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소형 전술차 ‘K151’ 주역 기아 박병석·최병길 상무 지난 2023년 여름 UAE(아랍에미리트)의 한 사막을 달리던 기아의 군용차가 갑자기 제자리에 멈춰 섰다. 기아가 개발한 소형 전술 차량(LTV·Lig
올 들어 주가 90% 넘게 뛰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하 한화에어로)를 필두로 한 K방산·조선 기업들의 시장가치가 전통의 국가대표 산업인 자동차 기업군을 빠르게 넘어서고 있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방산·조선주 시
[21] 다목적 헬기 ‘수리온’ 만든 KAI 안인철 수석기술사·김원규 직장 지난해 12월 이라크 내무부는 ‘한국의 수리온 헬기’를 도입하는 계약을 체결한다고 소셜미디어를 통해 밝혔다. 규모는 1억달러(약 1396억원
시총 40조 돌파 관세 여파 없고 인도·파키스탄 충돌도 영향 줘 한화그룹의 방위산업 계열사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7일 시가총액으로 현대자동차를 처음으로 제치고 유가증권시장(코스피) 5위에 올랐다. 이날 주가가 직전
우리 방위산업에서 ‘빅4’로 꼽히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LIG넥스원, 현대로템의 수주 잔고가 올해 100조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수출 호조가 핵심이다. 트럼프 미 대통령 취임 후 전 세계에
‘비리 대명사’에서 ‘수출 신화’로 이병철 회장도 뛰들었던 K방산 엄격한 규정·낮은 마진율 등 고충 많지만 그 중 정치권 개입이 가장 큰 문제 7조8000억 구축함 사업도 최근 여의도에서 덜컹 이병철 삼성 초대회장은
[20] 한화오션 ‘용접 마스터’ 김인득 이르면 올해 거제 한화오션 조선소에서 우리 해군의 역대 최고 성능 잠수함인 3600t급 ‘장보고-Ⅲ 배치-Ⅱ’ 선도함이 진수된다. 이 잠수함은 우리 군의 네 번째 3000t급
정부가 ‘대한민국 과학기술 유공자’로 지정한 고(故) 김재관(1933~2017년) 박사의 공적비 제막식이 지난 19일 경기도 화성시립남양도서관에서 열렸다. 김 박사는 1967년 정부의 해외 유치 과학자 1호로 귀국한
HD현대가 미국 최대 방산 조선사인 헌팅턴 잉걸스 인더스트리와 기술 협력을 맺고 미국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헌팅턴 잉걸스는 미국 중남부 미시시피주에서 미국 최대 수상함 건조 조선소인 잉걸스 조선소를 운영하
[19] ‘레이더 명장’ 홍윤석 소장 지난 2023년 3월 4일 서해안의 고도 3만 피트(약 9144m) 상공을 전투기 KF-21의 시제기(試製機·성능 테스트용으로 만든 기체)가 날고 있었다. 한국이 약 8조9000
전투기에 고성능 레이더 탑재 땐 통제기·군함과 빠르게 정보 공유 레이더는 초음속 전투기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장비다. 차세대 전투기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세계적으로 레이더 기술 경쟁도 뜨거워지고 있다. 현대전(戰)은
17일 종가 75만3000원... 역대 최고가 국내 대표 방산주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17일 네이버를 제치고 코스피 시가총액 8위에 올라섰다. 이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전날 대비 6.8% 오른 75만3000원에 마감
64곳이 年 6조7200억 달성 대기업과 방산 생태계 구축 통계청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국내 중견·중소 방산기업은 64곳이다. 국내 방산 사업을 차지하는 비중도 커지고 있다. 2020년 국내 방산기업 중 중견
[18] ‘방탄 장갑 명가’ 삼양컴텍 폴란드에 조(兆) 단위 수출을 포함해 7조원 이상 매출을 올린 국산 K2 전차는 전차의 3요소인 ‘화력(화포)’ ‘기동력(엔진)’ ‘방호력(장갑·裝甲)’ 모두 세계 최고 수준이라
[17] ‘K화포의 달인’ 장만호 기장 2002년 3월 경남 거제의 한 조선소. 진수(進水)를 두 달쯤 앞둔 구축함 ‘충무공이순신함’의 뱃머리 부분에 구경 127mm짜리 함포 ‘KMK 45’가 실렸다. 우리 방산 역
현대 전장서 신속한 이동 중요 한국, 기동형 화포 체계 선보여 최근 화포(火砲)의 트렌드는 ‘경량화’다. 초기 대포는 화력은 좋지만 워낙 무겁고 방렬(포병 진지에서 화포를 사격 대형으로 정렬하는 일) 시간과 인력이
엔진, 포, 미사일 등 복합체계 부품·장비사 200여곳 협력해 함정 건조 시간·비용 최적화 K방산의 군함(수상함·잠수함 등) 수출은 다양한 부품과 장비가 결합한 복합 무기 체계 수출로 주목받는다. 함정은 엔진, 미사
[16] ‘소나 국산화’ 이끈 조성일 작년 12월 10일 LIG넥스원 구미 사업장의 신축 대형 수조 앞에서 만난 조성일(58) 해양연구소장은 잔뜩 기대감에 찬 얼굴로 “진정한 의미의 잠수함 수출이 조만간 이뤄질 것”
제너럴다이내믹스·록히드마틴 등 전차·자주포·훈련기 노하우 전수 1960년대까지만 해도 총알 하나 제대로 만들지 못하던 우리 방위산업이 ‘K방산’이라고 부를 만큼 성장한 것은 우리 군과 기업들의 노력도 컸지만, 북한과
이라크·UAE·사우디 하늘 지켜 한국 방산 기업들은 탄약, 재래식 무기를 넘어 국산 첨단 무기 수출을 위해 중동 지역을 집중적으로 공략해왔다. 지난 2013년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11억달러(약 1조5000억원
GDP 대비 국방비 비율도 최대 ‘세계의 화약고’로 불리는 중동(中東)은 잦은 무력 충돌로 전 세계에서 국방비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꼽힌다. 이웃 적대 국가나 내부 반군 등의 위협 때문에 항상 군 현대화에 대한
중동 최대 방산전시회 현장 17일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서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최대 규모 방산 전시회 ‘IDEX 2025’가 개막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현대로템, KAI(한국
[13] KAI 시험비행 조종사 이동규 지난해 1월 17일 오후 2시 58분 경남 사천 공항. 순수 국산 기술로 만든 첫 초음속 전투기 ‘KF-21(보라매)’ 시제기(試製機) 1호가 남해 상공으로 날아올랐다. 17분
[12] 한화오션 ‘K잠수함 장인’ 정한구 현장 최고 감독자 1991년 대우조선공업(현 한화오션)의 정한구 기능사원은 이름도 생소한 독일 북부 도시 킬(Kiel)에 도착했다. 이 도시는 ‘2차 세계대전’의 전설로 불
[11] K9 개발 주역 안병철 사장 1997년 12월 충남 안흥시험장. 국방과학연구소(ADD) 강신천 선임연구원과 조기호 기술원, 삼성테크윈(현재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정동수 대리와 막내였던 안병철 대리(현 한화에
제2 록히드마틴 꿈꾸는 K방산 ‘K방산’ 위상이 높아지면서 국내 방산 업체도 해외 곳곳에 생산 기지 등을 세우며 ‘제2의 록히드마틴’ 위상을 노리고 있다. 현지 방산 업체와 협력을 강화하고 현지 거점을 만드는 한편,
[10] 美록히드마틴 울머 사장… 그가 말하는 K방산의 힘 “한국의 방위산업은 이제 록히드마틴에 기술적으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할 정도로 수준이 높아졌습니다.” 세계 1위 방산기업 록히드마틴에서 연매출 250억달러(
[9] 한국형 이지스함 이끈 김정환 前사장 2012년 12월 12일 오전 9시 49분. 북한이 장거리 로켓 ‘은하 3호’를 기습적으로 발사했다. 이 로켓을 가장 먼저 포착한 건 서해에서 임무 수행 중이던 우리 해군의
바다 위 최강 방어력 ‘이지스함’ 고성능 레이더로 1000개의 목표물을 동시에 추적하고 이 중 20여 개를 동시 공격이 가능한 이지스함은 바다 위에서 최강의 방어력을 자랑하는 ‘꿈의 전함’이라고 불린다. K방산이 세
본문 듣기를 종료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