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국제공항: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21.151.88.113(토론)의 36430405판 편집을 장난성 편집에 따라 되돌림
2406:5900:70C5:9239:184F:15A0:4FEB:E10D(토론)의 37548244판 편집을 되돌림
 
(사용자 13명의 중간 판 3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4번째 줄:
| 운영시간 = 06:00~23:00
| 허브 = [[에어부산]]
| 소유기관 = {{공군|[[대한민국|1984}} 국토교통부]]<br />[[대한민국 국방부]]
| 운영기관 = {{공군|대한민국|1984}}<br /> {{공군|미국}}<br /> [[한국공항공사]]
| 지역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강서구 (부산광역시)|강서구]]
| 위치 = {{국기그림|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강서구 (부산광역시)|강서구]] 공항진입로 108 ([[대저동|대저2동]])
55번째 줄:
<!--... h12-까지 작성 가능-->
<!--통계 -->
| stat-연도 = 20222023
| stat1-제목 = 이용 여객
| stat1-수치 = 1013,027694,097 명710명
| stat2-제목 = 운항 횟수
| stat2-수치 = 6182,733 회185회
| stat3-제목 = 처리 화물²
| stat3-수치 = 1110,586 톤192톤
<!-- stat4-까지 작성 가능-->
| footnotes = 출처: [https://www.airport.co.kr/www/cms/frFlightStatsCon/airportStats.do?MENU_ID=1250 한국공항공사 - 공항별 통계]<br/>
68번째 줄:
}}
 
'''김해국제공항'''(金海國際空港, {{llang|en|Gimhae International Airport}}, {{공항 코드|PUS|RKPK}})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강서구 (부산광역시)|강서구]] [[대저동|대저2동]]에 있는 군-민 공용의 [[국제공항]]이다. [[제5공중기동비행단 (대한민국)|대한민국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이 주둔하고 있다. [[대한항공]], [[에어부산]]이 [[허브 공항]]으로 이용한다.
 
이용객 수 기준으로 [[인천국제공항|인천]], [[제주국제공항|제주]], [[김포국제공항|김포]]에 이은 [[대한민국]] 4위의 공항이고 [[인천국제공항]] 다음으로 국제선 이용객이 많은 국제공항으로, [[2018년]]에 국제선 이용객 수(국제선 환승전용인 김해-[[인천국제공항|인천]] 노선 이용객 포함)가 1천만 명을 돌파하였다.
94번째 줄:
 
=== 미주와 유럽 직항편 운영 중단 ===
[[2014년]] 초까지 [[대한민국]]에서 [[인천국제공항]]([[2001년]] [[3월 29일]] 이전에는 [[김포국제공항]])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미주]] 노선과 [[유럽]] 노선을 운항하는 지역 국제공항이었으나, [[1994년]]에 [[대한항공]]이 [[대니얼 K. 이노우에 국제공항|호놀룰루]]로 가는 직항편을 없애고 [[델타 항공]]이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나리타 국제공항|나리타]] 경유 미주 노선을 폐지함에 따라 미주 정기 노선이 사라졌다.<ref>현재 김해국제공항의 유일한 [[미국]]령 직항은 [[앤토니오 B. 원 팻 국제공항|괌]]과 [[사이판 국제공항|사이판]]행뿐이다.</ref> [[2014년]] [[3월 30일]]에는 [[루프트한자]]가 김해발 [[인천국제공항|인천]] 경유 [[뮌헨 국제공항|뮌헨]]행 노선을 [[인천국제공항|인천]]발로 단축했다. 따라서 김해국제공항에서 [[미국미주]]나 [[유럽]]으로 여행하기 위해서는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환승하거나, 환승이 가능한 [[일본]] 등 외국의 국제공항으로 이동해야 한다. 다만 [[도쿄도|도쿄]] 환승의 경우는 [[나리타 국제공항|나리타]]로 다니던 국제선의 일부가 [[도쿄 국제공항|하네다]]로 이전하면서, 운수권 때문에 하네다로 바로 갈 수 없는 김해의 사정상 불편함이 따른다.
 
이용률에 비해, 운항을 위한 기반 시설이 부족한 편이다. 비행장 주변이 산이어서 최대이륙중량 제한이 걸리기 때문에, 장거리용 대형기의 이착륙에 제한이 따르며따른다. 또한 주변이 산이라는 특성 때문에 한 바퀴 돌아서 착륙해야 하며, 이는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의 원인이 되었다. 2019년 8월에 하이드런트 급유시설을급유 시설을 설치하기 전까지는 급유 시설시설의 용량이 턱없이 부족해서, 대형 항공기가항공기는 물론 중형 광동체기도 드나들기 곤란하다곤란했다. 이는 커퓨 타임(야간운행통제 시간)과 더불어 김해국제공항 장거리 노선 취항의 제약 요인이 되고 있으며, [[2020년]] 3월에 취항하기로 한 [[핀에어]] 역시 최대이륙중량 문제를 이유로 김해 출발편은 [[에어버스 A350 XWB|A350]]의 일부 좌석을 비우기로 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82&aid=0000938129 헬싱키 직항 핀에어, 김해국제공항 승객 만석 포기 이유 들어 보니] - 부산일보</ref> 열악한 급유 시설 때문에, [[루프트한자]]가 인천으로 단축하기 전까지 김해 착발로 운항하였던 [[뮌헨 국제공항|뮌헨]]행에 투입한 [[에어버스 A340|A340]]은 중간 기착지인 [[인천국제공항]]에서 급유를 받았다.
 
== 시설 규모 ==
* 여객 터미널은 연간 12,900만100만 명(국내선 1,269만 명, 국제선 631만831만 명)의 여객을 처리할 수 있다.<ref name="포화">[http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1&aid=0002301353 부산 김해공항, 2016년 1,490만 이용… 年20%↑] 문화일보, 2017.1.10.</ref>
* 길이 3,200m×폭 60m의 활주로 1본과 길이 2,743m×폭 45m 활주로 1본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활주로의 연간 항공기 처리 능력은 118,000회(민항 기준)이다.<ref>[https://news.v.daum.net/v/20180111110024701 김해국제공항 슬롯 주중 20회·주말 26회로 확대] 연합뉴스, 2018.1.11.</ref>
* 382,594 m² 면적의 계류장에는 [[에어버스 A300|에어버스 A300-600R]]급 항공기 26대가 동시에 주기할 수 있다.
106번째 줄:
 
=== 시설 확충 계획 ===
[[김해국제공항 국제선 청사]]는 [[2013년]]에 이용객 수(국제선 환승전용인 김해-[[인천국제공항|인천]] 노선 이용객 포함)가 4,813,000명으로수가 국제선 여객터미널의 연간 여객처리능력(464만여객처리능력인 명)을464만명에 넘어섰다. 이에 따라육박하자 [[한국공항공사|공항공사]]는 [[2013년]]부터 1,334억 원을 투입해 국제선 여객터미널을 왼쪽(남쪽)으로 34% 확장하고 항공기 탑승교 3곳, 수하물 벨트 2곳, 출입국 심사실, 항공사 카운터 등을 추가 설치함으로써확장해 [[2017년]] 7월에 여객처리 능력을 연 631만631만명으로 명으로 늘렸지만,늘렸다.<ref>[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30314000139 김해공항 국제선 청사 수용능력 2년 뒤엔 포화] 부산일보, 2013.3.14.</ref><ref>[http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9431716 김해국제공항 국제선 증축 완료…승객 포화 상태는 여전] 연합뉴스, 2017.7.25.</ref> 그러나 김해공항의 국제선 이용객 수는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증가해 [[2015년2016년]]에 이미 631만770만명을 명에넘었고,<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1&aid=0002301353 이르렀고부산 김해공항, [[2016년 1,490만 이용… 年20%↑]]에 800만문화일보, 2017.1.10.<ref name="포화"/ref>, 이에 따라 다시 청사를 증축해 [[2017년2024년]] 900만4월에 국제선 터미널 수용능력을 830만명으로 늘렸는데<ref>[https://www.khan.co.kr/local/local-general/article/202404241327001 김해공항 국제선 청사 증축 5년 만에 완공, 직항 국제노선 늘리기로] 경향신문, 2024.4.24.</ref> 김해공항의 국제선 이용객은 [[2018년2020년]]에 1천만 명을1,000만명을 넘었다.
 
열악한 시설과 운항 여건으로 인하여 동남권 신공항이 2차례 추진되었지만, 모두 경제성이 없다고 평가되어 김해국제공항을 확장하기로 [[2016년]]에 결정하였다.<ref>[http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4&aid=0003666397 10년 넘게 끈 신공항 결국 접고 '김해국제공항 확장' 택했다] 파이낸셜뉴스, 2016.6.21.</ref>
 
[[2019년]] [[8월 1일]]에 [[한국공항공사]]가 418억 원을 들여서 김해국제공항에 620만 리터 규모의 하이드런트 급유 시설을 신설함에 따라 급유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됐으며, 이에 따라 [[에어버스 A350 XWB|A350]]이나 [[보잉 787 드림라이너|B787]]같은 중형 광동체기의 운항 여건이 개선됐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4&aid=0004270938 김해국제공항, 신축 항공유 저장소 오픈] - 파이낸셜뉴스</ref>
118번째 줄:
=== 국제선 ===
{{공항 목적지 목록
| {{국기그림|대한민국|1984}} [[대한항공]] | [[주부 국제공항|나고야(주부)]], [[난징 루커우 국제공항|난징]], [[다낭 국제공항|다낭]], [[나리타 국제공항|도쿄(나리타)]], [[수완나품 국제공항|방콕(수완나품)]],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베이징(수도)]],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상하이(푸둥)]], [[칭다오 자오둥 국제공항|칭다오]],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타이페이(타오위안)]], [[후쿠오카 공항|후쿠오카]]<br>'''내항기편:''' [[인천국제공항|서울(인천)]]
<!-- -->
| {{국기그림|대한민국|1984}} [[에어부산]] | [[가오슝 국제공항|가오슝]], [[주부 국제공항|나고야(주부)]], [[깜라인 국제공항|나트랑]], [[다낭 국제공항|다낭]], [[나리타 국제공항|도쿄(나리타)]], [[마카오 국제공항|마카오]], [[블라디보스토크보홀 팡라오 국제공항|블라디보스토크보홀]], [[왓따이 국제공항|비엔티안]], [[싼야 펑황 국제공항|싼야]], [[막탄 세부 국제공항|세부]], [[시안 셴양 국제공항|시안]], [[씨엠립 국제공항|씨엠립]], [[옌지 차오양촨 국제공항|옌지]], [[간사이 국제공항|오사카(간사이)]], [[칭기즈 칸 국제공항|울란바타르]], [[장자제 허화 국제공항|장자제]], [[칭다오 자오둥 국제공항|칭다오]], [[칼리보 국제공항|칼리보]], [[타이완 타오위안코타키나발루 국제공항|타이페이(타오위안)코타키나발루]], [[노이바이타이완 국제공항|하노이]], [[하이커우 메이란타오위안 국제공항|하이커우타이페이(타오위안)]], [[떤선녓 국제공항|호치민]], [[홍콩 국제공항|홍콩(첵랍콕)]], [[후쿠오카 공항|후쿠오카]] <br>'''부정기편:''' [[하네다 국제공항|도쿄(하네다)]]<ref>[[일본]] 노선들 중 [[도쿄도|도쿄]]방면 노선은 운수권 문제 때문에 [[도쿄 국제공항|하네다]]행 정기편이 없고, 부정기편만 있다.</ref>
<!-- -->
|{{국기그림|대한민국}} [[이스타항공]] | [[구마모토 공항|구마모토]] <small>- ([[2024년]] [[12월 19일]] 신규취항)<ref name="KuNh"/></small>, [[옌지 차오양촨 국제공항|옌지]]<ref>{{뉴스 인용|url=https://www.yna.co.kr/view/AKR20240605076900003?input=1195m|제목=이스타항공, 내달까지 신규 항공기 3대 도입해 10개 노선 취항|출처=연합뉴스|날짜=2024-06-05}}</ref>, [[나하 공항|오키나와]] <small>- ([[2024년]] [[12월 19일]] 신규취항)</small><ref name="KuNh">{{웹 인용|url=https://www.aeroroutes.com/eng/240920-zedec24pus|제목=EastarJet Schedules New Busan – Japan Routes in late-Dec 2024|출처=Aeroroutes|날짜=2024-09-20}}</ref>,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타이페이(타오위안)]]
|{{국기그림|대한민국|1984}} [[이스타항공]] | [[수완나품 공항|방콕(수완나품)]],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싱가포르]], [[코타키나발루 국제공항|코타키나발루]],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타이페이(타오위안)]], [[화롄 공항|화롄]]
-->
| {{국기그림|대한민국|1984}} [[제주항공]] | [[앤토니오 B. 원 팻 국제공항|괌]], [[다낭 국제공항|다낭]], [[나리타 국제공항|도쿄(나리타)]], [[수완나품 공항|방콕(수완나품)]], [[보홀 팡라오 국제공항|보홀]], [[사이판 국제공항|사이판]], [[스자좡 정딩 국제공항|스자좡]], [[막탄 세부 국제공항|세부]], [[싱가포르 창이 공항|싱가포르]], [[간사이 국제공항|오사카(간사이)]], [[장자제 허화 국제공항|장자제]],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타이페이(타오위안)]], [[후쿠오카 공항|후쿠오카]]
<!-- -->
| {{국기그림|대한민국|1984}} [[진에어제주항공]] | [[앤토니오 B. 원 팻 국제공항|괌]], [[기타큐슈 공항|기타큐슈]], [[깜라인 국제공항|나트랑]], [[다낭 국제공항|다낭]], [[나리타 국제공항|도쿄(나리타)]], [[수완나품 공항|방콕(수완나품)]], [[신치토세보홀 공항팡라오 국제공항|삿포로보홀]], [[막탄스자좡 세부정딩 국제공항|세부스자좡]], [[간사이막탄 세부 국제공항|오사카(간사이)세부]], [[나하싱가포르 창이 공항|오키나와싱가포르]], [[코타키나발루간사이 국제공항|코타키나발루오사카(간사이)]], [[클라크장자제 허화 국제공항|클라크장자제]],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타이페이(타오위안)]] <ref>{{뉴스 인용|url=https://www.etoday.co.kr/news/view/2294376|제목=진에어, 부산-타이베이[[후쿠오카 신규 취항…12월 5일부터 운항공항|출처=이투데이|날짜=2023-10-20}}</ref>후쿠오카]]
<!-- -->
| {{국기그림|대한민국|1984}} [[티웨이항공진에어]] | [[가오슝앤토니오 B. 원 팻 국제공항|가오슝괌]], [[깜라인 국제공항|나트랑]], [[다낭 국제공항|다낭]], [[왓따이나리타 국제공항|비엔티안도쿄(나리타)]], [[수완나품 공항|방콕(수완나품)]], [[신치토세 공항|삿포로]], [[막탄 세부 국제공항|세부]], [[간사이 국제공항|오사카(간사이)]], [[타이중나하 공항|오키나와]], [[클라크 국제공항|타이중클라크]], [[노이바이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하노이타이페이(타오위안)]]<ref>{{뉴스 인용|url=https://www.etoday.co.kr/news/view/2294376|제목=진에어, 부산-타이베이 신규 취항…12월 5일부터 운항|출처=이투데이|날짜=2023-10-20}}</ref>
<!-- -->
| {{국기그림|대한민국}} [[티웨이항공]] | [[다낭 국제공항|다낭]], [[간사이 국제공항|오사카(간사이)]],
<!-- -->
| {{국기그림|중화인민공화국}} [[중국국제항공]] |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베이징(수도)]]
138번째 줄:
| {{국기그림|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항공]] |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상하이(푸둥)]]
<!-- -->
| {{국기그림|홍콩|1959}} [[홍콩 익스프레스 항공]] | [[홍콩 국제공항|홍콩(첵랍콕)]]
<!-- -->
| {{국기그림|일본|1870}} [[일본항공]] | [[나리타 국제공항|도쿄(나리타)]]
<!-- -->
| {{국기그림|대만}} [[중화항공]] |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타이페이(타오위안)]]
줄 147 ⟶ 145:
<!-- -->
| {{국기그림|몽골|1945}} [[MIAT 몽골 항공]] | [[칭기즈 칸 국제공항|울란바토르]]
<!-- -->
| {{국기그림|말레이시아}} [[에어아시아 X]] |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쿠알라룸푸르]]
<!-- -->
| {{국기그림|베트남}} [[베트남 항공]] | [[노이바이 국제공항|하노이]], [[깜라인 국제공항|나트랑]], [[떤선녓 국제공항|호치민]]
<!-- -->
| {{국기그림|베트남}} [[비엣젯 항공]] | [[노이바이 국제공항|하노이]], [[깜라인 국제공항|나트랑]], [[다낭 국제공항|다낭]], [[리엔크엉 국제공항|달랏]], [[떤선녓 국제공항|호치민]], [[푸꾸옥 국제공항|푸꾸옥]]
<!-- -->
| {{국기그림|싱가포르}} [[싱가포르 항공]] | [[싱가포르 창이 공항|싱가포르]]
<!-- -->
| {{국기그림|일본|1870필리핀}} [[일본항공필리핀 항공]] | [[나리타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도쿄(나리타)마닐라]]
<!--
| {{국기그림|태국}} [[타이 항공]] | [[수완나품 공항|방콕(수완나품)]]
-->
| {{국기그림|필리핀|1986}} [[필리핀 항공]] |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마닐라]]
<!-- -->
<!--
줄 170 ⟶ 163:
=== 국내선 ===
{{공항 목적지 목록
| {{국기그림|대한민국|1984}} [[대한항공]] | [[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 [[제주국제공항|제주]]
| {{국기그림|대한민국|1984}} [[에어부산]] | [[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 [[제주국제공항|제주]]
| {{국기그림|대한민국|1984}} [[제주항공]] | [[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 [[제주국제공항|제주]]
| {{국기그림|대한민국|1984}} [[진에어]] | [[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 [[제주국제공항|제주]]
| {{국기그림|대한민국|1984}} [[티웨이항공]] | [[양양국제공항|양양]]<ref>{{뉴스 인용|url=https://www.khan.co.kr/local/Gangwon/article/202103291714001|제목=티웨이항공 ‘양양∼김해·광주’ 노선 재취항···4월2일부터 재개|출처=경향신문|날짜=2021-03-29}}</ref>
}}
 
줄 194 ⟶ 186:
| 여객 (명) || {{증가}} 7,403,262 || {{감소}} 7,202,117 || {{감소}} 6,870,157 || {{증가}} 8,160,546 || {{증가}} 8,749,153 || {{증가}} 9,196,090 || {{증가}} 9,671,381 || {{증가}} 10,378,866 || {{증가}} 12,382,150 || {{증가}} 14,900,815
|-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운항(편수)''' || {{증가}} 107,363 || {{증가}} 110,924 || {{증가}} 111,276 || {{감소}} 53,150 || {{증가}} 57,694 || {{증가}} 61,733 || {{증가}} 82,185
|-
| 여객 (명) || {{증가}} 16,403,541 || {{증가}} 17,064,613 || {{감소}} 16,931,023 || {{감소}} 7,235,652 || {{증가}} 8,859,304 || {{증가}} 10,027,097 || {{증가}} 13,694,710
|}
 
* [[2000년]]에 이용객이 9,358,000명에 이르렀으나, [[2004년]] [[4월]] [[경부고속철도]] 개통과 그 밖의 [[고속도로]] 신설 등의 효과로 국내선 노선이 줄어들어 [[2005년]]에는 이용객이 704만 명704만명 대로 감소했고, [[2008년 세계 금융 위기]]와 [[2009년 신종플루 사태]]로 인해 [[2009년]]에는 687만 명까지687만명까지 줄었다.
* [[저비용 항공사]]의 등장으로 [[2010년대]]에 들어 [[제주국제공항|제주]] 노선과 국제선 이용객이 빠른 속도로 증가해 [[2014년]]에 전체 이용객이 1천만명을1,000만명을 돌파했다.
 
==== 국내선 ====
줄 218 ⟶ 210:
| 여객 (명) || {{감소}} 4,665,442 || {{감소}} 4,436,856 || {{증가}} 4,551,403 || {{증가}} 5,068,426 || {{증가}} 5,210,378 || {{감소}} 5,162,519 || {{증가}} 5,199,568 || {{증가}} 5,513,232 || {{증가}} 6,423,994 || {{증가}} 7,123,853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운항(편수)''' || {{증가}} 48,843 || {{감소}} 47,442 || {{감소}} 47,115 || {{감소}} 43,680 || {{증가}} 57,492 || {{감소}} 53,994|| {{감소}} 43,896
|-
| 여객 (명) || {{증가}} 7,590,455 || {{감소}} 7,197,734 || {{증가}} 7,340,473 || {{감소}} 6,082,148 || {{증가}} 8,839,162 || {{증가}} 8,865,225|| {{감소}} 7,173,197
|}
 
* [[2012년]] 4월 2일에 김해 - [[인천국제공항|인천]] 노선이 국내선에서 국제선 환승 전용으로 전환되었다.<ref>[http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5&aid=0002667610 김해공항에서 출입국 수속 마치고 인천에서는 환승만 하세요] 한국경제, 2012.4.2.</ref> 이에 따라 해당 노선 승객들은 김해국제공항 국제선 여객터미널을 이용하지만, [[한국공항공사]]에서는 국내선 통계에 포함하고 있다.
 
==== 국제선 ====
줄 241 ⟶ 233:
| 여객 (명) || {{증가}} 2,737,820 || {{증가}} 2,765,261 || {{감소}} 2,318,754 || {{증가}} 3,092,120 || {{증가}} 3,538,775 || {{증가}} 4,033,571 || {{증가}} 4,471,813 || {{증가}} 4,865,634 || {{증가}} 5,958,156 || {{증가}} 7,776,962
|-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운항(편수)''' || {{증가}} 58,520 || {{증가}} 63,482 || {{증가}} 64,161 || {{감소}} 9,470 || {{감소}} 202 || {{증가}} 7,739 || {{증가}} 38,289
|-
| 여객 (명) || {{증가}} 8,813,086 || {{증가}} 9,866,879 || {{감소}} 9,590,550 || {{감소}} 1,153,504 || {{감소}} 20,142 || {{증가}} 1,161,872 || {{증가}} 6,521,513
|}
 
줄 482 ⟶ 474:
== 사건 및 사고 ==
* [[1966년]] [[8월 8일]], [[해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해병대원들이 김해의 공군비행학교를 새벽에 기습했으나 역습당하고 쫓기다가 해병대 장교가 사망까지 한 사건]]이 일어났다.
* [[2002년]] [[4월 15일]], 김해국제공항에 착륙하려던 [[중국국제항공 129편]]은 18R 활주로에 착륙하기 위해 선회 착륙을 시도한다. 하지만 시정이 좋지 않았던 당시 기상 상황에 의해 선회 지점을 지나쳐 인근에 있는 [[돗대산]]에 추락하여 탑승객 167명 중 129명이 사망한 사고로 기록 되었다.<ref>[http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995385 중국항공기 김해추락사고의 원인은 조종미숙], 《연합뉴스》, 2005년 5월 6일</ref>
* [[2007년]] [[8월 12일]], 김해국제공항에 착륙하려던 [[제주항공 502편 활주로 이탈 사고|제주항공 502편]] (기종:[[봄바디어 Q시리즈|봄바디어 Q400]])이 착륙 후 강풍으로 인해 택싱 중 구활주로 G6∼G7 지점에서 갑자기 기체가 왼쪽으로 쏠리면서 활주로를 이탈했다. 이 사고로 10여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ref>[http://www.fnnews.com/view?ra=Sent0601m_View&corp=fnnews&arcid=00000921072526&cDateYear=2007&cDateMonth=08&cDateDay=12 제주항공 502편 활주로 이탈, 10여명 부상]{{깨진 링크|url=http://www.fnnews.com/view?ra=Sent0601m_View&corp=fnnews&arcid=00000921072526&cDateYear=2007&cDateMonth=08&cDateDay=12 }}, 《파이낸셜뉴스》, 2007년 8월 12일</ref>
* [[에어부산 8108편 착륙 사고]]
줄 492 ⟶ 484:
 
=== 명칭 변경 문제 ===
* [[2011년]] [[10월]] [[부산광역시]]가 행정구역상 부산광역시 내에 위치한 김해국제공항의 명칭이 부산시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부산국제공항으로 변경을 추진하기로 해 [[경상남도]] [[김해시]]가 이에 반발하였다. [[부산광역시]]에서는 공항이름을 바꿔야 할 근거로 김해국제공항이 특별한 이유 없이 도시명과 공항명이 서로 달라 국내외 이용객들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는 점과 공항이 [[김해군]]에 속했던 기간은 1년반에 불과한 반면 [[부산광역시]]에 속한 기간은 30년이 넘었고 이용객의 59%가 부산 시민이라는 점을 내세웠는데,<ref>[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1&no=678783 부산 對 김해, 국제공항 명칭 놓고 갈등] 매일경제, 2011.10.19.</ref> [[김해시]]의 반발 등 여러 문제로 인해 명칭 변경은 이루어지지 않았다.<ref>[http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4142944 김해국제공항 명칭변경 본회의 상정보류로 일단락] 뉴시스, 2011.10.19.</ref>
 
== 확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