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순서 집합: 두 판 사이의 차이
Osteologia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
Osteologia (토론 | 기여) |
||
68번째 줄: | 68번째 줄: | ||
=== 완비 분해 가능 조밀 전순서 집합 === |
=== 완비 분해 가능 조밀 전순서 집합 === |
||
전순서 집합 <math>(X,\le)</math>가 다음 세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
* <math>X</math>는 [[ |
* <math>X</math>는 [[조밀 순서]]이다. |
||
⚫ | |||
* <math>X</math>는 다음 네 조건들을 만족시킨다. |
|||
⚫ | |||
** <math>\le</math>는 [[조밀 순서]]이다. |
|||
⚫ | |||
** [[완비 격자]]이다. |
|||
* <math>\mathbb R</math> ([[실수]]의 전순서 집합). 이는 <math>(0,1)</math>과 순서 동형이다. |
|||
* <math>\mathbb R\sqcup\{+\infty\}</math>. 이는 <math>(0,1]</math>과 순서 동형이다. |
|||
* <math>\mathbb R\sqcup\{-\infty\}</math>. 이는 <math>[0,1)</math>과 순서 동형이다. |
|||
* <math>\bar{\mathbb R}=\mathbb R\sqcup\{+\infty,-\infty\}</math> ([[확장된 실수]]). 이는 <math>[0,1]</math>과 순서 동형이다. |
|||
특히, [[완비 격자|완비]] [[분해 가능 공간|분해 가능]] [[조밀 순서|조밀]] 전순서 집합은 (순서 동형 아래) [[확장된 실수]]의 전순서 집합 <math>(\overline{\mathbb R},\le)</math> 밖에 없다. |
|||
⚫ | |||
어떤 전순서 집합 <math>(X,\le)</math>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동치이다. |
|||
⚫ | |||
* <math>X</math>는 다음 네 조건들을 만족시킨다. |
|||
** <math>\le</math>는 [[조밀 순서]]이다. |
|||
⚫ | |||
** <math>X</math>는 [[최대 원소]]와 [[최소 원소]]를 갖지 않는다. |
|||
⚫ | |||
⚫ | |||
어떤 전순서 집합 <math>(X,\le)</math>에 대하여, 다음 네 조건이 동치이다.<ref name="Geschke">{{저널 인용|arxiv=1606.00338|제목=Separable linear orders and universality|이름=Stefan|성=Geschke|날짜=2016|bibcode=2016arXiv160600338G|언어=en}}</ref>{{rp|Theorem 6}} |
어떤 전순서 집합 <math>(X,\le)</math>에 대하여, 다음 네 조건이 동치이다.<ref name="Geschke">{{저널 인용|arxiv=1606.00338|제목=Separable linear orders and universality|이름=Stefan|성=Geschke|날짜=2016|bibcode=2016arXiv160600338G|언어=en}}</ref>{{rp|Theorem 6}} |
2016년 7월 17일 (일) 13:40 판
순서론에서, 전순서(全順序, 영어: total order)는 임의의 두 원소를 비교할 수 있는 부분 순서이다.
정의
집합 위의 원전순서(原全順序, 영어: pretotal order, total preorder, weak order)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원순서 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거나 이다.
즉, 두 원소가 항상 비교 가능한 원순서이다.
집합 위의 전순서는 부분 순서인 원전순서이다. 즉, 다음 성질들을 만족시키는 이항 관계 이다.
원전순서가 주어진 집합을 원전순서 집합(原全順序集合, 영어: pretotally ordered set)이라고 한다. 전순서가 주어진 집합을 전순서 집합(全順序集合, 영어: totally ordered set, toset)이라고 한다.
도약
전순서 집합 의 도약(跳躍, 영어: jump) 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이다.
- 이다.
- 인 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약이 없는 전순서를 조밀 순서라고 한다.
성질
함의 관계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성립한다.
연산
원순서 집합들의 족 가 주어졌으며, 에 역시 원순서 가 부여되었다고 하자. 그렇다면, 분리합집합 위에 다음과 같은 원순서를 정의할 수 있다.
이를 들의 순서합(영어: ordered sum)이라고 한다. (여기서 는 를 뜻하며, 는 를 뜻한다.)
이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만약 가 전순서 집합이며, 모든 가 원전순서 집합이라면, 그 순서합 역시 원전순서 집합이다.
- 만약 가 전순서 집합이며, 모든 가 전순서 집합이라면, 그 순서합 역시 전순서 집합이다.
- 만약 모든 가 부분 순서 집합이라면, 그 순서합 역시 부분 순서 집합이다.
위상수학적 성질
원전순서 집합에는 순서 위상을 부여하여 위상 공간으로 취급할 수 있다.
모든 원전순서 집합은 (순서 위상 아래) 완비 정규 공간이며, 모든 전순서 집합은 하우스도르프 완비 정규 공간이다.
전순서 집합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모든 분해 가능 전순서 집합은 항상 사전식 순서를 준 의 부분 집합과 순서 동형이다.[1]:Theorem 4
예
모든 순서체는 전순서 집합이다. 예를 들어, 실수체 , 유리수체 등은 표준적인 순서를 부여하면 전순서 집합을 이룬다. 정수환 나 자연수의 모노이드 역시 전순서 집합이다. 이들 집합 가운데, 자연수의 집합을 제외한 나머지는 정렬 집합이 아니다.
분해 가능 조밀 전순서 집합
분해 가능 조밀 가산 전순서 집합 은 다음 네 전순서 집합 가운데 정확히 하나와 순서 동형이다.
- (유리수의 전순서 집합)
- . 이는 과 순서 동형이다.
- . 이는 과 순서 동형이다.
- . 이는 과 순서 동형이다.
특히, 최대 원소와 최소 원소를 갖지 않는 분해 가능 조밀 가산 전순서 집합 은 항상 와 순서 동형이다.
완비 분해 가능 조밀 전순서 집합
전순서 집합 가 다음 세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그렇다면, 는 다음 네 전순서 집합 가운데 정확히 하나와 순서 동형이다.
특히, 완비 분해 가능 조밀 전순서 집합은 (순서 동형 아래) 확장된 실수의 전순서 집합 밖에 없다.
마지막 조건을 약화시킬 경우, 이들의 분류는 수슬린 가설에 의하여 좌우되는데, 이는 선택 공리를 추가한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과 독립적인 명제이다.
어떤 전순서 집합 에 대하여, 다음 네 조건이 동치이다.[1]:Theorem 6
- 는 분해 가능 공간이며, 가산 개의 도약을 갖는다.
-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산 집합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산 집합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 는 의 부분 집합과 순서 동형이다. 즉, 단사 단조 함수 가 존재한다.
유한 집합 위의 (원)전순서
크기 의 유한 집합 위의 원전순서들의 수는 푸비니 수(영어: Fubini number) 이라고 한다.[2]:228 크기 의 유한 집합 위의 전순서들의 수는 계승 이다. 이들의 값은 다음과 같다. ((OEIS의 수열 A670), (OEIS의 수열 A142)).
0 | 1 | 2 | 3 | 4 | 5 | 6 | 7 | |
1 | 1 | 3 | 13 | 75 | 541 | 4683 | 47293 | |
1 | 1 | 2 | 6 | 24 | 120 | 720 | 5040 |
컨트리먼 직선
원순서 집합들의 족 이 주어졌을 때, 곱집합 위에 원순서
를 줄 수 있다.
컨트리먼 직선(영어: Countryman line)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전순서 집합 이다.
컨트리먼 직선의 존재는 사하론 셸라흐가 증명하였다.[3]
참고 문헌
- ↑ 가 나 Geschke, Stefan (2016). “Separable linear orders and universality” (영어). arXiv:1606.00338. Bibcode:2016arXiv160600338G.
- ↑ Comtet, Louis (1974). 《Advanced combinatorics: The art of finite and infinite expansions》 (영어). Dordrecht: Reidel Publishing Company. Zbl 0283.05001.
- ↑ Shelah, Saharon (1976년 7월). “Decomposing uncountable squares to countably many chains”. 《Journal of Combinatorial Theory Series A》 (영어) 21 (1): 110–114. doi:10.1016/0097-3165(76)90053-4. ISSN 0097-3165.
바깥 고리
- “Totally ordered set”.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isstein, Eric Wolfgang. “Total order”.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isstein, Eric Wolfgang. “Totally ordered set”.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Definition: total ordering”. 《ProofWiki》 (영어).
- “Definition: totally ordered set”. 《ProofWiki》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