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치층: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 시기 = [[백악기]]
| 그림 = JinKd2.jpg
| 그림크기 = 400px350px
| 그림설명 = [[청송군]] [[진보면]] 추현리 [[국도 제34호선]] 절개사면에 대규모로 드러난 동화치층의 적색 이암
| 유형 = [[퇴적암]]
25번째 줄:
| 지도설명 =
}}
[[파일:BYCGeology.jpg|섬네일|400px|[[경상북도]] [[울진군의 지질|울진군]], [[봉화군]], [[영양군의 지질|영양군]], [[안동시의 지질|안동시]], [[청송군의 지질|청송군]], [[영덕군의 지질|영덕군]], [[포항시]]의 지질 및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경북동해안 국가지질공원]]
'''동화치층'''(Kd; Kyeongsang supergroup Donghwachi formation, 東花峙層)은 [[대한민국]] [[경상 분지]] 영양소분지에 분포하는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의 지층이다. 중평동도폭(1970)에서는 [[낙동층]]에 대비되는 것으로 추정하였으나 확실치 않다. 지질도 상으로 [[영양군]] [[수비면]]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여 [[일월산]]과 [[봉화군]] [[재산면]] [[동면리]]를 지나 [[재산면]] [[재산면|현동리]]에서 [[안동시#단층안동시의 지질|태곡 단층]]에 의해 변위되고, [[청량산 (경북)|청량산]]을 끼고 돌아 [[명호면]] 일대에서 주향이 동-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북북서-남남동으로 바뀌어 [[도산면 (안동시)|도산면]] [[태자리]]를 지나 [[예안면]] [[예안면|태곡리]]에서 [[안동시#단층안동시의 지질|태곡 단층]]에 의해 한번 더 변위된다. 이후 [[예안면]] [[미질리]]에서 남동으로 연장되어 [[임동면]] [[임동면|중평리]]를 지나 [[청송군]] [[진보면]] [[부곡리]]까지 길게 이어진다.<ref name = "geo50">{{웹 인용|url=https://data.kigam.re.kr/mgeo/map/main.do?process=geology_50k|출판사=[[한국지질자원연구원]]|제목=5만 지질도}}</ref> 예안도폭(1963)과 중평동도폭(1970)에서 동화치층 하부는 알코스질사암층(Kds)으로, 동화치층 상부는 적색 이암층(Kdn)으로 구분하며, [[안동시]] 동부 지역([[임동면]], [[예안면]])에서 경상 누층군의 기저를 형성하고 있다. 중평동 지질도폭(1970)에서는 동화치층이 [[경상 분지]] 대구 지역의 낙동통<ref>장기홍(1975)이 [[경상 누층군]]을 신동, 하양, 유천층군으로 재분류하기 전이다.</ref>의 [[낙동층]]과 [[하산동층]]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았다.<ref name = "중평동">{{웹 인용|url=https://data.kigam.re.kr/data/RP-26095|제목=中平洞 地質圖幅說明書 (중평동 지질도폭설명서)|날짜=1970년|출판사=[[한국지질자원연구원]]}}</ref><ref name = "예안">{{웹 인용|url=https://data.kigam.re.kr/data/204e044a-7200-45a9-8f5e-8c3f2dc34c2d|제목=예안 지질도폭|날짜=1963년|출판사=[[한국지질자원연구원]]}}</ref>
 
== 이름의 유래 ==
동화치층의 이름은 [[일월산]] 서북서 3.4km 지점에 위치한 고개 동화재(東花岾)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유래되었다.
 
== 지역별 암상 ==
=== [[안동시]]와 [[봉화군]] ===
{{본문|안동시의 지질|봉화군의 지질}}
* '''동화치층 알코스질사암층'''(Kds; Kyeongsang supergroup Donghwachi formation lower alcosyl sandstone member)은 동화치층의 하부이며, [[안동시]] 동부 지역에서 경상계 지층의 최하위 기저층을 이루고 있다.
[[파일:AnmaKd.jpg|섬네일|400px|[[안동시]] [[임동면]] 마령리, [[지방도 제935호선]] 마령교 전면에 드러난 동화치층 알코스질사암층 흑색 셰일의 노두]]
 
* '''동화치층 알코스질사암층'''(Kds; Kyeongsang supergroup Donghwachi formation lower alcosyl sandstone member)은 동화치층의 하부이며, [[안동시]] 동부 지역에서 경상계 지층의 최하위 기저층을 이루고 있다.
**예안 예안도폭에지질도폭(1963)에 의하면 주로 회백색 알코스질사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적색 이암과 사암이 호층을 이루며 협재되고 연속성이 약한 2~3 m 두께의 흑색 셰일이 발달한다. 협재된 적색 이암은 상부로 갈수록 점차 두꺼워져 상위 지층인 동화치층 적색 이암층으로 점이된다. 흑색 셰일은 [[안동시]] [[도산면 (안동시)|도산면]] 태자리와 [[봉화군]] [[재산면]] 인금마을에 국지적으로 발달하며 태자리에서는 불량한 식물화석과 10 cm 폭의 석탄층이 5~6매 협재된다. 이는 낙동층 하부에 수 매의 흑색 셰일 및 석탄층이 협재된 것에 대비될 것으로 보인다. [[안동시]] [[도산면 (안동시)|도산면]] 태자리, 원천리에서 측정한 본 층의 두께는 각 150 및 130 m이며 [[봉화군]] [[재산면]]에서는 이보다 더 큰 두께로 발달한다.<ref name = "예안" />
 
**중평동 중평동도폭에지질도폭(1970)에 의하면 선경상계의 [[선캄브리아기]] [[편마암]]류와 [[중생대]] [[화강암]]류를 [[부정합]]으로 덮으며 부정합면을 따라 [[편마암]] 및 [[화강암]]력이 우세한 [[역암]]이 발달한다. 대개 알코스질사암으로 구성되며 알코스질사암은 풍화면에서 백색을 띠고 자색 이암을 협재해 식별이 쉽다. 자색 이암은 상부로 갈수록 우세해져 동화치층 상부에 해당하는 적색 이암층으로 점이된다. 그러나 예안도폭에서 보고된 흑색 셰일은 없다.<ref name = "중평동" />
* '''동화치층 적색 이암층'''(Kdn; Kyeongsang supergroup Donghwachi formation upper reddish mudstone member)은 알코스질사암층(Kds) 상위에 정합적으로 분포하는 지층이다. 대부분 자색(赭色) [[이암 (암석)|이암]]과 [[사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밖에 소수의 담회색 알코스질사암, 역암, 담회색 응회암질 사암, 녹회색 이회암 등을 협재하고 있다. 본 층 중에 협재되는 알코스질 사암은 중평동 도폭 북부([[예안면]])에서는 희소하나 남부로 가면서 그 수가 많아져 하부의 알코스질사암층과의 경계를 경계를 알아내기 힘들다. 지역에 따라 두께가 다소 다르나 일반적으로 400 m 내외이다.<ref name = "중평동" /><ref name = "예안" />
 
** 중평동도폭 지역인 [[안동시]] [[임동면]] 위리 산 74-4 (N 36°36'17.44", E 128°56'37.58")에 위치한 '''위리 백악기 석화목산지'''는 동화치층 적색 이암층이 분포하는 곳으로 적색 사암과 이암이 반복 발달한다. 응회질사암이 성층면을 따라 드러난 경사면에 줄기와 가지, 뿌리 등의 규화목이 산재되어 있다. 이 지역의 나무 화석으로는 구과류의 일종인 ''Araucaria''(남양삼나무) 화석이 보고된 바 있다.<ref name = "경북">{{서적 인용|제목=경북권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저자1=정대교|저자2=신승원|저자3=공은혜 ([[강원대학교]])|저자4=백인성|저자5=김현주|저자6=박정규 ([[부경대학교]])|저자7=임현수|저자8=강희철|저자9=조형성|저자10=이성준|저자11=채용운 ([[부산대학교]])|저자12=허민|저자13=김종선 ([[전남대학교]])|저자14=황상구 ([[안동대학교]])|날짜=2017년 11월|출판사=[[대한지질학회]]}}</ref>
[[임하호]] 일대의 [[국도 제34호선]]·[[지방도 제935호선]] 도로변과, [[지방도 제918호선]]이 지나는 고치현 정상 부근에는 아래 사진과 같이 [[동화치층]]의 [[노두]]가 드러나 있다.
 
{{갤러리
|title=[[임하호]] 주변 도로변의 동화치층
|width=350
|height=230
|lines=2
|파일:AN-ID-Kds.jpg|[[안동시]] [[임동면]] 망천리 경동로 2484 지점, [[국도 제34호선]] 도로변에 드러난 동화치층 알코스질사암층<br>{{좌표|36|33|05.0|N|128|54|13.0|E}}
[[|파일:AnmaKd.jpg|섬네일|400px|[[안동시]] [[임동면]] 마령리 산 182, [[지방도 제935호선]] 마령교 전면에 드러난 동화치층 알코스질사암층 흑색 셰일의 노두]]셰일<br>{{좌표|36|34|54.0|N|128|56|32.0|E}}
}}
{{갤러리
|title=[[봉화군]] [[명호면]] 고계리 고치현의 [[동화치층]] [[역암]]
|width=350
|height=230
|lines=2
|파일:BM-D1.jpg|도로 북측 사면{{좌표|36|50|08.5|N|128|56|23.1|E}}
|파일:BM-D2.jpg|도로 북측 사면{{좌표|36|50|08.7|N|128|56|23.9|E}}
|파일:BM-D3.jpg|도로 남측 사면{{좌표|36|50|08.6|N|128|56|23.4|E}}
}}
 
* '''동화치층 적색 이암층'''(Kdn; Kyeongsang supergroup Donghwachi formation upper reddish mudstone member)은 알코스질사암층(Kds) 상위에 정합적으로 분포하는 지층이다. 대부분 자색(赭色) [[이암 (암석)|이암]]과 [[사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밖에 소수의 담회색 알코스질사암, 역암, 담회색 응회암질 사암, 녹회색 이회암 등을 협재하고 있다. 본 층 중에 협재되는 알코스질 사암은 중평동 도폭 북부([[예안면]])에서는 희소하나 남부로 가면서 그 수가 많아져 하부의 알코스질사암층과의 경계를 경계를 알아내기 힘들다. 지역에 따라 두께가 다소 다르나 일반적으로 400 m 내외이다.<ref name = "중평동" /><ref name = "예안" />
 
** 중평동도폭 지역인 [[안동시]] [[임동면]] 위리 산 74-4 (N 36°36'17.44", E 128°56'37.58")에 위치한 '''위리 백악기 석화목산지'''는 동화치층 적색 이암층이 분포하는 곳으로 적색 사암과 이암이 반복 발달한다. 응회질사암이 성층면을 따라 드러난 경사면에 줄기와 가지, 뿌리 등의 규화목이 산재되어 있다. 이 지역의 나무 화석으로는 구과류의 일종인 ''Araucaria''(남양삼나무) 화석이 보고된 바 있다.<ref name = "경북">{{서적 인용|제목=경북권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저자1=정대교|저자2=신승원|저자3=공은혜 ([[강원대학교]])|저자4=백인성|저자5=김현주|저자6=박정규 ([[부경대학교]])|저자7=임현수|저자8=강희철|저자9=조형성|저자10=이성준|저자11=채용운 ([[부산대학교]])|저자12=허민|저자13=김종선 ([[전남대학교]])|저자14=황상구 ([[안동대학교]])|날짜=2017년 11월|출판사=[[대한지질학회]]}}</ref>
 
=== [[영양군]]과 [[청송군]] ===
[[파일:YY-Kd1.jpg|섬네일|350px|[[영양군]] [[영양읍]] 양구리 [[지방도 제917호선]] 도로변의 동화치층 {{좌표|36|34|45.6|N|129|12|35.7|E}}]]
[[파일:YY-SB-Kd1.jpg|섬네일|350px|중생대 백악기 경상 분지 경상 누층군 동화치층, 영양군 수비면 수하리 산 90-12<br>{{좌표|36|47|27.0|N|129|14|02.0|E}}]]
{{본문|영양군의 지질|청송군의 지질}}
*도계동 도계동도폭지질도폭(1963)에서는 층의알코스질사암, 적색 이암층 구분이 사라진다. 녹회색 이회암은 본 층 상부에 2~3매 협재된다. 하부의 [[울련산층]]과는 암상이 점이적으로 변하며 정합적 관계로 놓이고, [[울련산층]]이 잠시 사라지는 [[일월산]] 부근에서 [[선캄브리아기]] 지층을 직접 부정합으로 덮는다. 울련산층 분포지역 남부에 대상(帶狀)으로 분포하며 본 층과 [[울련산층]]의 경계는 상위에서 역암층이 알코스사암 및 자색(赭色) 셰일 혹은 이암층과 호층을 이루다가 회백색 또는 백색 알코스 사암이 현저하게 발달되는 부분을 본 동화지층의 아래쪽 끝으로 설정하였다. 본 층은 주로 알코스 사암, 역암, 셰알 및 이암 등으로 구성된다. 알코스 사암과 역암층은 수평 분포에 있어 점이적이며 이는 퇴적 환경의 차이에 기인한 암상의 변화로 생각된다. 상기한 지층들은 서로 호층(互層)을 이룬다. 본 층의

동화치층은 하부에서는 알코스 사암 및 역암층을 주로 하는 자색(赭色) 셰일 및 이암층과 호층을 이루나형성하나 상부로 갈수록 자색 셰일 및 이암층이 우세해지며 점이적으로 이회암을[[이회암]]을 주로 하는 가송동층으로[[가송동층]]으로 변한다점이한다. 본 층과동화치층과 상위의 가송동층과의[[가송동층]]과의 경계는 점이적인 것으로서 명확하지 않다. 도폭의 동부[[영양군]] [[수비면]] 신원리 방면으로 갈수록 미약해 지다가 평해도폭 지역인미약해지다가 [[수비면|신원리]] 신원리 동부에서 울련산층과[[울련산층]]과 [[가송동층]] 사이에서 첨멸한다. 본 층의 두께는 200 내지 500 m이다. 본 층은동화히층은 조선지질도폭 제 10집(輯, 타테이와 이와오)에 의하면 암상과 층서의 순위로 보아 신동층군 [[하산동층]]에 대비되리라고 믿어 진다. 대구 및 왜관도폭-왜관 지역에서 하산동층은[[하산동층]]은 낙동통의 하위에서부터 자색 셰일 혹은 자색 이암층이 현저하게 발달되는 곳에 그 아래쪽 경계를 설정한 것으로 믿어지며 하위의 암층들에 비해 (회)백색을 띄는 것이 본 역의지역의 동화치층과 유사하다.<ref name = "도계동">{{웹 인용|url=https://data.kigam.re.kr/data/RP-25966|제목=道溪洞 地質圖幅說明書 (도계동 지질도폭설명서)|날짜=1963년|출판사=[[한국지질자원연구원]]}}</ref>
 
**도계동 도계동도폭지질도폭 지역인 [[영양군]] [[수비면]] 발리리 산 82-9 (N 36°47'07.74", E 129°11'13.40")에는 100 m에 걸쳐 동화치층의 사암, 이암, 역암 등으로 구성된 높이 7~15 m의 [[노두]]가 드러나 있다. 이 노두에는 [[층리]]가 거의 수직으로 경동되어 발달하며 주변에는 [[단층]]들도 관찰된다. 이러한 지층의 경동은 북쪽의 일월산 스러스트 단층과 연관된 것으로 해석된다. 퇴적암 내의 사층리와 점이층리 그리고 침식면, 구하도 등의 퇴적 구조로 지층의 상하 판별이 가능하다.<ref name = "경북" />
* 평해도폭(1963)에 의하면 도폭의 서쪽 끝인 [[수비면]] 신원리에만 조금 분포하며 그 동부에서 [[울련산층]]과 가송동층 사이에서 첨멸한다. 이는 퇴적작용의 환경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하부의 [[울련산층]]을 정합적으로 덮으며 상호 점이적이다. [[일월산]] 부근의 본 층이 주로 화강암질조립사암(Arkose sandston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층리]]의 발달이 불량한데 비해 평해도폭 지역의 본 층은 층리면이 잘 발달된 담황 내지 백색 알코스사암(Arkose sandstone)을 위주로 하고 암회색 셰일 및 갈색이암층(brown mudstone)을 협재한다.<ref name = "평해">{{웹 인용|url=https://data.kigam.re.kr/data/RP-26120|제목=平海 地質圖幅說明書 (평해 지질도폭설명서)|날짜=1963년|출판사=[[한국지질자원연구원]]}}</ref>
 
* 영양도폭(1970)에 의하면 경상계 지층의 기저를 이루며 상위의 [[가송동층]]에 의해 정합적으로 덮인다. 본 층의 하안에서는 기저 역암층이 미약하게나마 발달되기도 하는데 도폭 남동부 [[영양군]] [[석보면]] [[요원리]] 지역에서는 역암층이 나타나지 않으며 남서부 [[청송군]] [[진보면]] 합강리 부근에서는 두께 0.3~2 m의 역암층이 발달되는 곳이 나타난다. 이 역암층은 기저 역암층인 울련산층에 대비될 것으로 보이며, 역(礫)을 구성하는 암석은 주로 운모화강암이고 편마암, 운모편암 및 처트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층은 사암이 우세한 하부와 이암의 발달이 비교적 우세한 상부로 구분될 수 있는 경향이 다소 엿보이는데 이들 상·하부의 경계는 뚜렷하지 못하여 점이적인 변화를 보인다. 하부 사암대는 주로 담자색(淡赭色) 내지 담황색 알코스 사암 및 역질 사암이 우세하나 자색 계통의 이암을 적지 않게 협재한다. 이 사암대에는 역암 및 역질사암 박층이 하부로 가면서 많이 있는데 도폭 남서부 [[진보면]] [[진보면|부곡리]] 부근에서는 2~5개 층, 남동부 요원리 부근에서는 3~11개의 박층이 협재되어 본 층의 지역적인 심한 암상(巖床)의 변화를 보인다. 또한 본 사암대 상부에서는 담회색 이회암 박층을 1~2개 함유한다. 본 층의 상부 이암대는 주로 이암 및 셰일로 구성되며 사암, 역질 사암 및 역암층을 수 층 협재하는데 본 층 상위에 놓이는 가송동층과의 경계는 점이적이다. 역(礫)은 곳에 따라 종류와 크기에 있어서 변화가 심하나 주로 화강암류, 처트, 편마암등이고 규암 및 편암류로 된 역도 함유하는 것이 보통인데 그 크기에 있어서는 처트류의 것이 원도도 낮고 크기도 작아 1~3 cm 정도의 것들이 가장 흔하며 화강암 및 기타 변성암류로 구성되는 역은 원도도 비교적 높고 장축에 있어서도 곳에 따라서 3~5 cm, 혹은 10~20 cm의 것이 대표적이고 50 cm에 달하는 것도 가끔 나타난다. 본 지역의 동화지층은 영양 분지의 북반부(도계동 및 예안도폭 지역)에 비해 현저하게 얇은 두께를 갖는데 곳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이나 130 m 내외이다.<ref name = "영양">{{웹 인용|url=https://data.kigam.re.kr/data/RP-26061|제목=英陽 地質圖幅說明書 (영양 지질도폭설명서)|날짜=1970년|출판사=[[한국지질자원연구원]]}}</ref> 영양도폭 내에서 도폭 가운데 도계동층을 중심으로 그 양쪽인 [[청송군]] [[진보면]] 부곡리와 세장리 남부, 이촌리 그리고 [[석보면]] [[요원리]]에 떨어져 분포한다.<ref name = "geo50" />
*평해 평해도폭지질도폭(1963)에 의하면 도폭의 서쪽 끝인 [[수비면]] 신원리에만 조금 분포하며 그 동부에서 [[울련산층]]과 가송동층 사이에서 첨멸한다. 이는 퇴적작용의 환경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하부의 [[울련산층]]을 정합적으로 덮으며 상호 점이적이다. [[일월산]] 부근의 본 층이 주로 화강암질조립사암(Arkose sandston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층리]]의 발달이 불량한데 비해 평해도폭 지역의 본 층은 층리면이 잘 발달된 담황 내지 백색 알코스사암(Arkose sandstone)을 위주로 하고 암회색 셰일 및 갈색이암층(brown mudstone)을 협재한다.<ref name = "평해">{{웹 인용|url=https://data.kigam.re.kr/data/RP-26120|제목=平海 地質圖幅說明書 (평해 지질도폭설명서)|날짜=1963년|출판사=[[한국지질자원연구원]]}}</ref>
** 영양도폭 지역인 [[청송군]] [[진보면]] 추현리를 지나는 [[국도 제34호선]] 도로변({{좌표|36|33|17.9|N|129|00|32.8|E}} 일대)에는 아래 사진과 같이 동화치층 적색 이암의 [[노두]]가 약 200m에 걸쳐 대규모로 드러나 있다.
 
*영양 영양도폭지질도폭(1970)에 의하면 경상계 지층의 기저를 이루며 상위의 [[가송동층]]에 의해 정합적으로 덮인다. 본 층의 하안에서는 기저 역암층이 미약하게나마 발달되기도 하는데 도폭 남동부 [[영양군]] [[석보면]] [[요원리]] 지역에서는 역암층이 나타나지 않으며 남서부 [[청송군]] [[진보면]] 합강리 부근에서는 두께 0.3~2 m의 역암층이 발달되는 곳이 나타난다. 이 역암층은 기저 역암층인 울련산층에 대비될 것으로 보이며, 역(礫)을 구성하는 암석은 주로 운모화강암이고 편마암, 운모편암 및 처트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층은 사암이 우세한 하부와 이암의 발달이 비교적 우세한 상부로 구분될 수 있는 경향이 다소 엿보이는데 이들 상·하부의 경계는 뚜렷하지 못하여 점이적인 변화를 보인다. 하부 사암대는 주로 담자색(淡赭色) 내지 담황색 알코스 사암 및 역질 사암이 우세하나 자색 계통의 이암을 적지 않게 협재한다. 이 사암대에는 역암 및 역질사암 박층이 하부로 가면서 많이 있는데 도폭 남서부 [[진보면청송군]] [[진보면|부곡리]] 부곡리 부근에서는 2~5개 층, 남동부 요원리 부근에서는 3~11개의 박층이 협재되어 본 층의 지역적인 심한 암상(巖床)의 변화를 보인다. 또한 본 사암대 상부에서는 담회색 이회암 박층을 1~2개 함유한다. 본 층의 상부 이암대는 주로 이암 및 셰일로 구성되며 사암, 역질 사암 및 역암층을 수 층 협재하는데 본 층 상위에 놓이는 가송동층과의 경계는 점이적이다. 역(礫)은 곳에 따라 종류와 크기에 있어서 변화가 심하나 주로 화강암류, 처트, 편마암등이고 규암 및 편암류로 된 역도 함유하는 것이 보통인데 그 크기에 있어서는 처트류의 것이 원도도 낮고 크기도 작아 1~3 cm 정도의 것들이 가장 흔하며 화강암 및 기타 변성암류로 구성되는 역은 원도도 비교적 높고 장축에 있어서도 곳에 따라서 3~5 cm, 혹은 10~20 cm의 것이 대표적이고 50 cm에 달하는 것도 가끔 나타난다. 본 지역의 동화지층은 영양 분지의 북반부(도계동 및 예안도폭 지역)에 비해 현저하게 얇은 두께를 갖는데 곳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이나 130 m 내외이다.<ref name = "영양">{{웹 인용|url=https://data.kigam.re.kr/data/RP-26061|제목=英陽 地質圖幅說明書 (영양 지질도폭설명서)|날짜=1970년|출판사=[[한국지질자원연구원]]}}</ref> 영양도폭 내에서 도폭 가운데 도계동층을 중심으로 그 양쪽인 [[청송군]] [[진보면]] 부곡리와 세장리 남부, 이촌리 그리고 [[석보면]] [[요원리]]에 떨어져 분포한다.<ref name = "geo50" />
 
동화치층의 상부 이암대는 주로 이암 및 셰일로 구성되며 사암, 역질 사암 및 역암층을 수 층 협재하는데 본 층 상위에 놓이는 가송동층과의 경계는 점이적이다. 역(礫)은 곳에 따라 종류와 크기에 있어서 변화가 심하나 주로 화강암류, 처트, 편마암등이고 규암 및 편암류로 된 역도 함유하는 것이 보통인데 그 크기에 있어서는 처트류의 것이 원도도 낮고 크기도 작아 1~3 cm 정도의 것들이 가장 흔하며 화강암 및 기타 변성암류로 구성되는 역은 원도도 비교적 높고 장축에 있어서도 곳에 따라서 3~5 cm, 혹은 10~20 cm의 것이 대표적이고 50 cm에 달하는 것도 가끔 나타난다. 본 지역의 동화치층은 영양소분지의 북반부(도계동 및 예안도폭 지역)에 비해 현저하게 얇은 두께를 보이는데 곳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이나 130 m 내외이다.<ref name = "영양">{{웹 인용|url=https://data.kigam.re.kr/data/RP-26061|제목=英陽 地質圖幅說明書 (영양 지질도폭설명서)|날짜=1970년|출판사=[[한국지질자원연구원]]}}</ref> 영양 지질도폭 구역 내에서 도폭 가운데 [[도계동층]]을 중심으로 그 양쪽인 [[청송군]] [[진보면]] 부곡리와 세장리 남부, 이촌리 그리고 [[석보면]] [[요원리]]에 떨어져 분포한다.<ref name = "geo50" />
 
** 영양도폭 지역인 [[청송군]] [[진보면]] 추현리를 지나는 [[국도 제34호선]] 도로변({{좌표|36|33|17.9|N|129|00|32.8|E}} 일대)에는 아래 사진과 같이 동화치층 적색 이암의 [[노두]]가 약 200m에200 m에 걸쳐 대규모로 드러나 있다.
{{갤러리
|title=[[청송군]] [[진보면]] 추현리 [[국도 제34호선]] 도로변 동화치층 노두
줄 59 ⟶ 93:
 
=== [[영덕군]] ===
{{본문|영덕군의 지질}}
* [[영덕군]] 지역에서는 주로 [[장석]]질[[사암]], [[역암]], 역질사암, 적색의 미사암 및 함[[처트]]역암이다. 또한 상부 층준의 역질사암 및 사암의 교호층에는 분출암상의 현무암이[[현무암]]이 층리와[[층리]]와 평행하게 수 m 두께로 협재한다.<ref name = "경정동18">{{웹 인용|url=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540055|제목=경북 영덕군 동부 일원의 지질과 U-Pb 연령 (Geology and U-Pb Age in the Eastern Part of Yeongdeok-gun, Gyeongsangbuk-do, Korea)|출판사=한국암석학회|저자1=강희철|저자2=천영범|저자3=하상민|저자4=서경한|저자5=김종선|저자6=신현조|저자7=손문|날짜=2018년 9월}}</ref>
 
== 같이 보기 ==
* [[경상 누층군]]
* [[영양군의 지질]]
* [[청송군의 지질]]
* [[울진군의 지질]]
* [[안동시의 지질]]
* [[영덕군의 지질]]
* [[한국의 지질]]
* [[울련산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