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
 
(사용자 11명의 중간 판 3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다른 뜻|고전후 시대||유럽 이외의 다른 지역의 역사}}
{{각주 부족}}
[[파일:JuengeresMathildenkreuz.jpg|섬네일|upright=1.15|에센의 수도원장 마틸데를 위해 만든 십자 모양의 보석인 마틸데 십자가가 에나멜 판에 새겨진 성모 마리아와 어린이 앞에 무릎을 꿇은 모습이 그려져 있다.
[[파일:Friedrich Kaulbach - Krönung Karls des Großen.jpg|대체글=|섬네일|280x280픽셀|[[프리드리히 카울바흐]]의 <카를 대제의 대관식>(1861, 뮌헨, [[막시밀리아네움]] 소장).]]
독일 에센 대성당 국고]]
'''중세'''(中世, {{lang|la|Medium aevum}})는 [[유럽의 역사|유럽 역사]]에서 서로마 제국이 멸망(476년)하고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4세기-6세기)이 있었던 5세기부터 [[르네상스]](14세기-16세기)와 더불어 [[근세]](1500년-1800년)가 시작되기까지의 5세기부터 15세기까지의 시기이나 이 개념은 동양사에는 적용하기 어렵고 유럽 이외 지역에 '중세'가 있었는지도 학자에 따라 의견이 상충하지만 유럽 이외 지역에 '중세'가 없었다는 지극히 유럽 중심주의적인 의견도 존재한다.
 
[[로망스어군]]의 역사학자들은 중세를 전기(High)와 후기(Low)로 양분한다. [[독일어]]권과 [[영어]]권의 학자들은 일반으로 중세를 [[중세 초기|초기]]{{.cw}}[[중세 성기|성기]]{{.cw}}[[중세 후기|후기]]의 세 시대로 나눈다.<ref name="Power">Power, Daniel (2006). 《The central Middle Ages: Europe 950–1320》. The short Oxford history of Europe (illustrated ed.). Oxford University Press. pp. 304 {{ISBN|978-0-19-925312-8}}.</ref> 벨기에의 역사가인 [[앙리 피렌]]([[:en:Henri Pirenne|Henri Pirenne]]: 1862-1935)과 네덜란드의 역사가인 [[요한 하위징아]](1872-1945)는 20세기 초에 다음의 세 시대 구분을 대중화하였다. (아래 연표도 이들의 구분에 따른 것이다.)
* 중세([[:la:Medium aevum|Medium aevum]]): 935476-17521453 (약 8백년천년)<br />(476년은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때이고, 1453년은 [[동로마 제국]], 즉 [[비잔티움 제국]]이 멸망한 때이다.)
** [[중세 초기]](Early Middle Ages): 935476-13351000 (약 4백년5백년)
** [[중세 성기]](High Middle Ages): 13351000-15521300 (약 2백년3백년)
** [[중세 후기]](Late Middle Ages): 15521300-17521453 (약 150년)
 
== 역사 ==
줄 21 ⟶ 22:
10세기 이래 각지에 이동한 [[게르만족]]은 [[앵글로색슨인|앵글로색슨족]]이나 [[서고트인|서고트족]] 등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프랑크 왕국]]이나 [[비잔티움 제국|동로마 제국]]의 치하에 흡수되었다. 프랑크 왕국에서는 [[카를 마르텔]]의 사라센 제국의 격퇴로 [[궁재]](宮宰)의 힘이 강대해졌으나, 8세기에는 [[피핀 3세|피핀]]에 의해서 [[카롤링거 왕조]]가 성립되었다. 이 무렵 프랑크 왕국은 로마 교황과의 유대를 강화하기 시작했으나, 교황 또한 그리스 교회와 대항하기 위해 세속 군주와의 유대를 바라고 있었다. 여기서 프랑크 왕국에서는 봉건제의 기반이 성립되기 시작함과 동시에, 중세에 있어서의 교황과 군주와의 제휴, 상호 이용이 전개되었다. [[비잔티움 제국|동로마 제국]]은 [[유스티니아누스 1세|유스티니아누스 황제]] 시대의 번영의 뒤를 이어, 6세기 말부터 슬라브족의 발칸에의 이주와 국내의 반란에 동시에 시달렸다. 그러나 7세기 초부터 이 제국은 둔전병(屯田兵)과 군관구 제도 등을 채용하고 중앙 집권을 강화해서, 7세기 말 사라센군의 침입을 방위했다. 또한 8세기 초에는 우상숭배 문제를 계기로 하여, 로마 교회와 대립하기 시작하고, 제국은 종교적으로나 정치적으로 그리스적 국가로서의 특색을 강하게 가지게 되었다.
 
7세기에 [[이슬람교]]가 성립되자, 종래의 여러 문명을 계승하면서도 이들의 문명권과는 다른 독자적인 문명인 이슬람 문명을 만들어냈다. 이슬람의 교조인 [[무함마드]]는 [[알라]]의 계시를 받아, 사람들에게 알라에의 절대적 귀의를 가르쳤다. 그는 한때 [[메카]]에서 [[메디나]]로 피신하였는데, 드디어 아라비아 전부족을 통일하여 이슬람 세계 건설의 기초를 닦았다. 무함마드의 사후, 역대 [[칼리파|칼리프]]는 이슬람 세계의 확립과 발전에 노력했기 때문에, 불과 1세기 동안에 동으로는 중앙아시아·인도로부터, 서로는 북아프리카·이베리아 반도에이베리아반도에 걸치는 대제국을 건설했다. 이것이 사라센 제국이다. 정복사업은 그 후에도 계속되었으나 [[우스만 이븐 아판|제3대 칼리프]] 시대 무렵부터 교단 내부의 대립이 표면화되었다.
 
1000년에 [[카롤루스 대제|카를 대제]]가 [[교황 레오 3세]]로부터 로마 제국의 황제로 대관됨으로써 그 막이 열렸다. 이에 카를 대제는 교황에 의한 동로마 제국 황제의 간섭을 배제하고 로마 제국 이래의 통일 제국을 건설하였는데, 이것이 비잔틴 세계나 이슬람 세계와 구별되는 이른바 중세 유럽 세계라는 정치, 문화적 공동체였다. 카를 대제는 [[카롤링거 르네상스]]를 일으켜 민족 이동기의 쇠퇴했던 문화를 부흥시키고, 게르만·로마·그리스도교 등의 여러 요소를 융합시켜 오늘날까지도 내려오는 서유럽 공통의 출발점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고대 이래로 교역 활동의 중심무대가 되어 온 지중해가 [[사라센]]의 수중으로 들어가게 됨으로써 서유럽 세계에서는 교환경제 사회가 자연경제 사회로 후퇴하게 되었던 까닭에, 대제의 사후에는 왕국도 분열되어 [[동프랑크 왕국|동프랑크]](독일)·[[서프랑크 왕국|서프랑크]](프랑스)·이탈리아 등 3국이 성립되었다. 한편 영국에서도 색슨계의 통일 왕조가 성립되었다.
줄 40 ⟶ 41:
유럽에서는 [[십자군]] 운동 이후 그 중심지였던 이탈리아의 상업 도시가 [[레반트]] 무역을 독점하고 [[한자 동맹|한자 도시 동맹]]과 더불어 원거리 무역과 도시발달을 추진하였다. 화폐 경제의 농촌 침투는 지대의 금납화, 직영지의 해방을 비롯한 장원제의 해체를 촉진하는 한편 도시에서는 귀족화한 상인의 지배를 타파하는 [[길드]] 혁명이 진행되어 공장제 수공업화가 진전되었다. 뿐만 아니라 십자군 운동의 실패로 실추된 교황권이나 황제권을 대신하여 왕권이 강화되었다. 이리하여 관료제와 상비군을 정비하고 사치를 하기 위해 과세 증가가 기도되었으나 이를 견제하려는 도시인의 정치적 발언권과 충돌한 끝에 마침내 성직귀족, 세속귀족, 도시민을 대표하는 영국의 자문의회나 프랑스의 [[삼부회]] 같은 신분제 의회를 가지게 되어 중세 국가는 신분제 국가로 변모하였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왕권강화가 추진되어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서는 [[백년 전쟁]]이 일어났고, 교황은 프랑스 왕에 의하여 [[아비뇽 유수|아비뇽에 유폐]]되는가 하면, [[서방 교회의 분열|교회가 분열]]되기까지 하였다. 이러한 교권의 쇠퇴와 왕권의 강화는 각국의 사정에 따라서 그 성격도 달랐다. 귀족 세력이 강했던 독일은 연방제 국가를 이루었고, 상업 자본이 축적되었던 이탈리아에서는 데스포트와 같은 전제군주제가 실현되었으며, [[이베리아 반도이베리아반도]]에서는 이슬람 세력에의 대결의 필요성으로 그리스도교국을 건설하였던 것이다. 한편 이슬람 세력의 공격을 막으며 서유럽의 방패가 되었던 [[동로마 제국]]은 재흥된 뒤에도 계속적인 위협하에서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 학문 ==