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 방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117.53.77.84(토론)의 편집을 Jeebeen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
|||
(사용자 13명의 중간 판 1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언어 정보
|이름=동남 방언
|계통색=
|나라={{KOR}}
|인구=약 1300만 명 (추정)
48번째 줄:
<br />
=== 악센트 ===
동남방언에 대표적으로 '가가가가'라는 문장을 보면 악센트가 존재하여 이것을 성조가 남아있다고 착각할 수 있으나 동남방언의 조어 '가'는 일본어의 탁음 'が'와 같이 낮은 음과 성대를 울리며 발음되는 유성음 특징을 보일 때가 있다. 그래서 예사소리 '가'와 유성음으로 발음되는 조어 '가' 발음에 악센트가 존재하듯이 들린다. 동남 방언에는 동부 방언의 특징인
음성학적으로 성조와 악센트의 차이는 성조는 다수의 여러 다른 발음으로 단어 자체가 뜻이 달라지는 것이며 악센트하고는 큰 차이점이 있다. 동남 방언이 고유의 악센트가 있다고 하여 이것을 성조라고 보기에는 힘들며 위의 예에서 나온 "말" "눈"과 같은 단어는 매우 극소수이다. 높낮이인 강세, 약세로만 구분되어 있어 성조가 아닌
=== 음운 변화 ===
62번째 줄:
*/지기다/ < 죽이다 cf. 서울 방언: /쥐기다/
어두에 위치한 연구개음 /ㄱ, ㅋ, ㄲ/은 모음 /i/ 또는 반모음 /j/ 앞에서 [[구개음화]]되어 /ㅈ, ㅊ, ㅉ/로 발음된다.
*/짐치/ < 김치
*/지럼/ < 기름
마찬가지로 어두에 위치한 성문음 /ㅎ/은 모음 /i/ 또는 반모음 /j/ 앞에서 구개음화되어 /ㅅ/으로 발음된다.
*/심/ < 힘
125번째 줄:
|-
|먹으면
|묵우면
|-
|먹어서
|묵읐서
|}
141번째 줄:
*여기 있어예. (서울 방언: 여기 있어요.)
*여기
==== 의문형 ====
184번째 줄:
일부 지역([[진주시]] 등)의 젋은층 사이에서는 '-네'가 의문형 어미로 쓰이기도 한다.
*
*이거 안 하네? (타 경상도 지역: 이거 안 하나?)
236번째 줄:
|}
중세 한국어 모음 ‘ㆍ’(아래아)는 서울 방언에서 일반적으로 ‘ㅏ’로 합류되었는데 동남 방언에서는
{| class="wikitable"
253번째 줄:
|}
방언 고유 어휘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파일:Mildae.jpg|썸네일|동남 방언에서의 ‘밀대’는 서울 방언과 다른 뜻으로 쓰인다.]]
297번째 줄:
== 사회적 인식 ==
동남 방언은 소백산맥으로 고립된 지리적 특성상 제주 방언과 마찬가지로 다른 방언에서 사라진 중세 국어의 [[성조]]
대중에게는 “머라카노”, “우야꼬” 등 동남 방언은 일본어와 비슷하게 들린다고 인식되기도 한다.<ref>
== 지역별 차이 ==
[[경상북도]]와 [[경상남도]]는 같은 방언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여러 차이를 보인다. 구체적인 차이를 든다면,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하는 [[경상북도]]는 단어의 한 자 한 자를 띄어서 발음하고, [[경상남도]]와 [[부산광역시]]의 경우에는 단어의 한 자 한 자를 붙여서 발음한다. 단, [[문경]]의 경우, 충북과 경계가 맞닿아 있어서 간혹 [[충청도 방언]]과 섞이기도 한다. 강원도 강릉이면 이북 억양같이 굉장히 억세다. [[삼척시]]의 경우 동남 방언과 혼재돼 있는데, 영동 방언에 속하기도 하고 동남 방언(경상 방언)에 속해 전이 지대로 불리기도 한다.
== 같이 보기 ==
* [[방언학]]
== 참고 문헌 ==
* 김영송(1977) 〈경남 방언 [3] 음운〉, 《한글》 159, 한글 학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