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신 안동 김씨: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Wlsrn4167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Wlsrn4167 (토론 | 기여)
609번째 줄: 609번째 줄:
* 《[[조선왕조 오백년]]》 - [[MBC]] 드라마
* 《[[조선왕조 오백년]]》 - [[MBC]] 드라마
* 《[[상도 (드라마)|상도]]》 - [[MBC]] 드라마
* 《[[상도 (드라마)|상도]]》 - [[MBC]] 드라마
* 《[[녹두꽃 (드라마)]]》 - [[SBS]] 드라마
* 《[[킹덤 (2019년 드라마)|킹덤]]》 - [[넷플릭스|Netflix]] 드라마
* 《[[킹덤 (2019년 드라마)|킹덤]]》 - [[넷플릭스|Netflix]] 드라마



2023년 10월 9일 (월) 19:37 판

신 안동 김씨(新 安東 金氏)
장동 김씨(壯洞 金氏)
관향경상북도 안동시
시조김선평(金宣平)
중시조김습돈(金習敦)
집성촌서울특별시 종로구, 경상북도 안동시, 경상북도 의성군, 경상북도 예천군, 경상북도 청송군, 충청남도 논산군, 충청북도 청원군, 충청북도 괴산군, 충청북도 음성군, 충청남도 부여군, 충청남도 연기군, 경기도 고양시, 경기도 광주군, 경기도 포천군, 경기도 양평군, 전라북도 정읍시
주요 인물김삼근, 김계권, 김계행, 김번, 김원효, 김극효, 김상용, 김상준, 김상관, 김상헌, 김광욱, 김광찬, 김광혁, 김광현, 김시현, 김수흥, 김수항, 김창집, 김창협, 김창흡, 영빈 김씨, 김이소, 김이교, 김온순, 김달순, 김희순, 김조순, 김수근, 김홍근, 김흥근, 김좌근, 김병연, 김병학, 김병덕, 김병국, 김병시, 김옥균, 김호규, 김덕규, 김창규, 김충환, 김성락, 김복진, 김영진, 김성진, 김석진, 김익진, 김좌진, 김가진, 김기진, 김광림, 김상년, 김종한, 김증한, 김성근, 김익기, 김인기, 김무연, 김두한, 김수한, 김세현, 김모임, 김범일, 김병관, 김명동, 김을동, 김성동, 김형동, 김익동, 김복동, 김옥숙, 학조대사, 순원왕후, 효현왕후, 철인왕후, 영빈 김씨
인구(2020년)30,030명 (인구의 0.006%)
비고신라의 왕족 가문, 고려의 귀족 가문, 조선의 세도 가문, 근대의 귀족 가문

신 안동 김씨(新 安東 金氏)는 경상북도 안동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역사

시조 김선평(金宣平, 930. 고려 태조 13년)은 경순왕(敬順王, 897. ~ 978.)의 재종질로 진골이며, 신라 말 고창군(古昌郡. 안동)의 성주로서, 930년(고려 태조 13년) 권행·장길과 함께 고려 태조를 도와 후백제군을 격파한 공으로 대광에 임명되었고, 삼한벽상공신에 책록되고 태사(太師)의 작위를 받았다. 이후 고창군이 안동부로 승격되었다.[1] 공수부정 김습돈(金習敦)을 중시조로 한다.

조선조에 들어와 후손 비안현감 김삼근(金三近, 1390. ~ 1465.)이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 부근에 살다가 소산리으로 옮겨 정착한 이래 높게 번성하였다. 장자 김계권(金係權, 1410. ~ 1458.)은 한성판관이고, 차자 김계행(金係行, 1413. ~ 1517.)은 대사헌으로 재임하였다.

김계권(金係權, 1410. ~ 1458.)은 5형제를 두었는데 큰아들은 세조의 국사를 지낸 명승 학조대사(學組大師)이고, 둘째 김영전(金永詮, 1837.)은 사헌부감찰, 셋째 김영균(金永勻, 1822. ~ 1872.)은 진사, 넷째 김영추(金永錘, 1443.)는 수원부사, 다섯째 김영수(金永銖, 1716. ~ 1786.)는 사헌부장령으로 재임하였다.

다섯째 사헌장령 김영수는 3형제를 두었는데 큰아들 김영(金瑛, 1475. ~ 1582.)은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의으로 재임하였고, 둘째 김번(金璠, 1479. ~ 1544.)도 문과에 급제하여 평양서윤으로 재임하였고, 셋째 김순(金珣, ~ 1623.)은 진사시에 합격하여 형조좌랑으로 재임하였다.

평양서윤을 역임한 김번(金璠, 1479. ~ 1544.)의 후손들이 장동 김씨 서윤공파로 분파하였는데, 왕비 3명, 후궁 1명, 부마도위 2명, 종묘공신 6명, 판서 35명, 당상관(정3품 이상) 140여 명 등 조선 후기 모든 역사를 통틀어 가장 많은 고관대작을 배출하였다. 본관을 사칭하는 백성들을 능지처사(凌遲處死)에 처하여 대명성(大名聲)에 비하여 인구가 극소수가 되었다.

손자 동지돈녕부사 김극효(金克孝, 1542. ~ 1618.)와 그의 아들 김상용(金尙容, 1561. ~ 1637.), 김상헌(金尙憲, 1570. ~ 1652.) 형제가 크게 현달하여 인조 때 상신에 올랐다. 김상헌(金尙憲, 1570. ~ 1652.)의 손자 김수항(金壽恒, 1629. ~ 1689.) 영의정의 자제들인 김창집(金昌集, 1648. ~ 1722.) 영의정, 김창협(金昌協, 1651. ~ 1708.) 대제학, 김창흡(金昌翕, 1653. ~ 1722.) 사헌부집의, 김창업(金昌業, 1658. ~ 1722.) 이조참의, 김창즙(金昌緝, 1662. ~ 1713.) 왕자사부, 김창립(金昌立, 1666. ~ 1683.) 형제는 덕망과 명망으로 높게 현달하고 당대를 지배하였던 인물들로 서인 노론 세력의 중추가 되었다.

김창집(金昌集, 1648. ~ 1722.) 영의정의 현손 김조순(金祖淳, 1765. ~ 1832.) 부원군의 딸이 순조의 왕비 순원왕후(純元王后, 1789. ~ 1857.)가 되면서 김조순(金祖淳, 1765. ~ 1832.)은 국구로서 영안부원군에 봉해졌고, 헌종의 왕비 효현왕후(孝顯王后, 1828. ~ 1843.), 철종의 왕비 철인왕후(哲仁王后, 1837. ~ 1878.)에 이르기까지 세도 가문이 되었다. 이들 후손들은 한양 백악산 아래 장의동에 세거하여 장동 김씨(壯洞 金氏) 장김(壯金)이라 하였다.

대대로 벼슬한 양반 가문이라 하여 “금관자(金貫子)가 서 말인 집안”이라고 말하며, 17세기 이후 명실공히 국반의 지위에 오르게 되었다.

인물

중세

성함 출생 종파 관직 신분
김선평(金宣平) 10세기 김부 신라 국왕재종질 삼중 대광 태사 왕족

근세

성함 출생 종파 관직 신분
김조순(金祖淳) 1765년 문정공파 부원군 왕족
김조근(金祖根) 1793년 문정공파 부원군 왕족
김문근(金汶根) 1801년 문정공파 부원군 왕족
순원왕후(純元王后) 1789년 문정공파 순조 조선 국왕왕후 왕족
효현왕후(孝顯王后) 1828년 문정공파 헌종 조선 국왕왕후 왕족
철인왕후(哲仁王后) 1837년 문정공파 철종 조선 국왕왕후 왕족
영빈 김씨(寧嬪 金氏) 1669년 문정공파 숙종 조선 국왕후궁 왕족
학조대사(學祖大士) 1431년 판관공파 세조 조선 국왕국사 권력가
김광찬(金光燦) 1597년 문정공파 영의정 권력가
김수흥(金壽興) 1626년 부사공파 영의정 권력가
김수항(金壽恒) 1629년 문정공파 영의정 권력가
김창집(金昌集) 1648년 문정공파 영의정 권력가
김좌근(金左根) 1797년 문정공파 영의정 권력가
김병국(金炳國) 1825년 문정공파 영의정 권력가
김병시(金炳始) 1832년 문정공파 영의정 권력가
김석진(金奭鎭) 1843년 문정공파 영의정 권력가
김상헌(金尙憲) 1570년 문정공파 좌의정 권력가
김이소(金履素) 1735년 문정공파 좌의정 권력가
김이교(金履喬) 1764년 문충공파 좌의정 권력가
김병학(金炳學) 1821년 문정공파 좌의정 권력가
김상용(金尙容) 1561년 문충공파 우의정 권력가
김상관(金尙寬) 1565년 부사공파 좌찬성 권력가
김병기(金炳冀) 1818년 문정공파 좌찬성 권력가
김달순(金達淳) 1760년 문정공파 우의정 권력가
김창협(金昌協) 1651년 문정공파 대제학 권력가
김유근(金逌根) 1785년 문정공파 병조판서 권력가
김보근(金輔根) 1803년 문충공파 병조판서 권력가
김병지(金炳地) 1830년 문정공파 공조판서 권력가
김창업(金昌業) 1658년 문정공파 이조판서 권력가
김문순(金文淳) 1744년 문정공파 이조판서 권력가
김수근(金汶根) 1798년 문정공파 이조판서 권력가
김병교(金炳喬) 1801년 문정공파 이조판서 권력가
김난순(金蘭淳) 1781년 문충공파 형조판서 권력가
김명순(金明淳) 1759년 문정공파 이조참판 권력가
김온순(金蘊淳) 1812년 문충공파 공조참판 권력가
김매순(金邁淳) 1776년 문충공파 예조참판 권력가
김병필(金炳弼) 1839년 문정공파 이조참의 권력가

근현대

성함 출생 종파 관직 신분
김옥균(金玉均) 1851년 문충공파 구국영웅 귀족
김좌진(金佐鎭) 1889년 문충공파 구국영웅 귀족
김영한(金榮漢) 1857년 문충공파 중추원참의 귀족
김창한(金彰漢) 1870년 문충공파 중추원참의 귀족
김병규(金炳奎) 1874년 문충공파 중추원참의 귀족
김서규(金瑞圭) 1875년 문충공파 중추원참의 귀족
김경진(金慶鎭) 1895년 문충공파 중추원참의 귀족
김성근(金聲根) 1835년 문충공파 조선귀족 귀족
김병익(金炳翊) 1837년 문충공파 조선귀족 귀족
김학진(金鶴鎭) 1838년 문정공파 조선귀족 귀족
김석진(金鶴鎭) 1843년 문정공파 조선귀족 귀족
김종한(金宗漢) 1844년 문충공파 조선귀족 귀족
김가진(金嘉鎭) 1846년 문충공파 조선귀족 귀족
김덕한(金宗漢) 1874년 문정공파 조선귀족 귀족
김세현(金始顯) 1895년 문충공파 조선귀족 귀족
김호규(金虎圭) 1911년 문충공파 조선귀족 귀족
김옥숙(金玉淑) 1935년 참봉공파 노태우 대통령영부인 귀족
김수한(金守漢) 1928년 예의소승공파 국회의장 귀족
김덕규(金德圭) 1941년 참봉공파 국회부의장 권력가
김창규(金昌圭) 1920년 참봉공파 공군참모총장 권력가
김성진(金晟鎭) 1905년 문충공파 보건복지부 장관 권력가
김호진(金浩鎭) 1939년 진사공파 고용노동부 장관 권력가
김성진(金聖鎭) 1931년 문정공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권력가
김모임(金慕妊) 1935년 시중공파 보건복지부 장관 권력가
김광림(金光琳) 1948년 처사공파 기획재정부 차관 권력가
김증한(金曾漢) 1920년 문충공파 문교부 차관 권력가
김혜경(金惠京) 1966년 문정공파 이재명 당대표정부인 권력가
김익진(金翼鎭) 1896년 문충공파 검찰총장 권력가
김창규(金昌圭) 1920년 참봉공파 공군참모총장 권력가
김인기(金仁基) 1933년 첨사공파 공군참모총장 권력가
김범일(金範鎰) 1950년 증참의공파 대구광역시장 권력가
김무연(金武然) 1921년 계공랑공파 경상북도지사 권력가
김성동(金盛東) 1954년 예의소승공파 국회의장비서실장 권력가
김시현(金始顯) 1883년 승의랑공파 국회의원 권력가
김명동(金明東) 1902년 문충공파 국회의원 권력가
김익기(金翼基) 1916년 사헌공파 국회의원 권력가
김두한(金斗漢) 1917년 문충공파 국회의원 권력가
김대진(金大鎭) 1917년 어담공파 국회의원 권력가
김성락(金成洛) 1919년 예의소승공파 국회의원 권력가
김명동(金明東) 1920년 문충공파 국회의원 권력가
김상년(金聖鎭) 1929년 승의랑공파 국회의원 권력가
김복동(金復東) 1933년 참봉공파 국회의원 권력가
김을동(金乙東) 1945년 문충공파 국회의원 권력가
김충환(金忠環) 1954년 생원공파 국회의원 권력가
김병관(金炳官) 1973년 문충공파 국회의원 권력가
김형동(金亨東) 1975년 생원공파 국회의원 권력가

항렬자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순(淳) □근(根)

(炳)

□규(圭)
□균(均)
□진(鎭) □한(漢) □동(東) □현(顯) □년(年)
□기(基)
□일(鎰)
□종(鍾)
□구(求) □모(模) 연(然) □배(培) □선(銑) 원(源) □영(榮) 사(思) □준(浚) 선(善) □택(澤) □식(植) □환(煥) 철(喆) 용(鏞)

인구

  • 1985년 15,606명
  • 2020년 30,030명

유적지

석실 서원

풍고 묘역

철인 왕후 예릉

역사적 사건

세도 정치

신유 박해

각주

외부 링크

대중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