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선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서울역과 경기도 파주시의 도라산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

경의선(京義線)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자동 및 중구 봉래동2가 서울역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노상리 도라산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간선철도 노선이다. 원래는 서울역신의주역을 연결한 간선철도 노선이었으나, 한반도 분단 이후 서울역에서 군사분계선 이남 문산역까지만 경의선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후 남북철도복원에 따른 노선 연장으로 임진강역, 도라산역이 개업하였다. 현재 서울역부터 문산역까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운행되고 있다. 통행방향은 전 구간 좌측통행이다.

경의선
경의선의 위치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
종류간선철도
체계국유 철도
상태영업 중
기점서울역
(서울특별시 용산구)
종점도라산역
(경기도 파주시)
역 수25
노선 번호303
개통일1905년 11월 5일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위탁)
운영자한국철도공사
차량 기지수색차량사업소,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문산차량사업소
사용 차량KTX
KTX-산천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
노선 제원
영업 거리56.1km
궤간1,435mm
궤도표준궤
선로 수4(가좌 ~ 능곡)
2(서울 ~ 가좌, 능곡 ~ 문산)
1(문산 ~ 도라산)
전철화가공전차선(서울 ~ 도라산)
교류 25,000 V
복선 구간서울 ~ 문산
신호 방식ATS(가좌~문산) [수동운전]
영업 최고 속도ATS 구간 110 km/h

역사

편집

남북분단 이전

편집

경의선은 1902년 기공되었으며, 1896년 프랑스 피브릴(Fives Lile)사가 처음으로 부설권을 얻었으나 자금 조달이 어려워 부설권을 상실하였다. 1899년 대한철도회사가 다시 특허를 얻었다가 또 다시 실패하자 1900년 정부 기관인 내장원(內藏院)에 서부철도국을 두고 서울 ~ 개성 구간 선로 측량을 시작하였다. 그 뒤 1904년 러일 전쟁이 일어나자 일본은 서울 ~ 신의주 구간 군용 철도를 부설하기 위하여 임시군용철도감부를 설치하였다. 일본제국은 이를 대륙 침략 노선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공사를 서둘렀다. 1904년 3월 용산 ~ 개성 구간의 노반공사에 착수, 1905년 평양 - 신의주 구간이 완공되어 용산 ~ 신의주 구간에 직통운전이 시작되었으며, 1906년 청천강·대동강 철교가 준공되면서 전구간이 개통되었다. 1908년 신의주 - 부산 사이(경부철도)에 한국 최초의 급행열차인 융희호(隆熙號)가 운행되기 시작하였다. 그 후 1911년 압록강 철교가 완공되어 중국만주를 거쳐 유럽까지 이어지는 국제 철도 노선의 일부가 되기도 하였다. 1920년대에 서울역을 기점으로 하여, 신촌을 지나 가좌동에서 합류하는 신선이 개통되었다. 1943년에는 평양 - 신의주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광복 후 남북 분단이 되었지만 열차는 계속 운행해 오다가 한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문산 - 개성 구간 운행이 중단되면서 남북간 철도는 끊기게 된다.

남북분단 이후

편집

1950년 6월 25일에 발발한 6.25 전쟁으로 인해 문산 ~ 개성간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휴전협정 후 대한민국 교통부 철도국, 철도청에서는 서울역 ~ 문산역까지만을 관할하게 되었다. 2002년 4월 11일 대한민국의 경의선 복원 공사로 도라산역이 신설되었다. 이후 경의선이라는 이름은 대한민국에서 서울 ~ 도라산 간 철도 노선을 일컫는 말로만 쓰게 되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평양을 기준으로 설정, 경의선의 도라산 ~ 신의주 구간을 2개로 분화하여 평부선, 평의선으로 각각 이르고 있다.

경의선(문산-개성) 복원공사

편집
 
도라산역. 경의선 복원공사로 신설되었다.

경의선 복원 공사 완료로 도라산역을 기점으로 손하역, 판문역, 봉동역 등 3개역이 신설되었다. 2006년 경의선과 동해북부선의 시험 운행이 계획되었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반대로 취소되었다. 이후 재협상을 거쳐 2007년 5월 17일 시험 운행이 이루어졌다.

2007년 12월 11일부터 대한민국문산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판문역을 잇는 개성공단 전용 화물열차가 정기 운행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잇따른 대남 공세와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 이후로 남북 관계가 악화되면서 2008년 11월 28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일방적인 통보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향후 문산 ~ 도라산 구간 9.7km를 전철화하는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며, 우선 문산 ~ 임진강 구간 6km가 2018년 9월 21일 착공, 2020년 3월 28일 개통되었다. 그리고 판문점 선언 이후 동해선과 함께 현대화 사업이 추진되어 남북철도를 연결할 계획이다.

수도권 전철 운행

편집
 
수도권 전철 331000호대 전동차
경의중앙선 운행계통도
 
본 운행계통도(運行系統圖)는 2023년 8월 26일자 시간표에 근거하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중 경의선 구간만의 운행 계통을 나타낸 지도로 전체 구간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운행계통도 문단을 참조할 것
경의중앙선
 
K335 문산
   
문산기지
 
K334 파주
 
K333 월롱
 
K331 금촌
 
K330 금릉
 
K329 운정
 
K328 야당
 
K327 탄현
   
K326 일산 서해선
   
K325 풍산
   
K324 백마
   
K323 곡산
   
K322 대곡  
   
K321 능곡
 
 
   
   
K320 행신  
   
K319 강매
   
K318 한국항공대
   
향동(미개통)
   
K317 수색
   
K316 DMC    
 
 
 
K315 가좌
   
   
   

 
K335 문산
   
문산기지
 
 
 
K331 금촌
 
K330 금릉
 
K329 운정
 
K328 야당
 
K327 탄현
 
K326 일산
 
 
K324 백마
 
 
K322 대곡  
 
   
고양기지
   
K320 행신  
   
   
   
   
   
K316 DMC    
 
 
 
K315 가좌
   
   
   

 
K335 문산
   
문산기지
 
K334 파주
 
K333 월롱
 
K331 금촌
 
K330 금릉
 
K329 운정
 
K328 야당
 
K327 탄현
 
K326 일산
 
K325 풍산
 
K324 백마
 
K323 곡산
 
K322 대곡  
 
K321 능곡
   
고양기지
   
K320 행신  
   
K319 강매
   
K318 한국항공대
   
향동(미개통)
   
K317 수색
   
K316 DMC    
 
 
 
K315 가좌
   
   
   

 
K335 문산
   
문산기지
 
K334 파주
 
K333 월롱
 
K331 금촌
 
K330 금릉
 
K329 운정
 
K328 야당
 
K327 탄현
 
K326 일산
 
K325 풍산
 
K324 백마
 
K323 곡산
 
K322 대곡  
 
K321 능곡
   
고양기지
   
K320 행신  
   
K319 강매
   
K318 한국항공대
   
향동(미개통)
   
K317 수색
   
K316 DMC    
 
 
 
K315 가좌
   
   
P314 신촌
 
 
 
P313 서울        

 
K335 문산
   
문산기지
 
 
 
K331 금촌
 
 
K329 운정
 
K328 야당
 
K327 탄현
 
K326 일산
 
 
K324 백마
 
 
K322 대곡  
 
   
고양기지
   
K320 행신  
   
   
   
향동(미개통)
   
   
K316 DMC    
 
 
 
K315 가좌
   
   
P314 신촌
 
 
 
P313 서울        

경의선을 개량해 수도권 전철을 운행하도록 하는 사업은 1989년 일산신도시 개발 계획과 함께 교통대책 일환으로 추진되었다.[1] 하지만 그해 12월 2기 지하철, 일산선 계획이 확정되면서 경의선 전철화 계획은 무기한 연기되고 일산 지역 교통 대책으로 일산선만 건설되었다.[2]

이후 공사 계획은 여러 차례 지연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1999년 착공되어 2006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하였다. 그러나 일산신도시 지역에서 지하화를 요구하면서 공사가 중단되기도 하였고, 2005년 지상화로 합의해 사업이 재개되었다. 2009년 7월 1일 디지털미디어시티 ~ 문산 구간(경의선)이 개통되었고, 전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특히 남북 통일 이후 물동량 급증을 대비해 능곡역 ~ 문산역까지 복복선화가 가능하도록 노반이 2배로 넓게 설계되었다. 또한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과 함께 강매역폐역되었으나, 2014년 10월 25일에 재개통되었다.

연혁

편집

일제강점기 시절

편집

해방이후 단선비전철 시절

편집

광역전철 시대

편집

운영

편집

수도권 전철

편집

차량

편집
과거에 운행하던 차량은 다음과 같다.

역 목록

편집

운행중인 역 목록

편집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역 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KTX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P313 서울역 Seoul Station 서울驛 경부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0.0 0.0 서울특별시 용산구
P314 신촌 Sinchon 新村 3.1 3.1 서대문구
K315 가좌 Gajwa 加佐 용산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색기지 입출고선
2.7 5.8 마포구
K316 디지털미디어시티 Digital Media City 빈칸 서울 지하철 6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1.7 7.5 은평구
K317 수색 Susaek 水色 수색기지 입출고선 0.6 8.1
수색직결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8.882)
K318 한국항공대 Korea Aerospace Univ. 韓國航空大 고양기지 입출고선 3.4 11.5 경기도 고양시
K319 강매 Gangmae 江梅 2.5 14.0
K320 행신 Haengsin 幸信 0.9 14.9
K321 능곡 Neunggok 陵谷

수도권 전철 서해선
교외선
1.5 16.4
K322 대곡 Daegok 大谷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교외선
1.8 18.2
K323 곡산 Goksan 谷山 1.7 19.9
K324 백마 Baengma 白馬 1.6 21.5
K325 풍산 Pungsan 楓山 1.7 23.2
K326 일산 Ilsan 一山 1.9 25.1
K327 탄현 Tanhyeon 炭峴 1.7 26.8
K328 야당 Yadang 野塘 2.1 28.9 파주시
K329 운정 Unjeong 雲井 1.5 30.4
K330 금릉 Geumneung 金陵 3.1 33.5
K331 금촌 Geumchon 金村 2.1 35.6
K333 월롱 Wollong 月籠 4.1 39.7
K334 파주 Paju 坡州 2.2 41.9
K335 문산 Munsan 文山 문산기지 입출고선,
임진강 방면
4.4 46.3
K336 운천 Uncheon 雲泉

문산, 임진강 방면 3.7 50.0
K337 임진강 Imjingang 臨津江 문산 방면 2.3 52.3
K338 도라산 Dorasan 都羅山 운행 중지 3.8 56.1
남북 경계 (이후 평부선)

지선 노선

편집

경의선에는 총 7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번호 노선 명칭 기점 종점 연장(km) 비고
30301 효창선 용산역 효창공원앞역 1.8 한국철도공사의 열차운전시행세칙에서 삭제되어 사실상 폐선
30302 용산선 용산역 가좌역 7.0
30303 교외선 능곡역 의정부역 31.8
30304 수색객차출발선 수색기지 가좌역 2.4
30305 고양기지선 한국항공대역 고양기지 1.7 행신역 운행 KTX 이용 선로
30306 문산기지선 문산역 문산기지 2.1
30307 수색직결선 (경의선) (인천국제공항선) 2.2

효창선

편집

효창선용산역효창공원앞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용산선

편집

용산선용산역가좌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운행된다.

교외선

편집

수색객차출발선

편집

수색객차출발선수색차량사업소가좌역을 잇는 지선으로, 수색차량기지의 차량 입출고를 위해 설치된 노선이다.

고양기지선

편집

고양기지선한국항공대역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을 잇는 철도로, 한국항공대역을 지나간 후 경의선 왼쪽에서 분기한다.

수도단으로 입·출고하는 KTX 열차가 이용하며, 행신역을 오고가는 KTX 또한 고양기지선으로 운행한다.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한국항공대 경의선 0.0 0.0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양기지 1.7 1.7

배선도

편집

문산기지선

편집

문산기지선문산역문산차량사업소를 잇는 철도이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입출고 열차가 사용한다.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문산 경의선 0.0 0.0 경기도 파주시
문산기지 2.1 2.1

수색직결선

편집

수색직결선은 경의선 수색역 인근 경의선 서울 기점 8.882km 지점에서 인천국제공항선 서울역 기점 13.583km 지점을 잇는 철도이다.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경의선 분기) 경의선 0.0 0.0 경기도 파주시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 분기) 인천국제공항철도 2.2 2.2

문화재

편집
경의선 장단역 죽음의 다리
대한민국등록문화재
지정번호 등록문화재 제79호
(2004년 2월 6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도라산리 894
제작시기 대한제국

비판

편집

수도권 전철

편집
  • 경의선 복선 전철 개통 당시 일부 전철역들이 완공이 덜 된 상태에서 너무 급하게 전철을 개통시킨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있었다.[31]
  • 경의선을 복선 전철화할 때 한국철도시설공단과 참여 시공사들이 부실 공사를 하였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지만, 공단은 이를 무시하였다.[32]
  • 대곡역의 환승 통로가 지나치게 승객들을 우회시켜 환승객들의 불편을 가져오고 있으며, 환승역에는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조차 설치되어 있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33]
  • 경의선 전철 개통과 동시에 한국철도공사행신역과의 거리를 이유로 강매역을 폐역한 것에 대하여 행신2지구 주민들이 반발한 적이 있었다. 이로 인해 강매역을 신축하여 영업을 재개하기로 합의, 2014년 10월 25일에 재개통되었다.
  • 일부 서울역행 전동열차 편성으로 인해 용산선 가좌역(지하) 이남의 역들은 일부 시간대에 30분 배차간격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래서 대곡역까지 운행하는 공덕역 출발 급행 열차가 신설되었으며, 평일에만 운행하는 공덕발 대곡행 완행열차도 1편성 있었으나 직결운행 직후 대곡역 착발 열차는 서울역 착발의 완행열차 운행으로 일원화되었다.

경의선의 교통량

편집

열차 통과량

편집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경의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 회/일, 작성기준 : 편도, 주중)

운행구간 선로용량 고속열차 일반여객 전동차 일반화물 운행총계
서울 - 수색 163 23 0 29 7 59
수색 - 능곡 185 23 0 111 7 141
능곡 - 문산 191 0 0 141 0 141
문산 - 도라산 55 0 0 2 0 2
경의2선
디지털미디어시티 - 능곡 185 0 0 85 0 85

이용객 변동

편집

다음 자료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

구분 이용 인원수 (명)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비둘기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34]
통일(통근) 2,903,815 2,643,295 3,321,300 3,534,363 4,433,232 5,191,191 5,073,679 4,895,495 5,443,426 2,777,781 181,258 129,477 91,774 83,291 20,404 0
무궁화 10,842 4,644 6,315 6,817 6,972 1,486 1,640 11,716 21,745 3,831 8,357 9,889 3,978 9,571 6,560 3,250
새마을 300 0 0 357 4,106 7,937 14,171 63,074 98,568 33,783 622 0 1,084 0 60,392 54,907
KTX 미개통 39,794 144,866 179,504 177,594 192,735 204,905 231,723 274,221 304,317 365,542 309,133 26,809
건설 11,303 10,444 11,100 11,917 각 종별 열차 이용객에 포함됨
정기권 864,477 1,028,778 880,309 963,349
합계 3,790,737 3,687,161 4,219,024 4,516,803 4,484,104 5,345,480 5,268,994 5,147,879 5,756,474 3,020,300 421,960 413,587 401,153 458,404 396,489 84,966

미래

편집

중장기적으로 남북 통일 이후 물동량 급증을 대비해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능곡역 구간은 이미 복복선화되어있고, 문산역까지는 복복선화가 가능하도록 노반이 2배로 넓게 설계되었다. 장차 경의고속철도 건설추진시 수색 ~ 서울역 구간 선로용량 부족대비 차원으로 수색 ~ 금천구청간 고속선 지하화를 추진하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이 발표되었다.[35]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교통부, 신도시 전철건설 5개안 확정”. 《MBC 뉴스데스크》. 1989년 5월 16일. 
  2. “신도시 지하철 선 1993년 완공”. 《MBC 뉴스데스크》. 1989년 12월 12일. 
  3. 한국철도공사, 《철도주요연표 2010》, 2010, p19
  4. 鉄道省 編, 《鉄道停車場一覧. 昭和12年10月1日現在》, 1937, p483〜485
  5. 조선총독부관보 明治 제162호, 1911년 3월 17일자
  6. 조선총독부관보 明治 호외, 1911년 11월 24일자
  7. 조선총독부관보 大正 제642호, 1914년 9월 21일자
  8.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정차장신설, 1921년 7월 7일.
  9.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849호, 1929년 10월 31일자
  10.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1186호, 1930년 12월 15일자
  11.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1483호, 1931년 12월 15일자
  12.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2122호, 1934년 2월 8일자
  13. “조선총독부고시 제533호”. 《국립중앙도서관》. 조선총독부관보 제3436호. 1938년 7월 1일. 2쪽. 2021년 1월 17일에 확인함. 
  14.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481호, 1938년 8월 23일자
  15.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855호, 1939년 11월 25일자
  16.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4283호, 1941년 5월 7일자
  17. 한국철도공사, 《철도주요연표 2010》, 2010, p84
  18.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5011호, 1943년 10월 14일자
  19.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5143호, 1944년 3월 29일자
  20. “朝鮮の国土と鉄道の分断 北緯38度線”. 《百年の鉄道旅行》 (일본어). 
  21. 철도청고시 제2000-29호, 2000년 7월 22일.
  22. 철도청고시 제2004-40호, 2004년 10월 27일.
  23. 이철호 기자 (2007년 5월 17일). “분단 반세기 만에 ‘철마’ 다시 달렸다.”. 《KBS 9시뉴스》. 
  24. 김원철 기자 (2007년 6월 3일). “경의선 가좌역 지반 침하... 일부 운행 중단”. 《국민일보》. 
  25.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9-383호, 2009년 6월 18일.
  26. 김남권 기자 (2009년 7월 6일). “경부·경의선 전동열차 운행중단”. 《한겨레》. 
  27.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339호
  28.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577호, 2014년 10월 1일.
  29.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019년 4월 17일.
  30. [http://www.letskorail.com/ebizcom/cs/guide/guide/guide11.do# 레츠코레일(열차운임 및 시간표), 2020년 8월 19일.
  31. 김미영 기자 (2009년 7월 27일). “경의선 개통 한 달, 역이야? 공사장이야?”. 《민중의소리》. 
  32. 동진서 기자 (2009년 7월 5일). “경의선 복선전철 부실공사 논란 앞과 뒤”. 《일요신문》. 
  33. 박종태 기자 (2009년 7월 14일). “경의선 환승역사, 장애인은 이용하지 말라?”. 《에이블뉴스》. 
  34.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35. 허우영 기자 (2021년 4월 22일).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발표...KTX 수색~금천구청, 광명~평택 복복선화 담겨”. 《굿모닝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