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아마라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성청정심에서 넘어옴)

아마라식(阿摩羅識)은 산스크리트어 아말라 비즈냐나(amala-vijñāna)의 번역어로, 유식유가행파의 심식론(心識論)에서 제8아뢰야식청정해진 모습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하고, 제8아뢰야식과는 별도의 제9식(第九識)으로 해석되기도 한다.[1][2][3]

모니어 윌리엄스의 《산스크리트어-영어 사전》에 따르면 산스크리트어 아말라(amala)는 다음의 뜻을 가진다.[4]

  1. 티끌 하나 없는(spotless)
  2. 때 끼지 않은, 얼룩지지 않은, 흠없는(stainless)
  3. 깨끗한(clean)
  4. (다른 것이 섞이지 않은) 순수한,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pure)
  5. 빛나는, 탁월한 (shining)
  6. 수정(crystal)
  7. 여신 락슈미에 속한(of the goddess Lakshmi)
  8. 탯줄(umbilical cord)

아말라 비즈냐나(amala-vijñāna)는 다른 음역으로는 아말라식(阿末羅識) 또는 암마라식(菴摩羅識, 唵摩羅識, 庵摩羅識)이라고도 한다. 의역하여 무구식(無垢識) · 백정무구식(白淨無垢識) 또는 청정식(淸淨識)이라고도 하며, 진여를 하나의 식(識)이라 해석하여 '진여(眞如)라는 식(識)'의 뜻에서 진식(眞識)이라고도 하며, '부처 또는 여래가 가지는 식(識)'이라는 뜻에서 여래식(如來識)이라고도 한다.[1][2][3][5]

유식유가행파는 그 분파 또는 종파의 구분없이 전5식 · 제6식 · 제7말나식 · 제8아뢰야식8식 각각이 별도의 체성(體性)을 가지고 존재한다는 것을 일반적으로 인정하고 있다.[2][6] 하지만, 자성청정심(自性清淨心) 또는 사람의 본래면목(本來面目) 또는 '진여라는 식'으로서의 진식(眞識)이 제9식으로 8식외에 별도로 존재하는 가에 대해서는 견해가 갈리고 있다.

진제(眞諦) 계통의 섭론종(攝論宗)에서는 8식과는 별도의 체성을 가진 제9식이 존재한다고 보아, 아마라식 · 무구식 · 청정식 · 진식 등의 명칭이 모두 제9식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하며, 제9식이 곧 자성청정심이며, 본래면목이며, 진여라고 해석하였다.[2][3][5] 지론종(地論宗)과 천태종(天台宗)에서도 이 학설을 받아들여 채택하였다.[2] 한편, 화엄종(華嚴宗)도 이 학설을 채택하였다고 보는 현대 학자의 견해도 있다.[6]

이에 대해 법상종(法相宗) 등의 신역가(新譯家)에서는 제8아뢰야식여래지(如來地) 즉 부처지위에서의 명칭이 아마라식 · 무구식 · 청정식 · 여래식 · 진식 등일 뿐으로, 이들은 모두 제8아뢰야식청정해진 모습, 즉 번뇌오염된 상태의 아뢰야식청정무루지대원경지(大圓鏡智)로 변형된 상태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렇기 때문에 제8식과는 별도의 체성을 가진 제9식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았으며, 굳이 제9식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면 그것은 제8식전식득지(轉識得智)된 상태를 말하는 것일 뿐이라고 본다.[2][3]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곽철환 2003, "아마라식(阿摩羅識)". 2013년 4월 15일에 확인
    "아마라식(阿摩羅識): 아마라(阿摩羅)는 산스크리트어 amala의 음사로 청정하다는 뜻, 식(識)은 산스크리트어 vijñāna의 번역. 곧, 무구식(無垢識)·청정식(淸淨識). 현장(玄奘) 계통의 법상종(法相宗)에서는 제8 아뢰야식(阿賴耶識)의 청정한 부분으로 간주하지만 진제(眞諦) 계통의 섭론종(攝論宗)에서는 제9식으로 상정함.
    동의어: 청정식(淸淨識), 아말라식(阿末羅識), 암마라식(菴摩羅識), 제구식(第九識), 진식, 무구식(無垢識)"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곽철환2003"[httpstermsnavercomentrynhncid99docId902223categoryId1885 아마라식(阿摩羅識)]". 2013년 4월 15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2. 星雲, "阿摩羅識". 2013년 4월 15일에 확인
    "阿摩羅識:  梵語 amala-vijñāna。即第九識。又作阿末羅識、菴摩羅識、唵摩羅識、庵摩羅識。意譯無垢識、清淨識、如來識。此識為真諦系之攝論宗所立。人心之本來面目乃遠離迷惑而本自清淨,故攝論宗認為轉阿賴耶識之迷而回歸覺悟之清淨階位,即阿摩羅識。
     據三無性論卷上載,唯阿摩羅識無顛倒、變異,故謂之如如。轉識論則謂,實性即阿摩羅識。又據十八空論載,阿摩羅識乃自性清淨心,然為客塵所染,而謂之不淨。據金剛三昧經載,眾生一切之情識皆轉入庵摩羅。至於阿摩羅識之體性,據圓測之解深密經疏卷三及四分律疏飾宗義記卷三本等所說,真諦三藏以真如與真如智為阿摩羅識之體性。然唐代福成寺之道基於攝論章(華嚴孔目章發悟記卷十五之引文)駁斥真諦之主張,謂阿摩羅識僅以如如之理法為體性。
     在唯識學中,六識之外尚有末那識及阿賴耶識,並稱八識;攝論宗又在八識之外另立第九識阿摩羅識,地論宗、天台宗亦有採此說者。而玄奘系統則認為第八識即已包括清淨之一面,故不另立第九識。又宋譯楞伽經卷一所說之真識,即第九識。〔大佛頂首楞嚴經卷四、入楞伽經卷二、大乘玄論卷五、梁譯攝大乘論卷中、成唯識論述記卷一本、大乘法苑義林章卷一、法華經玄義卷五下〕(參閱「九識義」160) p3671"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2785DTITLEAAFCBCAFC3B9C3D1 阿摩羅識]". 2013년 4월 15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3. 운허, "九識(구식)". 2013년 4월 15일에 확인
    "九識(구식): 성종(性宗)의 학설. (1) 안식(眼識). 빛을 분별하는 것. (2) 이식(耳識). 소리를 분별하는 것. (3) 비식(鼻識). 냄새를 분별하는 것. (4) 설식(舌識). 맛을 분별하는 것. (5) 신식(身識). 감촉을 분별하는 것. (6) 의식(意識). 모든 법진을 분별하여 아는 것. (7) 말나식(末那識). 아뢰야식을 분별하여 실아(實我)로 삼는 것. (8) 아뢰야식(阿賴耶識). 종자와 5근(根)과 기계(器界)의 3경(境)을 분별하여 이를 생기게 하는 것. (9) 암마라식(菴摩羅識). 무구식(無垢識)이라고도 하며, 진여(본체)를 식으로 인정하여 만유의 근원이라고 하는 것."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AB5ACEC8B9Drowno1 九識(구식)]". 2013년 4월 15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4. 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 "amala". 2013년 4월 15일에 확인
    "amala:
    (mwd) = Cologne Digital Sanskrit Lexicon
    (cap) = Capeller's Sanskrit-English Dictionary
    (otl) = Cologne Online Tamil Lexicon
    (cpd) = Concise Pahlavi Dictionary
    1 (mwd) amala mf(%{A})n. spotless , stainless , clean , pure , shining ; (%{as}) m. crystal (cf. %{amara-ratna}) BhP. ; N. of a poet ; of Na1ra1yan2a L. ; (%{A}) f. N. of the goddess Lakshmi1 L. ; ( %{amarA} q.v.) the umbilical cord L. ; the tree Emblica Officinalis Gaertn. L. ; the plant Saptala1 L. ; (%{am}) n. talc L.
    2 (cap) amala & {-lina} a. free from dirt; clean, pure."
  5. 星雲, "九識義". 2013년 4월 15일에 확인
    "九識義:  乃將識分作九種之義。(一)即眼、耳、鼻、舌、身、意等六識,再加末那識(即第七識)、阿梨耶識(即阿賴耶識)(以上為八識)、阿摩羅識等,合為九識。小乘佛教立六識,大乘佛教地論宗、唯識宗立八識。真諦系之攝論宗復舉第九阿摩羅識(無垢識、真如識),成立九識義。據宗鏡錄卷四所釋,九識即:(一)眼識,眼與色為緣而生眼識,為能見者。(二)耳識,耳與聲為緣而生耳識,為能聽者。(三)鼻識,鼻與香為緣而生鼻識,為能嗅者。(四)舌識,舌與味為緣而生舌識,為能嘗者。(五)身識,身與觸為緣而生身識,為能覺者。(六)意識,意法為緣而生意識,能分別前五根所緣色等五塵境界。(七)末那識,又稱分別識。此識本無定體,即第八識之染分,依第八識自證分而生,緣第八識見分而執為我,為第六識之主,執轉第六識所緣善惡之境而成染淨者皆由此識。(八)阿賴耶識,意譯作藏識。此識染淨同源,生滅和合,具有相分、見分、自證分、證自證分等四分。(九)阿摩羅識,意譯作清淨識、白淨無垢識。此識乃一切眾生清淨本源心地,諸佛如來所證法身果德,在聖不增,在凡不減,非生死之能羈,非涅槃之能寂,染淨俱泯,湛若太虛。〔大乘密嚴經卷中、卷下、大乘入楞伽經卷九、成唯識論述記卷一本、大乘法苑義林章卷一末〕
     (二)顯識論特立九識之說。謂三界有二種識,一為顯識,一為分別識。顯識為本識,依其轉作五塵四大等之作用分為九種,即:(一)身識,轉作眼等五根相似之身之識。(二)塵識,轉作色等六塵之識。(三)用識,轉作眼識等六識之識。(四)世識,轉作三世之識,又生死相續不斷謂之世。(五)器識,轉作器世間及十方三世之識,又作處識。(六)數識,能算計量度之識。(七)四種言說識,能見聞覺知之識。(八)自他異識,轉作六趣身自他各異之識。(九)善惡生死識,一切生死不離人天四趣善惡之意,能轉作此等事之識。 p160"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901DTITLEA4EC3D1B8q 九識義]". 2013년 4월 15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6. "구식(九識)",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2013년 4월 15일에 확인.
    "구식(九識):
    요약: 불교에서 말하는 9가지의 인식작용.
    일부 유식학파(唯識學派)에서 제시된 인식설(認識說)이다. 즉, 눈[眼] ·귀[耳] ·코[鼻] ·혀[舌] ·몸[身] ·의식의 6식에 말나식(末那識) ·아뢰야식(阿賴耶識) ·아마라식(阿摩羅識)을 더한 것을 말한다. 구사종(俱舍宗) 등 소승불교에서는 6식까지만을 주장하는 데 비하여, 일반적으로 대승불교의 유식설에서는 인간의 인식작용을 8가지 범주로 설명하는데, 그 중에서 제8식(第八識)인 아뢰야식을 인간의 마음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한 잠재의식[心王]으로 보았다. 그러나 천태종(天台宗)과 화엄종(華嚴宗) 등에서는 거기에 아마라식인 제9식(第九識)을 상정하여 이것이 인간의 가장 깊은 의식이라고 설명하였다. 산스크리트의 아말라(amala)는 형용사로서 ‘티없는’ 또는 ‘순수한’이라는 의미를 지니며, 무구(無垢) ·이구(離垢) ·정(淨) 등으로 번역된다. 따라서 아마라식은 곧 무구식(無垢識)으로 일컬어진다. 법상종(法相宗)에서는 아마라식을 따로 이름하여 맑아진 상태라는 의미로 무구식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