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11.36.142.163(토론)의 29124017판 편집을 되돌림
잔글 깨진 각주 정리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사람}}
'''이중환'''(李重煥, [[1691년]] [[1월 23일]](음력 [[1690년]] [[12월 25일]])~[[1756년]] [[2월 1일]]([[음력 1월 2일]])<ref>이익, 《성호전집》 권62, 병조좌랑 이공 묘갈명</ref>)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 사상가, 철학자이다. 본관은 [[여주 이씨|여주]](驪州)이고, 자는 휘조(輝祖), 호는 청담(淸潭)·청화산인(靑華山人)이다.<ref>《한국민죽문화대백과사전》, 이중환</ref>
줄 4 ⟶ 5:
[[음서 제도|음서]]로 출사하여 [[통덕랑]]으로 재직 중 [[1713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정원가주서(假注書)가 되고 그 해 승문원 부정자, 승문원 정자를 역임하였다. 이후 부사정 등을 거쳐 [[1716년]] [[목호룡]] 등과 함께 [[숙빈 최씨]]의 묘지를 선정하러 전국을 답사하고 돌아왔다. [[1717년]](숙종 43년) 김천도찰방, [[1719년]] [[승정원]] 주서, 1720년(경종 즉위년) 춘추관사관, 성균관 전적, 1722년(경종 2) 병조정랑, 성균관전적, [[1723년]] [[병조]][[정랑]], 부사과를 역임했다.
 
그러나 [[조선 경종|경종]] 때 [[목호룡]]이 [[노론]] 4대신이 경종을 폐출하려 한다고 고변한 [[신임옥사]] 이후 [[소론]]계로부터는 노론에게 협력하였다는 이유로 공격당했고, [[조선 영조|영조]] 즉위 후에는 [[노론]]으로부터 [[신임옥사]] 당시 그가 [[목호룡]]에게 말을 빌려 준 것을 문제삼아 공격당했다. 목호룡 고변 관련자들을 국문할 때 함께 체포되어 구금, 국문당한 뒤 파면되었다. 이후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전국을 다니면서 지리·사회·경제를 오래 연구하여 《[[택리지]]》를 저술하였다. [[1753년]] [[통정대부]]에 임명되었으나 요직에 중용되지는 못하였다. [[1701년]]에 [[충청도]] 관찰사를 지낸 [[이진휴]]의 아들이다. [[성호 이익]]의 문인이자 그의 재종손이었다. 당색으로는 [[남인]]이었다.
 
== 생애 ==
=== 생애 초반 ===
이중환은 [[1690년]] [[12월 25일]] [[충청도]] [[공주시|공주]] 출생으로 정확한 출생지는 전하지 않는데, 백마강 북쪽에서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숭진(崇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泳)이고, 아버지는 [[충청도]][[관찰사]]와 [[참판]]을 지낸 이진휴(李震休)이며, 어머니는 오상주(吳相胄)의 딸이다. 성호 이익의 재종손으로, 재종조부인 [[이익 (1681년)|이익]]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다.
 
그는 성호 이익의 학풍을 물려받아 인문학 연구에 전념하였는데, 그는 [[안정복]], [[신후담]]의 공서파와 [[권철신]], [[권일신]] 등의 신서파와는 달리 [[천주교]] 수용여부보다는 사회와 인문, 지리학에 관심을 두었다. 이후 그는 자연 환경과 인간의 생활 방식 간의 관계를 오래도록 연구하였다. [[1704년]](숙종 30년) 강릉부사로 부임한 아버지 이진휴를 따라 [[강릉]]에 갔다가 [[1708년]] 고향으로 되돌아왔다. 음서로 관직에 올라 [[통덕랑]](通德郞)이 되었으며, [[1710년]] 부친상을 당한 뒤 과거 시험에 전념하였다.
 
=== 과거 급제와 관료 생활 ===
[[1713년]]([[조선 숙종 (조선)|숙종]] 39년) [[통덕랑]]으로 재직 중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승정원]]가주서(假注書)가 되고 그 해 [[승문원]] 부정자, [[승문원]] 정자를 역임하였다. 그의 과거 급제 동기 중 윤순, 조문명 등은 [[소론]]계 인사였다. 그는 친우인 오광운, 이인복과 함께 [[남인]]의 강경파인 청남의 당원으로 활동하였다. 이후 부사정(副司正) 등을 거쳐 [[1716년]]에는 목호룡과 같이 [[숙빈 최씨]]의 묘지를 구하기 위해서 황해도와 충청도, 경상도 등을 답사하고 돌아왔다. [[1717년]](숙종 43년) [[김천]]의 도찰방(道察訪)을 지냈으며, 신임사화 후 병조좌랑을 지냈다.
 
[[1719년]]에는 [[승정원]] 주서를 거쳐 그 [[1720년]](경종 즉위년) [[춘추관]]사관, [[성균관]] 전적 등을 역임하고, 1722년(경종 2) 병조정랑, 성균관전적을 거쳐 [[1723년]](경종 3년) [[병조]][[정랑]], 부사과에 임명되었다. [[1722년]](경종 2년) 노론 대신들이 세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경종을 제거하고 왕위를 찬탈하려고 모의했다는 목호룡의 고변이 있었다. 이때 그는 장인인 목일임(睦林一, [[경남]] [[사천]])의 친족인 [[목호룡]]에게 말을 빌려주었다가 후에 옥사에 연루된다. [[1723년]](경종 3년) [[6월]] [[소론]]계 오명항은 그가 [[노론]] 계열이 주도한 신임옥사에 관련되었다며 노론계 인사들과 엮어서 탄핵당하기도 하였다.
 
=== 형문과 유배 ===
[[1723년]](경종 3년) [[병조]]정랑 겸 [[춘추관]]기주관이 되었다가 [[1724년]] [[조선 영조|영조]]가 즉위하고 목호룡이 [[1722년]](경종 2년)의 [[신임사화]]에 관련되었다 하여 영조 즉위 후 [[1726년]] 목호룡 일파가 사형되자 그는 목호룡에게 말을 빌려주었다는 이유로 심문당했다. 이후 백망(白望)의 사건에 연좌되어 그의 일당과 함께 이듬해 절도로 유배형을 받았다가, [[1727년]] 풀려나왔다.
 
[[의금부]]에 투옥된 이후 [[1725년]](영조 1) [[2월]]부터 [[4월]]까지 네 차례나 형을 받았다. 이중환은 이 사건에서 자신의 무죄를 주장하였지만 뚜렷한 증거가 없었기 때문에 유배형을 받고 [[1726년]] 12월 섬에 유배되었다가, [[1727년]] [[10월]]에 석방되었으나 그 해 [[12월]]에 [[사헌부]]의 탄핵으로 다시 유배령이 내려졌다. 유배에서 풀려난 뒤에도 정치참여의 자격이 박탈돼 전국을 유랑하며 지내야 했다. 이후 관직을 단념하고 고향 [[공주]]로 물러났다. 그는 몰락한 사대부가 되어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전국을 떠돌아 다니는 불우한 신세가 되었다.
줄 29 ⟶ 30:
그는 자신의 저서를 저술하면서 스승이자 재종조부인 [[이익 (1681년)|이익]]에게 자문하였고, [[이익 (1681년)|이익]]은 [[1751]]년 완성된 그의 책 [[택리지]]의 책의 원고를 읽고 나서 내용을 교열, 수정해주고 잘못된 부분을 지적하였으며,[[택리지]]의 서문과 발문을 직접 써주기도 했다.
 
[[사대부]]로서의 신분적 위치와 서민적 현실생활의 괴리에서 무척 고민하였던 [[실학|실학자]]였으며 [[박지원 (실학자)|박지원]], [[박제가]]에게 영향을 끼쳤다.<ref name="역대" /> [[1753년]](영조 30년) 특명으로 은전을 받고 [[통정대부]]로 승진하였다.
 
=== 최후 ===
줄 116 ⟶ 117:
{{전거 통제}}
 
[[분류:1690년 태어남출생]]
[[분류:1756년 죽음사망]]
[[분류:음서]]
[[분류:과거 급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