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국제공항: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ROK Aviation Doctor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2406:5900:70C5:9239:184F:15A0:4FEB:E10D(토론)의 37548244판 편집을 되돌림 |
||
(사용자 16명의 중간 판 4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4번째 줄:
| 운영시간 = 06:00~23:00
| 허브 = [[에어부산]]
| 소유기관 =
| 운영기관 = {{공군|대한민국}}<br /> {{공군|미국}}<br /> [[한국공항공사]]
| 지역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강서구 (부산광역시)|강서구]]
55번째 줄:
<!--... h12-까지 작성 가능-->
<!--통계 -->
| stat-연도 =
| stat1-제목 = 이용 여객
| stat1-수치 =
| stat2-제목 = 운항 횟수
| stat2-수치 =
| stat3-제목 = 처리 화물²
| stat3-수치 =
<!-- stat4-까지 작성 가능-->
| footnotes = 출처: [https://www.airport.co.kr/www/cms/frFlightStatsCon/airportStats.do?MENU_ID=1250 한국공항공사 - 공항별 통계]<br/>
68번째 줄:
}}
'''김해국제공항'''(金海國際空港, {{llang|en|Gimhae International Airport}}, {{공항 코드|PUS|RKPK}})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강서구 (부산광역시)|강서구]] [[대저동|대저2동]]에 있는 군-민 공용의 [[국제공항]]이다. [[제5공중기동비행단 (대한민국)|대한민국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이 주둔하고 있다. [[대한항공]], [[에어부산]]이 [[허브 공항]]으로 이용한다.
이용객 수 기준으로 [[인천국제공항|인천]], [[제주국제공항|제주]], [[김포국제공항|김포]]에 이은 [[대한민국]] 4위의 공항이고 [[인천국제공항]] 다음으로 국제선 이용객이 많은 국제공항으로, [[2018년]]에 국제선 이용객 수(국제선 환승전용인 김해-[[인천국제공항|인천]] 노선 이용객 포함)가 1천만 명을 돌파하였다.
81번째 줄:
== 역사 ==
=== 수영비행장에 민항기 취항 ===
[[일본 제국|일제]]가 [[1940년]]에 지금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BEXCO|벡스코]] 부지에 개설한 [[육군]] 비행장이었던 '''[[수영비행장]]'''은 [[광복]] 직후인 [[1946년]] [[한국의 군정기|미군정]]이 C-47 항공기 8대를 투입해 [[김포국제공항|김포비행장]]을 기점으로 [[김포국제공항|서울]] - [[대구국제공항|대구]] - 부산 간 노선을 주 2회 운항하면서 비로소 민간인들이 이용하기 시작했다.
줄 87 ⟶ 88:
[[1958년]] [[1월 30일]]에 [[수영비행장]]의 명칭이 '''부산비행장'''으로 변경되었고, [[1963년]] [[9월 30일]] [[대한민국 교통부|교통부]]에 의해 정식 국제공항으로 승격하였다.<ref>{{웹 인용 |url = http://www.airportal.co.kr/life/history/unh/LfUnhCh003.html |제목 = 민간항공 초기시대 |확인날짜 = 2007-10-31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70318173442/http://www.airportal.co.kr/life/history/unh/LfUnhCh003.html |보존날짜 = 2017-03-18 |url-status = dead }}</ref> 한편, 현재의 김해국제공항 부지에는 이미 공군 기지와 활주로가 있었다.
=== 김해공항으로 이전 ===
[[1976년]] [[8월]]에 [[부산비행장]]이 [[김해시|김해군]] [[대저동|대저읍]]으로 이전하고, '''김해국제공항'''으로 명명되었다. 이전 당시 김해공항 부지는 [[경상남도]] [[김해시|김해군]]에 속했으나, [[1978년]] [[2월 15일]]에 행정구역이 개편되어 부산직할시(현 [[부산광역시]])에 편입되었다. 부산비행장 부지는 공군 비행장으로 사용되다가 [[1987년]]에 폐쇄되었고, 현재는 [[센텀시티]]와 [[BEXCO|벡스코]]가 들어서 있다.
[[1983년]] [[5월]]부터 한국공항공단(현 [[한국공항공사]])이 김해국제공항을 인수해 운영하고 있고, [[1993년]] [[5월]]에 현재의 국내선 청사를, [[2007년]] [[11월]]에 현재의 국제선 청사를 각각 신축했다.
=== 미주와 유럽 직항편 운영 중단 ===
[[2014년]] 초까지 [[대한민국]]에서 [[인천국제공항]]([[2001년]] [[3월 29일]] 이전에는 [[김포국제공항]])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미주]] 노선과 [[유럽]] 노선을 운항하는 지역 국제공항이었으나, [[1994년]]에 [[대한항공]]이 [[대니얼 K. 이노우에 국제공항|호놀룰루]]로 가는 직항편을 없애고 [[델타 항공]]이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나리타 국제공항|나리타]] 경유 미주 노선을 폐지함에 따라 미주 정기 노선이 사라졌다.<ref>현재 김해국제공항의 유일한 [[미국]]령 직항은 [[앤토니오 B. 원 팻 국제공항|괌]]과 [[사이판 국제공항|사이판]]행뿐이다.</ref> [[2014년]] [[3월 30일]]에는 [[루프트한자]]가 김해발 [[인천국제공항|인천]] 경유 [[뮌헨 국제공항|뮌헨]]행 노선을 [[인천국제공항|인천]]발로 단축했다. 따라서 김해국제공항에서 [[미주]]나 [[유럽]]으로 여행하기 위해서는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환승하거나, 환승이 가능한 [[일본]] 등 외국의 국제공항으로 이동해야 한다. 다만 [[도쿄도|도쿄]] 환승의 경우는 [[나리타 국제공항|나리타]]로 다니던 국제선의 일부가 [[도쿄 국제공항|하네다]]로 이전하면서, 운수권 때문에 하네다로 바로 갈 수 없는 김해의 사정상 불편함이 따른다.
이용률에 비해, 운항을 위한 기반 시설이 부족한 편이다. 비행장 주변이 산이어서 최대이륙중량 제한이 걸리기 때문에, 장거리용 대형기의 이착륙에 제한이
== 시설 규모 ==
* 여객 터미널은 연간
* 길이 3,200m×폭 60m의 활주로 1본과 길이 2,743m×폭 45m 활주로 1본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활주로의 연간 항공기 처리 능력은 118,000회(민항 기준)이다.<ref>[https://news.v.daum.net/v/20180111110024701 김해국제공항 슬롯 주중 20회·주말 26회로 확대] 연합뉴스, 2018.1.11.</ref>
* 382,594 m² 면적의 계류장에는 [[에어버스 A300|에어버스 A300-600R]]급 항공기 26대가 동시에 주기할 수 있다.
줄 103 ⟶ 106:
=== 시설 확충 계획 ===
[[김해국제공항 국제선 청사]]는 [[2013년]]에 이용객
열악한 시설과 운항 여건으로 인하여 동남권 신공항이 2차례 추진되었지만, 모두 경제성이 없다고 평가되어 김해국제공항을 확장하기로 [[2016년]]에 결정하였다.<ref>[
[[2019년]] [[8월 1일]]에 [[한국공항공사]]가 418억 원을 들여서 김해국제공항에 620만 리터 규모의 하이드런트 급유 시설을 신설함에 따라 급유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됐으며, 이에 따라 [[에어버스 A350 XWB|A350]]이나 [[보잉 787 드림라이너|B787]]같은 중형 광동체기의 운항 여건이 개선됐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4&aid=0004270938 김해국제공항, 신축 항공유 저장소 오픈] - 파이낸셜뉴스</ref>
줄 115 ⟶ 118:
=== 국제선 ===
{{공항 목적지 목록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항공]] | [[주부 국제공항|나고야(주부)]],
<!-- -->
| {{국기그림|대한민국}} [[에어부산]] | [[가오슝 국제공항|가오슝
<!-- -->
|{{국기그림|대한민국}} [[이스타항공]] | [[구마모토 공항|구마모토]] <small>- ([[2024년]] [[12월 19일]] 신규취항)<ref name="KuNh"/></small>, [[옌지 차오양촨 국제공항|옌지]]<ref>{{뉴스 인용|url=https://www.yna.co.kr/view/AKR20240605076900003?input=1195m|제목=이스타항공, 내달까지 신규 항공기 3대 도입해 10개 노선 취항|출처=연합뉴스|날짜=2024-06-05}}</ref>, [[나하 공항|오키나와]] <small>- ([[2024년]] [[12월 19일]] 신규취항)</small><ref name="KuNh">{{웹 인용|url=https://www.aeroroutes.com/eng/240920-zedec24pus|제목=EastarJet Schedules New Busan – Japan Routes in late-Dec 2024|출처=Aeroroutes|날짜=2024-09-20}}</ref>,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타이페이(타오위안)]]
<!-- -->
| {{국기그림|대한민국}} [[
<!-- -->
| {{국기그림|대한민국}} [[
<!-- -->▼
| {{국기그림|대한민국}} [[티웨이항공]] | [[다낭 국제공항|다낭]], [[간사이 국제공항|오사카(간사이)]],
<!-- -->
| {{국기그림|중화인민공화국}} [[중국국제항공]] |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베이징(수도)]]
줄 136 ⟶ 139:
<!-- -->
| {{국기그림|홍콩}} [[홍콩 익스프레스 항공]] | [[홍콩 국제공항|홍콩(첵랍콕)]]
▲<!-- -->
<!-- -->
| {{국기그림|대만}} [[중화항공]] |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타이페이(타오위안)]]
줄 143 ⟶ 144:
| {{국기그림|대만}} [[타이거 항공 타이완]] |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타이페이(타오위안)]], [[타이중 국제공항|타이중]]
<!-- -->
| {{국기그림|몽골|1945}} [[MIAT 몽골 항공]] | [[칭기즈 칸 국제공항|울란바토르]]
<!-- -->
| {{국기그림|베트남}} [[베트남 항공]] | [[노이바이 국제공항|하노이]], [[깜라인 국제공항|나트랑]], [[떤선녓 국제공항|호치민]]
<!-- -->
| {{국기그림|베트남}} [[비엣젯 항공]] | [[노이바이 국제공항|하노이]], [[깜라인 국제공항|나트랑]], [[다낭 국제공항|다낭
<!-- -->
| {{국기그림|싱가포르}} [[싱가포르 항공]] | [[싱가포르 창이 공항|싱가포르]]
<!-- -->
| {{국기그림|필리핀}} [[필리핀 항공]] |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마닐라]]
<!-- -->
줄 171 ⟶ 167:
| {{국기그림|대한민국}} [[제주항공]] | [[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 [[제주국제공항|제주]]
| {{국기그림|대한민국}} [[진에어]] | [[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 [[제주국제공항|제주]]
}}
줄 191 ⟶ 186:
| 여객 (명) || {{증가}} 7,403,262 || {{감소}} 7,202,117 || {{감소}} 6,870,157 || {{증가}} 8,160,546 || {{증가}} 8,749,153 || {{증가}} 9,196,090 || {{증가}} 9,671,381 || {{증가}} 10,378,866 || {{증가}} 12,382,150 || {{증가}} 14,900,815
|-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운항(편수)''' || {{증가}} 107,363 || {{증가}} 110,924 || {{증가}} 111,276 || {{감소}} 53,150 || {{증가}} 57,694 || {{증가}} 61,733 || {{증가}} 82,185
|-
| 여객 (명) || {{증가}} 16,403,541 || {{증가}} 17,064,613 || {{감소}} 16,931,023 || {{감소}} 7,235,652 || {{증가}} 8,859,304 || {{증가}} 10,027,097 || {{증가}} 13,694,710
|}
* [[2000년]]에 이용객이 9,358,000명에 이르렀으나, [[2004년]] [[4월]] [[경부고속철도]] 개통과 그 밖의 [[고속도로]] 신설 등의 효과로 국내선 노선이 줄어들어 [[2005년]]에는 이용객이
* [[저비용 항공사]]의 등장으로 [[2010년대]]에 들어 [[제주국제공항|제주]] 노선과 국제선 이용객이 빠른 속도로 증가해 [[2014년]]에 전체 이용객이
==== 국내선 ====
줄 215 ⟶ 210:
| 여객 (명) || {{감소}} 4,665,442 || {{감소}} 4,436,856 || {{증가}} 4,551,403 || {{증가}} 5,068,426 || {{증가}} 5,210,378 || {{감소}} 5,162,519 || {{증가}} 5,199,568 || {{증가}} 5,513,232 || {{증가}} 6,423,994 || {{증가}} 7,123,853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운항(편수)''' || {{증가}} 48,843 || {{감소}} 47,442 || {{감소}} 47,115 || {{감소}} 43,680 || {{증가}} 57,492 || {{감소}} 53,994|| {{감소}} 43,896
|-
| 여객 (명) || {{증가}} 7,590,455 || {{감소}} 7,197,734 || {{증가}} 7,340,473 || {{감소}} 6,082,148 || {{증가}} 8,839,162 || {{증가}} 8,865,225|| {{감소}} 7,173,197
|}
* [[2012년]] 4월 2일에 김해 - [[인천국제공항|인천]] 노선이 국내선에서 국제선 환승 전용으로 전환되었다.<ref>[
==== 국제선 ====
줄 238 ⟶ 233:
| 여객 (명) || {{증가}} 2,737,820 || {{증가}} 2,765,261 || {{감소}} 2,318,754 || {{증가}} 3,092,120 || {{증가}} 3,538,775 || {{증가}} 4,033,571 || {{증가}} 4,471,813 || {{증가}} 4,865,634 || {{증가}} 5,958,156 || {{증가}} 7,776,962
|-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운항(편수)''' || {{증가}} 58,520 || {{증가}} 63,482 || {{증가}} 64,161 || {{감소}} 9,470 || {{감소}} 202 || {{증가}} 7,739 || {{증가}} 38,289
|-
| 여객 (명) || {{증가}} 8,813,086 || {{증가}} 9,866,879 || {{감소}} 9,590,550 || {{감소}} 1,153,504 || {{감소}} 20,142 || {{증가}} 1,161,872 || {{증가}} 6,521,513
|}
줄 286 ⟶ 281:
|-
| 1
| {{국기그림|일본|1870}} [[간사이 국제공항|오사카(간사이)]]
| 1,179,812
| 7,968
줄 292 ⟶ 287:
|-
| 2
|{{국기그림|일본|1870}} [[후쿠오카 공항|후쿠오카]]
| 754,107
| 5,045
줄 304 ⟶ 299:
|-
| 4
|{{국기그림|일본|1870}} [[나리타 국제공항|도쿄(나리타)]]
| 582,141
| 4,046
줄 334 ⟶ 329:
|-
| 9
| {{국기그림|필리핀|1986}} [[막탄 세부 국제공항|세부]]
| 251,859
| 1,540
줄 340 ⟶ 335:
|-
| 10
| {{국기그림|필리핀|1986}}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마닐라]]
| 247,405
| 1,768
줄 352 ⟶ 347:
|-
| 12
| {{국기그림|
| 228,219
| 1,613
줄 376 ⟶ 371:
|-
| 16
| {{국기그림|일본|1870}} [[나하 공항|오키나와]]
| 127,227
| 934
줄 388 ⟶ 383:
|-
| 18
| {{국기그림|일본|1870}} [[신치토세 공항|삿포로]]
| 115,074
| 849
줄 394 ⟶ 389:
|-
| 19
| {{국기그림|필리핀|1986}} [[칼리보 국제공항|칼리보]]
| 112,015
| 742
줄 400 ⟶ 395:
|-
| 20
| {{국기그림|일본|1870}} [[주부 국제공항|나고야(센토레아)]]
| 93,733
| 728
줄 448 ⟶ 443:
|-
| 28
| {{국기그림|필리핀|1986}}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국제공항|클라크]]
| 51,592
| 411
줄 479 ⟶ 474:
== 사건 및 사고 ==
* [[1966년]] [[8월 8일]], [[해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해병대원들이 김해의 공군비행학교를 새벽에 기습했으나 역습당하고 쫓기다가 해병대 장교가 사망까지 한 사건]]이 일어났다.
* [[2002년]] [[4월 15일]], 김해국제공항에 착륙하려던 [[중국국제항공 129편]]은 18R 활주로에 착륙하기 위해 선회 착륙을 시도한다. 하지만 시정이 좋지 않았던 당시 기상 상황에 의해 선회 지점을 지나쳐 인근에 있는 [[돗대산]]에 추락하여 탑승객 167명 중 129명이 사망한 사고로 기록 되었다.<ref>[
* [[2007년]] [[8월 12일]], 김해국제공항에 착륙하려던 [[제주항공 502편 활주로 이탈 사고|제주항공 502편]] (기종:[[봄바디어 Q시리즈|봄바디어 Q400]])이 착륙 후 강풍으로 인해 택싱 중 구활주로 G6∼G7 지점에서 갑자기 기체가 왼쪽으로 쏠리면서 활주로를 이탈했다. 이 사고로 10여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ref>[http://www.fnnews.com/view?ra=Sent0601m_View&corp=fnnews&arcid=00000921072526&cDateYear=2007&cDateMonth=08&cDateDay=12 제주항공 502편 활주로 이탈, 10여명 부상]{{깨진 링크|url=http://www.fnnews.com/view?ra=Sent0601m_View&corp=fnnews&arcid=00000921072526&cDateYear=2007&cDateMonth=08&cDateDay=12 }}, 《파이낸셜뉴스》, 2007년 8월 12일</ref>
* [[에어부산 8108편 착륙 사고]]
줄 489 ⟶ 484:
=== 명칭 변경 문제 ===
* [[2011년]] [[10월]] [[부산광역시]]가 행정구역상 부산광역시 내에 위치한 김해국제공항의 명칭이 부산시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부산국제공항으로 변경을 추진하기로 해 [[경상남도]] [[김해시]]가 이에 반발하였다. [[부산광역시]]에서는 공항이름을 바꿔야 할 근거로 김해국제공항이 특별한 이유 없이 도시명과 공항명이 서로 달라 국내외 이용객들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는 점과 공항이 [[김해군]]에 속했던 기간은 1년반에 불과한 반면 [[부산광역시]]에 속한 기간은 30년이 넘었고 이용객의 59%가 부산 시민이라는 점을 내세웠는데,<ref>[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1&no=678783 부산 對 김해, 국제공항 명칭 놓고 갈등] 매일경제, 2011.10.19.</ref> [[김해시]]의 반발 등 여러 문제로 인해 명칭 변경은 이루어지지 않았다.<ref>[
== 확장 ==
줄 507 ⟶ 502:
<references/>
{{대한민국의 공항}}
{{부산광역시의 교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