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9번째 줄:
<br><sup style="color: blue">178)</sup> 무상정(無想定, asaṁjñā-samāpatti)은 외도의 선정이다. 인도의 어떤 외도들은 인생이 고통을 받게 되는 원인은 마음에 번뇌가 있기 때문이고, 이 번뇌를 멸하는 데는 심왕(心王), 심소(心所)의 생기(生起)를 정지시키는 방법밖에 없다고 해서 이 정(定)을 닦았으며, 그 수정(修定)의 결과 무상천(無想天)에 태어난다. 불교의 성자는 깊은 구덩이[深坑]처럼 생각해서 이 선정에 들기를 원하지 않는다.
<br><sup style="color: blue">179)</sup> 변정천은 색계 제삼선천(第三禪天)에 속한다. 이 하늘의 상지(上地)는 제4선천에 속하는 아홉 하늘을 가리킨다.
<br><sup style="color: blue">180)</sup> 무상정을 닦은 원인에 의해 무상천에 태어나게 된다."}}고 표현하는데, 이러한 생각, 의도 또는 의지를 일으키고 그에 따라 그것을 실현시킬 수 있는 [[방편]](수단 또는 수행)을 행하는 것을 '[[출리상]]을 작의한다[出離想作意]'{{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694a19 T26n1542_p0694a19 - T26n1542_p0694a20]. 무상정(無想定)|quote=<br>"無想定云何。謂已離遍淨染未離上染出離想作意。為先心心所滅。"}}{{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11 11 / 448]. 무상정(無想定)|quote=<br>"무상정(無想定)이란 무엇인가? 이미 변정천(邊淨天)의 번뇌[染]는 여의었으나, 아직 그 윗세계의 번뇌를 여의지 못하고서 벗어났다는 생각[出離想]을 마음으로 내는 것을 우선으로 여기는 심·심소가 소멸한 것이다."}}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무상천]]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해 닦는 모든 [[방편]](특히, [[선정]])을 통칭하여 [[무상정]](無想定)이라 이름한다. 한편, 모든 [[번뇌]]를 벗어나 [[마음 (불교)|마음]]이 [[적정]]의 상태에 있는 [[멸진]](滅盡)의 상태에 도달하려는 생각, 의도 또는 의지를 가지고 그에 따라 그것을 실현시킬 수 있는 [[방편]]을 행하는 것을 '[[지식상]]을 작의한다[止息想作意]'{{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694a20 T26n1542_p0694a20 - T26n1542_p0694a22]. 멸진정(滅盡定)|quote=<br>"滅定云何。謂已離無所有處染止息想作意。為先心心所滅。"}}{{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11 11 / 448]. 멸진정(滅盡定)|quote=<br>"멸정(滅定)이란 무엇인가? 이미 무소유처천(無所有處天)의 번뇌[染]를 여의고 멈추어 쉰다는 생각[止息想]으로 마음을 내는 것을 우선으로 여기는 심·심소가 소멸한 것이다.<br>"}}라고 표현한다. 그리고 [[멸진]]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해 닦는 모든 [[방편]](특히, [[선정]])을 통칭하여 [[멸진정]](無想定)이라 이름한다.
 
이 문서의 이하의 내용은 후자의 경각(警覺)의 의미로서의 작의(作意)에 대해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