io/easy-rsa/easy-rsa.tar.gz
2222
tar xzf easy-rsa.tar.gz
2323
cd easy-rsa-master/easyrsa3
2424
./easyrsa init-pki
@@ -140,7 +140,7 @@ weight: 20
140140
```shell
141141
openssl x509 -req -in server.csr -CA ca.crt -CAkey ca.key \
142142
-CAcreateserial -out server.crt -days 10000 \
143-
-extensions v3_ext -extfile csr.conf
143+
-extensions v3_ext -extfile csr.conf -sha256
144144
```
145145

146146
1. 인증서 서명 요청을 확인한다.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